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6일 - 오전 4도 오후 15도 소나기 살짝 지나감

 

농장 하우스의 비닐을 교체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보통 비닐은 3년에서 5년에 한번씩 갈아줘야만 한다. 강풍에 날아가 찢기기도 하거니와 자외선 투과도가 떨어져 작물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비닐을 다 걷어낸 하우스 골조를 바라보자니 고래뼈가 생각난다. 고래뼈가 생각나니 바비킴의 고래의 꿈이라는 노래가 생각나고... 그러다 보니 나의 고래는 무엇인가 상념에 잠긴다. 물론 잠깐이다. 지금 이렇게 상념에 잠길 여유가 없을 정도로 농장은 바쁘다.

 

오늘은 방울토마토와 고추를 심을 하우스에 두둑을 만드는 작업을 했다. 먼저 로타리(땅을 얕게 갈아 평탄하게 만들어줌)를 치고 두둑의 갯수에 따라 너비를 정하고 골을 만든다. 두둑은 반듯하고 평탄할수록 작물을 심고 관리하기가 편하다. 즉 작물을 심는 기초공사인 것이다. 그래서 두둑을 반듯하게 만들기 위해 양쪽에 줄을 걸고 그 위를 걸어 발자국을 낸다. 마치 모델들이 무대 위에서 캣워크를 잘하기 위해 연습을 하듯 일자로 걷는다. 부드러운 흙위에서 발에 힘을 주며 걷는 모양새가 우습다. 농부의 걸음걸이가 모델과 같은 순간이 있을 줄이야...

 

 

 

그리고 그 발자국을 따라서 관리기로 두둑을 판 후 평탄하게 다듬는다. 나무판자기로 밀어내는 작업 후 점적호스(땅에 호스를 묻고 물을 주기 위한 장치. 호스 중간중간에 구멍이 뚫려있어 일정한 양의 물을 동시에 줄 수 있다)를 깔고 그 위에 멀칭(비닐을 덮는 작업)을 한다.

 

상추를 심었을 때 잘못한 바람에 같은 일을 세번이나 하는 낭패를 당한 경험이 이번 작업을 하는데 도움이 됐다. 팽팽하게 멀칭을 하고 나서 바라보니 뿌듯했다. 제법 농사일이 손에 익어가는 걸까. 그래도 관리기나 트랙터를 다룰 기회가 아직 없어 갈길은 멀어보인다. 하지만 이젠 제법 발걸음이 익숙해진 느낌이다. 이렇게 한 발 한 발 걸어가 보자. 뚜벅뚜벅 가다보면 꼬박꼬박 실력이 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농장에 심겨진 작물들을 한번 둘러봤다. 오늘 우박이 떨어졌듯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린 탓에 감자는 냉해를 입어 입이 새까맣다. 그래도 감자는 다시 생명력을 발휘해 새 싹을 돋우어 살아난다고 한다.

 

 

 

애플마는 여전히 땅 속에서 잠잠하다. 아스파라거스는 줄기가 모두 시들시들해졌다. 아마도 이들도 얼어죽지 않았다면 새 잎을 낼 듯 싶다.

 

보리순도 무릎까지 올라올 정도로 기세등등하게 잘 자라고 있다.

 

 

 

 

 

 

 

 

토종밭엔 조선배추가 꽃을 피웠다. 배추꽃은 처음보는데 샛노란게 귀엽다.

 

 

 

 

 

대파도 질세라 꽃을 피우기 위해 봉우리를 맺어놓은 상태다.

 

 

 

 

저마다 자신의 개성대로 온힘을 다해 싹을 키우고 꽃을 피우는 모습이 대견하다. 나도 이들처럼 온힘을 다해 성장하고 있는 것일까. 조금씩 회의의 그림자가 옅어져 가는 것을 느낀다. 그러나 확신이라는 친구는 아직 저 산너머에 있는가보다. 그래, 더디더라도 기어코 나를 찾아와 주기를 바란다. 새순처럼, 봄꽃처럼 내 곁에 어느새 찾아와 주기를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월 25일 오전 흐리다가 비 오후 비오다 갰다 우박오다 갰다 비오다 오락가락

              오전 4도 오후 13도

 

오전엔 방울토마토를 심기 위한 준비작업에 돌입했다. 하우스 안에 유인줄을 맸다. 폭이 6미터인 하우스에 두둑을 5개 만들고 그 두둑 위에 유인줄을 건다. 두둑을 만들고 나서는 하우스 안에서 움직이기가 쉽지 않아 유인줄을 먼저 걸어두는 것이 편하다.

 

 

비 예고가 있어 비닐이 찢어진 하우스쪽 땅 위엔 비닐을 깔았다. 너무 넓게 찢어진 곳은 너덜거리는 비닐들을 고정시키는 작업도 했다. 하우스 골조 위로 올라가 클립으로 비닐을 묶는 작업은 사실 조금 위험하다. 조금만 움직여도 온 신경이 곤두서다보니 땀이 줄줄 흘렀다. 땅을 젖으면 질퍽해져 작물을 심어야 할 시기를 더 놓치게 된다. 지금도 방울토마토와 고추 심기가 다소 늦었다고 한다. 한 보름정도 전쯤 심었으면 좋았을 것이란다.

