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좁은 문 / 전원교향곡 / 배덕자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36
앙드레 지드 지음, 동성식 옮김 / 민음사 / 2015년 7월
평점 :

목사에겐 아내와 다섯 명의 자녀가 있다. 그런 목사가 오갈 데 없는 신세가 된, 눈이 먼 소녀를 자기 집에 데려와서 키우게 된다. 교육을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는 소녀는 목사의 집에서 교육을 받으며 하나씩 배워 나간다. 목사와 목사의 아들은 소녀를 사랑하게 되어 삼각관계로 얽힌다. 소녀는 성장하게 되고 개안 수술을 받아 세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목사가 일기 형식으로 쓴 것이 앙드레 지드의 <전원교향곡>이다.
과연 그녀가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목사일까, 목사의 아들일까? 시력을 되찾은 그녀가 가장 놀라워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녀는 세상을 보게 되어 이전보다 행복해질까? 행복해진다면 명작이 아닐 것 같은데... 이런 것들을 궁금해 하며 읽을 수 있는 소설이다.
<전원교향곡>을 읽는 동안 자주 밑줄을 그었고 그 내용에 푹 빠져들곤 했다. 나를 열독하게 만드는, 이렇게 마음에 스며드는 소설을 만난 게 반가웠다. 예전에도 읽은 적 있는데 그때와는 느낌이 전혀 달랐다. 이제야 이 작품이 불후의 명작임을 인정하게 되었다. 재독의 가치를 느끼며 마치 처음 읽는 것처럼 놀라고 감탄했다.
내가 밑줄을 그은 문장 중 몇 개 골라 옮기고 그것과 관련한 내 생각을 달아 보는 것으로 리뷰를 쓰고자 한다.
『“(중략) 나는 베르길리우스의 ‘얼마나 행복한가!’라는 시구 다음에, 우리가 배운 ‘자신의 행복을 안다면’보다도, 차라리 ‘그들의 불행을 모른다면’이라는 구절을 붙였으면 해. 불행을 모를 수 있다면, 사람들은 얼마나 행복할까!”』(232쪽)
- 앙드레 지드, <좁은 문 · 전원교향곡 · 배덕자> 중 ‘전원교향곡’에서.
→ 만약 우리 모두가 장애인이라면 자신이 장애인이라고 해서 불행하다고 여기지 않을 것이다. 자신이 불행한 점을 모른다면 불행한 사람으로 살지 않을 거라는 말이다. 남과 비교하여 자기가 남보다 못한 그 차이로 인해 불행은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정말로 땅은 새들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아름다운가요? 사람들은 왜 그걸 더 말해 주지 않을까요? 목사님은 왜 제게 이야기해 주지 않으세요? 제가 그걸 보지 못한다는 걸 생각하고 저를 괴롭히게 될까 봐 그러세요? 잘못 생각하시는 거예요. 제가 새들의 노래를 얼마나 잘 알아듣는다고요. 새들이 말하는 걸 전 모두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르트뤼드, 눈이 보이는 사람들은 너만큼 새들의 노래를 잘 듣지 못한단다.”』(238쪽)
- 앙드레 지드, <좁은 문 · 전원교향곡 · 배덕자> 중 ‘전원교향곡’에서.
→ 맹인이 아닌 우리는 새소리가 들려 와도 그것의 아름다움을 느끼지 못한다. 눈에 보이는 것들에 마음을 빼앗겨서인지 모른다. 그렇다면 맹인은 눈에 보이는 게 없어 귀에 들리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어서 새소리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눈 뜬 사람들은 자신들의 행복을 모른단다.” 하고 나는 마침내 말했다.
그러자 그녀는 곧 부르짖었다.
“그렇지만 보지 못하는 저는 듣는 행복을 알아요.”
그녀는 내게 바짝 다가와서 어린 아이들처럼 내 팔에 꼭 매달려 걷고 있었다.
“목사님, 제가 얼마나 행복한 줄 아세요? 목사님을 즐겁게 해 드리려고 이런 말을 하는 게 절대 아니에요. 절 좀 보세요. 거짓말을 할 때는 얼굴에 나타나지 않아요? 저는 목소리만 듣고서도 그런 걸 아주 잘 알아요.』(244~245쪽)
- 앙드레 지드, <좁은 문 · 전원교향곡 · 배덕자> 중 ‘전원교향곡’에서.
→ 비장애인은 장애인에 비해 들을 수 있음을 감사하게 생각할 줄 모른다. 귀로 들을 수 있음은 너무 당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몸에 하나 이상의 장애를 가진 사람은 장애가 없는 신체 기관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 그래서 그녀는 듣는 행복을 아는 게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