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에게도 예쁜 것들이 있다 - 볼수록 매혹적인 우리 유물
이소영 지음 / 낮은산 / 2022년 8월
평점 :
이렇게나 예쁜 것들을 이렇게나 예쁜 만듦새로!
한지 같기도 곱게 삼은 삼베를 만지는 것 같기도, 고슬고슬 까슬까슬한 감촉의 산뜻한 표지부터 아기자기한 문양의 면지를 지나 속장에 들어가면 물건 하나하나 더듬고 만지며 보게 된다. 마치 박물관에 온 듯 한 걸음 한 걸음 들어가면 하나같이 눈을 홀리며 소유욕을 부르는 우리 예쁜 것들이 가지런하다.
저자 이소영은 동양화를 전공한 분이다. 7년을 준비해 우리에게 이미 있어온 예쁜 것들을 크게 네 가지 장으로 나누어 실었다.
화려하게 / 단아하게 / 재미있게 / 쓸모 있게
예쁜 것들.
아는 물건도 있고 처음 보는 예쁜 것들도 있다. 그 물건에 담긴 저자의 설명도 장황하지 않고 일목요연하게 적혀 있다.
질료들을 크게 나눠보면 돌, 흙, 나무, 금속.
나무는 베어져서도 하는 일이 많다. 나무가 책이 되기도 가구가 되기도 생활용품과 소품이 되기도 한다.
특히 지필묵 관련한 물건들… 서책을 보호하고 보관하고 정리하고 먹을 갈고 붓으로 쓰고, 갖고픈 물건은 그림으로 그려 책거리로 책방을 꾸미고 그외 책을 보고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소소하나 쓸모 있는 도구들… 그런 물건들이 시선을 끈다. 화려하거나 단아하거나 고졸한 아름다움이 배어 있다. 해학이 담긴 물건도 있고 모두 실용성을 겸비한 예쁜 것들이다. 물건이 하도 세심하고 다감하여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것들에 담겨 전해질 만하거나 곱씹어 볼 만한 이야기를 불러준다.
“자수 연화당초문 현우경 표지”는 “책의”로 이 책에서 선보이는 첫 물건이다. 장식 무늬엔 모두 의미가 있다. 마음을 담는 것이려니, 귀하게 여겨 소중한 손길로 책을 대했다.
#
한지는 아흔아홉 번 손질을 거친 후 마지막 사람이 백 번째 만진다고 해서 ‘백지‘라고 할 정도였다. 귀한 종이에 소중한 정보를 일일이 적었으니 책 한 권이 얼마나 귀한 물건이었을지 짐작이 간다. 책을 가질 수 있는 계층도 볼 수 있는 사람도 한정적이었다. 그래서 책 표지에도 공력을 기울였는데 배접을 두껍게 하고 능화 문판 위에 표지가 될 종이를 놓고, 방수용 밀랍을 칠한 후 밀돌로 문질러 요철을 냈다.
<자수 연화당초문 현우경 표지>는 불교 경전인 현우경」 앞표지에 자수를 놓아 장식한 것이 특징인 책의(衣: 책의 겉장이 상하지 않게 덧씌운 물건)이다. 길상을 상징하는 석류와 복숭아를 배치하고 모란과 연꽃을 넝쿨무늬로 수놓았다. 이렇게 정성들여 만든 책은 벌레를 막기 위해 칠을 한 함에 넣어 습기가 적은 장소에 보관했다. - 11쪽
먹색 석제 필통에 눈길 간다. 못 쓰게 된 붓은 붓무덤을 만들어줄 정도로 붓을 사랑한 선비들이니 사용하는 붓은 얼마나 더 소중히 다루었을까. 서양 붓과는 다른 우리 붓의 성질을 알고 다루었다. 석제라 왠지 묘비석이 연상되는데 미래를 예감한 현재의 붓무덤 격이랄지. 나만의 상상이다. 돌이라는 질료의 묵직함과 변함없음이 느껴져 먹색의 근원과 영원으로 이어진다. 이거 갖고 싶네.
#
오랜 사용으로 끝이 갈라져 못 쓰게 된 붓들을 모아 붓 무덤을 만들어 줄 정도로 선비들은 붓을 소중히 다루었다. 그래서 붓이 상하지 않도록 필통, 붓꽂이, 필세筆洗 등 다양한 문방구를 사용했다. 우리나라 필통은 다양한 재료로 제작하였는데 특히 지조와 절개의 상징인 대나무나 도자기를 즐겨 사용했다. 여러 가지 무늬를 조각한 중국의 대나무 필통과 달리 조선은 무늬 없이 대나무 자체의 매끈한 느낌만을 살린 경우가 많다.