 

오후엔 하우스 두 동의 정지작업을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그제 심었던 상추에 문제가 생겼다. 표면 보다 깊이 심겨진데다가 멀칭이 팽팽하게 되어있지 않다보니 상추들이 비닐 속에 파묻혀 버린 것이다. 두둑이 평평했다면 이정도로 심각하진 않았을텐데. 얼치기 농부이다보니 고생을 사서 한다. 물론 첫 술에 배부를 순 없을 것이다. 하지만 방법을 알고 했다면 이렇게 생고생을 피했을텐데. 아무튼 무턱대고 심는다고 농작물이 잘 자랄 순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우친다. 연수생들을 도와주러 오신 한 농사꾼 선생님은 "생명을 키우는 일은 지식이 아니라 지혜가 필요하다"는 말씀을 하신다. 심는 시기에 따라 작물이 생장성장을 할 수도, 생식성장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훌륭한 농사꾼이 되려면 이 두 성장을 조화롭게 해 나갈 수 있도록 키우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신다. 아무튼 상추는 비닐 속에 파묻혀 있다가는 열로 인해 죽기 십상이라 하니 두둑을 평탄하게 손질하고 멀칭을 팽팽하게 잡아당기고, 파묻힌 상추잎들을 밖으로 꺼내는 작업을 했다. 아~ 상추 심는라 허리가 쪼개질듯 아팠는데, 그 번거로운 일을 또다시 해야 하다니... 정말 참혹한 심정이다. 정말 첫 술에 배부를 수 있는 마법이라도 있다면 영혼이라도 팔 성 싶다.

 

 

상추밭을 손질 한 후엔 어제 소독해 둔 볍씨를 깨끗이 씻고 나서 차가운 물에 담아두었다. 13~14도 정도 하는 물에 일주일 정도 담가두면 싹이 튼다고 한다. 하루에 한번씩 물을 갈아주어야 한다. 이곳 흙살림 농장에선 배양기가 있어 이곳에 볍씨를 담고 기포를 발생시켜놧다. 그럼 물을 갈아주는 수고를 덜 수 있을 것이다. 볍씨의 발아는 온도에 따라 또 종자에 따라 그 시간이 달라진다. 아참, 어제 볍씨 소독한 방법은 온탕냉수침법이라고 한다.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 끝에 60~62도 라는 온도와 10분이라는 시간을 찾아냈을지 상상도 안간다.

 

 

생명은 신비롭고 그 생명을 키우는 농부는 위대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 그친 뒤 시골의 풍경은 숨겨놓은 보석들로 가득하다. 빗방울 그 자체가 진주보다 곱기 때문이다. 숙소 안팎 마음을 깨끗하게 닦아준 그 진주방울들을 소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월 24일 오전에 비 그침, 화창  오전 9도 오후 18도

 

어제 심었던 상추의 품종은 선풍포찹이라고 한다. 포는 포기상추를 찹은 낱장 상추를 의미한다. 포찹은 포기로도 낱장으로도 수확이 가능한 품종이다. 주름진 적상추인데 식감보다는 예쁘장한 모습 때문에 사람들이 찾는 품종이다. '보기좋은' 떡에 대한 욕구는 상추와 같은 쌈채소에까지도 적용된다. 아니, 언뜻 생각해보면 인간의 미에 대한 시각적 욕망의 대상은 세상 모든 것에 다다를 것 같다.

 

아무튼 어제 심은 상추 중간 중간 옥수수를 심었다. 원래 하우스 안에 옥수수는 잘 안 심는다고 한다. 충해 때문이다. 하지만 옥수수의 고소한 맛이 다른 작물의 진드기를 유인해 줄 수 있다는 혼작의 장점을 시험해보고자 몇개를 심어보기로 했다.

 

 

오후엔 하우스 옆 짜투리 땅을 로타리 치고 두둑을 만든 후 멀칭을 했다. 이곳엔 가지를 심을 예정이다. 농기계-이번의 경우 관리기-를 잘 사용할 줄 안다면 혼자서 몇시간이면 될 일을 남자 세 명이 쩔쩔 매며 겨우 완성했다. 그러고 보면 농사도 기계를 다룰 줄 아는 것이 절반인 시대가 됐다. 석유와 기계가 고령화 되고 줄어만 가는 농민의 노동력을 대신해 줄 거의 유일한 대안인 셈이다. 물론 자연농법이나 태평농법 등도 있으나 이것은 자급자족의 수준을 넘어서 다른 이들에게 풍족히 나누어 줄 만큼의 꾸준한 생산력을 담보할 수 있을지 확신이 없다. 그리고 사람의 손길로만 농사가 이루어진다면 농민 자체가 일하는 기계가 될 판이다. 여기서도 적절한 조화를 찾아야만 한다.

 

  

오후엔 볍씨 소독을 했다. 토종벼 약 27종(돼지찰, 녹미, 맥도 등등)을 1킬로그램씩 묶어 60도 정도 데운 물에 10분씩 담가둔다. 그리고 바로 찬 물에 식힌 후 황수화제를 탄 물에 하루 담가둔다. 이렇게 소독을 하는 것은 파종 단계에서부터 병충해를 예방하고 건강하게 모를 키우기 위해서다.

 

 

볍씨 소독을 끝내고 허리를 죽 펴니 저 멀리 보름달이 휘영차다. 이번주엔 매일 달을 보며 퇴근이다. 오늘따라 달이 유독 더 밝다. 내 마음 속에도 오늘밤처럼 이그러지지 않는 달이 살고 있기를 기원해본다. 저멀리 소쩍새 울음소리 구슬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