다윈의 실험실 - 위대한 《종의 기원》의 시작
제임스 코스타 지음, 박선영 옮김 / 와이즈베리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요즘 서점을 둘러보거나 온라인 서점에 서핑하면 올해 과학계와 출판계가 누구를 가장 주목하는지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그 사람은 바로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이다. 다윈의 저서 《종의 기원》을 번역한 책, 진화론 입문서와 그의 이론을 지지하는 책들이 나오고 있다. 올해는 다윈이 태어난 지 210주년, 《종의 기원》 초판이 출간된 지 160년이 되는 해이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명사(名士)의 생일이나 기일, 심지어 기념비적인 책이 처음 나온 날을 기리는 데 익숙해졌다. 과학계에서도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과학자를 기념하는 일만큼은 절대 빠지지 않는다.

 

그런데 다윈은 이상하리만큼 인기 없는 과학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인슈타인(Einstein)처럼 천재로 주목받지 않았으며 리처드 파인먼(Richard Feynman)처럼 재미있는 후일담이 많은 과학자도 아니다. 다윈은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이론들을 정리한 책들을 썼지만, 그렇다고 정재승이나 김상욱처럼 글을 재미있게 쓰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다윈은 어떤 사람인가? 대부분 사람은 다윈을 ‘진화론의 창시자’로만 알고 있지, 실험 결과나 지식을 여러 사람과 공유하면서 소통한 지식인으로 살아왔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다윈은 현장 실험을 선호했다. 그가 살았던 집 주변의 정원은 교과서에 나와 있는 축적된 과학적 발견을 검증하고,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공간이다. 이미 누군가 발견하여 잘 정리해놓은 실험 결과를 재확인하는 것은 진정한 현장 실험으로 보기 어렵다. 아무도 도전해 보지 않은 실험을 시도하는 실험실에서 기존에 나온 지식은 참고용 지식일 뿐, 실천적인 지식이 될 수 없다. 다윈에게 실험실은 ‘매일매일 새로운 지식이 시험되고 태어나는 공간’이었다.

 

《다윈의 실험실》은 현장 실험을 중시한 다윈의 삶을 온전하게 알리고, 현장 실험을 하면서 새롭게 확인된 정보를 뼈대로 삼아 진화론이 형성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책이다. 다윈은 20대 때부터 5년간 해군 측량선 비글호(Beagle)를 타고 세계 일주를 하며 박물학자로 거듭났다. 비글호는 다윈에게는 미지의 자연을 만나게 해주는 연구실이나 다름없는 공간이다. 그렇지만 다윈이 학문적으로 성숙하게 만드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 실험실은 다운 하우스(Down House)이다. 비글호 여행을 마치고 영국으로 돌아온 다윈은 정신적 동반자인 엠마 웨지우드(Emma Wedgwood)와 결혼했고, 다윈 부부는 평온한 시골 마을 다운에 정착한다. 다윈 부부는 40년 이상 다운 하우스에 살았다. 다운 하우스의 정원은 ‘다윈에 의한, 다윈을 위한, 다윈의 거대한 실험실’이었다. 그곳에는 다윈이 직접 구입한 여러 품종의 비둘기가 있는 비둘기장이 있었으며 온실에서는 끈끈이주걱과 파리지옥의 식충 습성에 대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다윈은 일반인과 어린 아이들도 참여할 수 있는 실험을 즐겨 했다. 다윈의 일곱 자녀는 다윈의 든든한 조수가 되어주었다. 다윈의 자녀들을 가르친 가정교사도 다윈이 계획한 실험에 참여했다. 캐서린 솔리는 10년 동안 다운 하우스에 지내면서 다윈의 자녀들에게 프랑스어와 무용, 음악 등을 가르쳤다. 평소 식물 이름을 알아맞히는 것에 관심이 많은 그녀는 아이들과 함께 식물을 관찰하기도 했다.

 

정원에서 현장 실험을 한 다윈은 기존 학자들이 고수해온 ‘실험실 안에 있는 지식’이라는 고정관념을 허물었다. 다윈은 동료 생물학자와 박물학자와 다르게 흙을 손에 묻혀가면서 실험하는 것을 좋아했다. 《종의 기원》은 현장 실험이 이루어진 다운하우스 정원의 열매이다. 이 열매가 완전하게 맺어지길 원했던 다윈은 신중하게 진화론을 만들었다. 그는 확실한 증거를 확보할 때까지 실험을 반복했으며 자신의 생각을 단정해서 주장하기보다는 자신을 지지하는 동료 학자들에게 공유하면서 검증받기를 원했다.

 

《다윈의 실험실》은 다운하우스에서 진행된 역사적인 현장 실험을 복원할 뿐만 아니라 다윈의 실험에 직간접으로 도움을 준 주요 인물들도 소개한다. 다운하우스 안에는 다윈의 가족과 가정교사가 다윈 실험실의 보조 연구원으로 활약했다. 다운하우스 밖에서는 다윈의 지적인 스파링 파트너(sparring partner)이자 식물학자인 조지프 후커(Joseph Hooker)가 있었다. 후커는 미흡한 진화론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면서 이론의 약점을 보완해주는 동료였다. 다윈은 자기 생각을 검증받기 위해 후커와 서신을 주고받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의 역사는 논문이나 교과서 혹은 연구 노트 등에 기록된 실험 결과들이다. 그러나 실험 결과에 초점이 맞춰진 과학의 역사에는 ‘기록되지 못한 것’이 있다. ‘기록되지 못한 것’이란 실험실 안에서 수행된 실험 방법이나 소소한 경험들이다.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용어로 로 과학 지식을 분류하여 설명하자면 문자로 남겨진 모든 과학 지식‘명시 지식(明示 知識, Explicit Knowledge)이고, 기록되지 못한 경험 및 상황 중심적인 지식‘암묵 지식(暗默 智識, Tacit knowledge)이다. 따라서 암묵 지식은 학자의 개인적 관심사와 관련되어 있거나 실험실에서 학자가 실험을 수행하면서 알게 된 지식이다. 《다윈의 실험실》은 과학 교과서에서 볼 수 없거나 《종의 기원》에 언급되지 않은 다윈의 암묵 지식을 소개한 책이다. 지루한 《종의 기원》에 무모하게 도전하는 것보다 《다윈의 실험실》을 먼저 보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다윈의 실험실》을 읽으면 다윈을 인기 없는 학자라고 여기는 통념이 틀렸음을 알게 될 것이다.

 

 

 

 

※ Trivia

 

* 조지 허버트 웰스는 이 글을 읽고 영감을 얻어 그로부터 몇 년 뒤 <기묘한 난초의 개화>라는 제목의 단편소설을 발표했다. (356쪽)

 

 

허버트 조지 웰스(Herbert George Wells)의 오식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9-08-04 2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상욱 교수 책이 재밌다는 데 동의 못합니다ㅎㅎ 김상욱 교수 글은 다윈과라고 저는 생각하는데ㅎ

cyrus 2019-08-05 16:27   좋아요 1 | URL
제가 김상욱 교수의 책을 한 권만 읽어서 그 분의 글쓰기 스타일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 같아요... ㅎㅎㅎㅎ 다시 생각해보니 제가 착각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