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사이보그가 되다
김원영 외 지음, 최승훈 외 낭독 / 사계절 / 2021년 3월
평점 :
장애를 가진 사람. 이 말을 줄여 말하기가 망설여진다. '장애인'과 '장애우' 아니면 다른 어떤 말? 장애인보다는 장애우가 더 존중하고 함께한다는 뜻이었던가? 그런데 장애우는 예전 한때 그렇게 불렀던 것 같기도 하고 잘 모르겠다.
청중도 독자도 아직 없고, 글을 저장하지 않았는데, 단어의 선택이 소설가의 첫 문장 선택만큼이나 어렵다. 아무렇게나 부르면 안 될 것 같고, 배려하고 어떤 존중을 해야 할 것 같고. 이것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문제마저도 아니다. 아무도 보지 않을 일기에 쓸 때도 같은 망설임이 생길 것 같다.
그래서 김초엽 작가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 - 나는 이렇게 길게 풀어 쓰기로 했다 - 에 대해 이 책을 쓸 때 조심스럽다고 고백한다.
지나치게 사변적이지 않을까? 현실과 동떨어진 주제를 이야기하지는 않는지 초반에 걱정했고, 초고 이후 글을 쓰다 보니 그런 걱정이 덜했다고 한다.
이 책은 말 줄임에 고민하듯이 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를 끊임없이 고려하고 가정하고 그것들을 또 수정하며 읽게 된다. 수긍을 하다가도 비판을 하게 되고 어느새 고개를 흔들며 지우개로 글씨를 지우듯이 생각들을 지워서 불어 버린다. 비판적 사고를 하고 나면 무언가 잘 못 한 것 같고, 누구에게도 말하면 안 될 것만 같아서 세차게 지운다.
장애를 고칠 수 있는 약이 있어도 약을 먹지 않겠다고 말하는 일본 장애인은 현실적이지도 않고 부정적인 면은 모두 감춘 채 희망 고문처럼 슬로건을 내걸며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하는척하며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회사나 정치인 운동가들을 강하게 비난하며 얘기했을 것인데, 이 책에서는 이해할 수 없다고 일관한다. 그렇게 말하는 장애인 운동가를 20대의 목 척추 이하 전신 마비 환자가 그런 약이 있으면 간절히 먹기를 바라지 않겠냐고 대조하는 의도는 잘 모르겠다.
소프트웨어 기능을 개발할 때는 성능과 같은 비기능을 고려할 수 없고, 또 해서도 안 된다. 기능을 아직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에, 온통 그것에 매달려 비기능을 함께 생각하며 기능 개발도 제대로 못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어설프게 비기능을 고려한 코드는 결국 전체 구조 조정 (리팩토링)의 대상이 되기 십상이다. 그래서 두 작가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고려하지 못한 최신 기술의 한계나 맹점을 지적할 때, 그들이 아직 부족해서 그래요라고 말하고 싶었다.
장애를 가진 사람을 돌봐야 하는 사람, 관심을 가져야 하는 사람, 사랑으로 대해야 하는 사람으로 간주하는 기업의 캠페인에 대해서도 두 작가는 불편함을 말한다. 맞는 말이다. 그 관심과 애정은 동정이 되기 쉽고, 그것은 곧 다름을 틀린 것 부족한 것으로 보고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도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그런 태도를 가지고 있더라고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캠페인을 많이 하는 것 자체가 필요하다고 한다.
신자유주의의 시대에 영리를 추구하고 온갖 전략으로 경쟁하는 기업의 어쩔 수 없는 한계일 것이다.
두 작가님이 장애를 가지지 않았다면 이 책은 나에게 어떻게 읽혔을까? 두 분이 사회적으로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좀 더 감정에 호소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았다면 어땠을까? 또 정반대로 더 장애와 관련한 역사와 기술, 철학, 사상에 대해서 다루면 어땠을까?
그리고,
내가 만약 장애인이었다면?
그랬다면 나는 이 책을 어떻게 읽고 대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