돌로 만든 필통은 드문데, <석제 필통>은 원통형 구조에 입과 어깨 부분의 두께를 달리하여 단순하면서도 지루하지 않다. 먹색을 현색이라고도 하는데 ‘검을 현‘은 서양의 검정과는 다른 아득하고 심오한 색이다. 즉 우주가 생성되기 이전 근원적 도의 현묘한 세계를 가리키는데 <석제 필통>에서 그 심원한 색감이 느껴진다. _ 71쪽
나들이용 유기 휴대용 묵호, 부부의 화목과 장수의 의미로 황금 귀이개, 사방탁자, 목제 찬합과 호족반, 감모여재도… 여기서 다 이름 부를 수 없는 예쁜 것들 그리고 다듬잇돌과 다듬이 방망이……
예쁜 것들이 많지만 그중 가장 안 예뻐 보이는 게 있다. 거칠어보이는 다듬잇돌과 다듬이 방망이는 돌과 나무를 재료로, 한 쌍이다. 나는 이 한 쌍이 내는 기가 막힌 리듬에 온몬의 촉수가 돋는 것 같았던 경험이 있다. 상대가 없으면 무용지물인데 안 예뻐 보일 리가 … 강하기론 돌이라지만 수없이 두드려 주름을 펴주고 밀도를 치밀하게 해주는 역할은 무른 나무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가 맡는다.
#
다듬잇돌은 바닥 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네 모서리에는 굽이 있다. 대부분 거친 질감이지만 윗면은 매끄럽고 약간 볼록해서 방망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방망이는 주로 박달나무로 만드는데 몸체는 볼록하고 손잡이는 오목한 형태라서 손으로 잡기 편하다. 한복은 평면 구조라서 모든 솔기를 뜯고 빨아서 풀을 먹인 다음 다듬이질로 올이 바르고 정갈하게 손질한 후 새 옷을 다시 지어 입을 수 있었다.
그래서 옷감의 종류나 색에 따라 다듬이질 방법이 달랐다. 옷감을 펴고 접기를 반복해 다듬이질하면 풀기가 고루 스며 매끈하게 윤기가 나고 구김도 잘 생기지 않는다.
강한 돌보다는 무른 나무로 수없이 두드려 주름을 펴는 다듬이질은 천년을 가는 한지를 만들 때도 종이를 치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_ 99쪽
고왔던 외할머니 안방에서 다듬이 방망이를 두드렸다. 어린 계집애가 외할머니 방에만 가면 그랬다. 제법 묵직해 양손을 박자에 맞춰 가볍게 두드리게에는 요령이 필요한데 자꾸 하다 보면 그런대로 잘 된다. 손목에 힘을 적당히 빼고 가볍게, 박자가 맞아지면 그때부터는 공기를 흔드는 경쾌한 소리가 청각을 지나 촉각을 곤두세운다. 반질반질했던 그 다듬잇돌과 방망이, 잘 가지고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어디다 내버렸을까. 물건을 쓰는 사람이 세상에서 사라지면 그 물건도 생명을 잃어버린다. 고아가 되어 새상을 떠돌다 어디서 길을 잃고 처박혀 있을지도. 가끔 물건을 정리하며 느끼는데, 쓰지 않고 모셔둔 물건이 계속 써온 물건보다 훨씬 더 낡고 초췌해져 있다는 사실이다. 자주 손이 가고 눈길 준 물건이 더 예쁘게 닳아 있다. 아낀다고 두지 말고 유용하게 즐겁게 사용하는 게 물건을 살리는 길이다. 안 쓸 물건은 사지 말고 들이지도 말자. 책도 마찬가지. 반성! 사놓고선 산 줄도 잊어먹고 또 사고 그러지는 말자.
#
건축가 아돌프 로스는 <장식과 범죄>에서 의미 없는 장식은 범죄와 마찬가지라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추상성을 단순화하고 여백을 다양하게 해석한 우리 유물들은 그야말로 미니멀리즘의 최고봉이다. 뿐만 아니라 물건의 생명이 지속적인 쓰임에 있음을 잊지 않고 아름다운 만큼이나 실용성을 중시했다. 특히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여기는 세계관이 작은 생활용품부터 건축에 이르기까지 두루 깃들어 있다. _ 나가며, 중
굿즈로 표지와 같은 색 같은 무늬 코스터, 넘나 예쁜 것.
선물로 주신 님, 고맙습니다 ^^
예쁜 것들이 행복을 불러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