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42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안장혁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우리는 누군가를 이해한다거나 공감한다는 말을 과연 쓸 수 있을까? 당치 않다고 생각한다.
이해와 공감으로는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올바르게 평가할 수 없을 것 같다. 이성으로 평가한다면 이 책은 많은 사회적 문제 (자살)를 일으켰으니 말이다. 그리고 약혼자가 있고 시간이 지나 결혼까지 하지 않았는가? 사실만 본다면 성실하게 사랑하며 잘살고 있는 로테와 알베르트의 가정에 풍파를 일으킨 격이 아닐까? 성실하게 사랑하는 알베르트도 죄가 될 수 없을 것이며 로테에게 불장난 같은 사랑을 일으키려 한 베르테르도 찬양될 수 없다. 그런데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훌륭한 고전이며 그 시대에도 지금의 시대에도 많은 이들의 진한 공감을 받는다. 마지막 즈음 로테에게 남기는 편지는 그 하나하나가 가슴을 저미게 한다. 그 편지를 대하는 모든 이들의 - 추신에 정신없는 속물로 보이는 사람일지라도 - 가슴을 녹이고 눈가를 적시게 한다. 작가로서의 괴테가 아닌 사랑을 했던 괴테로서 독자들이 받아들이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타인에 대한 공감을 넘어 타인에 대해 자기 자신처럼 해석하며 이야기 속의 인물을 자신과 거의 완벽에 가깝게 일치시키는 것 같다. 거의 완벽한 이입.
왜 거의 완벽한 이입일까? 역시 허구 (fiction)이니 거의 대부분의 독자가 그렇게 권총으로 자살하지 않았을 것이고, 사랑에 말 그대로 눈이 멀어 사인을 저지른 사람을 옹호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거의 완벽한' 이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거의 완벽한' 이입이기 때문에 우리는 몰입해서 읽을 수 있는 것 같다. 완벽하게 이입해서 자신과 동일했다면, 그것은 자신의 일기를 읽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내가 할 수 없는 것, 하지 못했던 것, 그것들을 베르테르는 했기 때문에 우리는 몰입해서 읽는 것 같다.
그래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거의 완벽하게 이입하지만, 대리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위는 몰입해서 읽는 것 같다.'
그리고 그것이 '소설'이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