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영하는 사람들 - 이스트런던 동네 수영장의 내면
매들린 월러 지음, 강수정 옮김 / 에이치비프레스 / 2019년 7월
평점 :
런던필즈 리도는 1932년에 문을 열었다가 1988년에 문을 닫았고, 20년 동안 폐쇄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이 방치하지 않고 돌본 덕분에 2006년 재개장하고 인기를 누렸다.
리도 (lido)는 영국에서 공영 야외 수영장을 일컫는 말이고, 런던필즈는 런던 내에서 일기와 관계없이 개장하며 물 온도는 항상 25도를 유지한다고 한다.
그 런던필즈 수영장의 사람들을 옷 입은 모습과 수영복 입은 사진을 대조하며 그들의 에세이와 함께 보여주는 사진집이다.

나는 농촌 출신이며 개울 근처에도 가지 않았고, 커서도 수영장은 물론 해수욕장 한 번 제대로 가보지 않았다. 그러다 몇 년 전 갑자기 수영해보고 싶어 용기를 내어 수영장을 찾아갔다. '음~ 파~'를 배우기 위해 서 있다 물밑으로 머리를 넣는 순간 엄청난 공포가 몰려왔고 숨이 막혔다.
물이 밀도 있게 내 온몸을 조여왔다. 그때의 두려움은 아직도 잊지 못한다.
안경을 벗으며 심한 난시로 손을 뻗지 않으면 빠르게 걸어가면 벽에 부딪힐 정도이다. 도수 수경에 콘택트렌즈 등 여러 가지를 실험하고 알아보다 일회용 렌즈를 선택했다. 사실, 렌즈를 그래서 난생처음 착용했다. 처음엔 렌즈를 착용하는 데 십분 이상이 걸려 새벽 수업 시간을 못 갈 지경이었다.
25m를 한 번에 자유형으로 가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하며 3개월을 다녔고, 한팔 접영까지 배웠다.
그러다 첫 선생님이 바뀌고 일이 바빠져 중단했다. 그렇게 1년 정도가 지나서 다시 50m라는 새로운 세상에서 7개월 동안 수영을 배웠다. 새벽 수영으로 일주일에 두 번 수업했고, 마스터스 세 개 레벨 반 중에서 첫 번째 반에 들어가게 되었다. 꿈에 그리던 오리발과 스노클도 착용해보았다.
그리고 이사를 했다. 50m 수영장을 찾았지만, 출근 동선도 맞지 않고, 예약하기도 힘들었다.
그러다 아주 우연히 회사 근처의 지금 다니는 수영장을 찾게 되었다. 초/중/고급 세 개 반뿐이어서 고급반 안에서도 격차가 아주 컸고, 처음 2주간은 중급반으로 내려갈지를 심각하게 고민했다. 코로나 때문에 쉬다 하다를 반복했지만, 1년이 지나서 이제는 반에서 선두를 하고 있다. 스타트도 칭찬받으며 말이다. 아직 부족한 것이 많고, 연습하고 배울 것이 태산 같고 도전하고 싶은 것도 많지만, 수영은 내 인생에서 또 다른 새로운 축이 되었다.
수영복을 입고 있으면 모두 똑같아 보인다고 하지만,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오히려 수영할 때의 손가락 하나하나의 동작과 동향, 스트로크의 수와 횟수, 고개를 돌려 호흡하는 횟수와 그 각도, 보일 듯 말 듯 한 물밑에서의 동작과 물을 잡기 위해 팔과 손목을 어떤 궤적으로 어떤 강약으로 움직이는지 등의 그 모든 것들은 물 밖에서 걸치고 꾸밀 수 있는 그 어떤 것들의 디테일을 합쳐도 따라 올 수 없다.
그리고 수영은 정직하고 공평하다. 그리고 자신의 기량을 숨길 수 없다.
또한, 십 년을 넘게 하신 분들을 만나 뵈면 그분들의 수영에 대한 사랑과 순수함에 리스펙트를 한껏 하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수영하며 또 인생을 느끼고 배운다고 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