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처럼 - 우리시대의 지성 5-016 ㅣ (구) 문지 스펙트럼 16
다니엘 페낙 지음, 이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다니엘 페낙의 '늑대의 눈'을 처음 만났던 느낌이 살아난다. 그의 상상력은 물론 독특한 이야기 방식, 즉 그만의 목소리에 매료되었던 기억이다. <소설처럼>은 책읽기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담긴 장편 에세이류로 볼 수 있는데, 마치 하나의 소설을 읽어가는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이야기의 재간꾼 답다. 책을 읽고 글을 쓰고 또 책 읽기를 권하는 모든 사람들이 한번쯤 가볍게 보면 좋을 책이다.
이야기! <소설처럼>은 이야기로 시작하여 여러가지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야기로 맺는다. 자녀가 혹은 학생들이 책읽기를 거부하거나 어려워하는 것을 바라보는 부모나 선생님은 조바심이 날 수밖에 없다. 기다려도 보고 상벌도 취해보지만 그들이 우선 터득하여 개발하는 것은 책읽기가 아니라 책을 읽는 시늉이라고 말한다. 아이가 어릴 적을 떠올려보라. 매일 잠자리에서 들려주거나 읽어주던 이야기. 아이는 그 이야기를 반복하여 듣고 나중엔 다 외워서 줄줄 외고, 그 다음엔 자신이 개작을 하여 내게 들려주곤 했지 않은가. 같은 이야기 같지만 한 번도 같지 않았던, 날마다 새롭고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듣던 우리들의 목소리가 어느 날부터인가 사라지는 게 문제였다.
아이가 활자를 알게 되면 부모는 책 읽어주기를 그만두고 아이는 그 어마무지한 활자의 괴물들과 고투를 해야한다. 다니엘 페낙은 책은 보는 게 아니라 읽는 것이라고 곳곳에서 역설하고 있다. 소리내어 읽는 것 말이다. "소리내어 책을 읽는 사람은 그것을 듣는 사람 앞에서 자신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격이다." (P224) 이야기에 심취하여 고스란히 작가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책 읽어주기 방식을 시종 권하고 있다. 이 책에는 실제로 20년간 고등학교에서 교사를 한 작가의 경험이 곳곳에 녹아있다. 군데군데 이름만으로도 입이 벌어지는 고전문학이 언급된다. 문자를 모르는 아이에게만 읽어주기 방식이 유효한 게 아니라 다 큰 학생들에게 책 읽어주기는 어마어마한 독서의 세계로 인도하는 훌륭한 방식이 된다. 가장 고전적인 방식을 잊고 현대의 대중매체나 여타의 환경 탓만 하고 있었던 것이다.
아이들이 책을 멀리 할 때는 두 가지의 이유를 생각해볼 수 있다. 그 책에 대한 시간적 압박감과 내용상의 두려움이다. 저 두꺼운 걸 읽으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해? 하지만 시간은 찾아서 내는 사람에게는 길고 맛깔나다. 하루에 몇 페이지를 정해두고 읽어도 사흘이면 어떻게 된다는 식으로 구체적인 계산을 해 주는 작가의 친절함에 끌린다. 내용이 독자를 짓누를 거라는 소심함, 읽어도 모르는 내용일 거라는 뒷걸음질 또한 책을 멀리하게 하는 요인으로 지적한다. 여기서 '보바리즘'의 단계를 무시하지 말라고 권한다. 즉 '오로지 감각만의 절대적이고 즉각적인 충족감'을 위한 사춘기 적의 책 읽기 단계도 성숙한 독서를 위한 한 단계이므로 이것을 비아냥거리거나 단호히 내몰아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작가는 오히려 '우리 자신의 청소년 시절과 화해하는 것이 현명한 태도'라고 말한다. 이 부분에서 중학생 이상의 아이를 둔 사람이라면 책뿐만 아니라 다른 취향까지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가장 믿음이 가는 대목은 마지막 장, '읽고 나서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권리' 편이다. 인간은 살아 있기 때문에 집을 짓는다. 그러나 죽을 것을 알고 있기에 글을 쓴다. 인간은 무리를 짓는 습성이 있기에 모여서 산다. 그러나 혼자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책을 읽는다. ..... 독서는 인간의 운명에 대하여 어떤 명쾌한 설명도 제시하지 않는다. 다만 삶과 인간 사이에 촘촘한 그물망 하나를 은밀히 공모하여 얽어놓을 뿐이다. 그 작고 은밀한 얼개들은 삶의 비극적인 부조리를 드러내면서도 살아간다는 것의 역설적인 행복을 말해준다.(P225)
어른들은 흔히 책을 읽고 난 아이에게 이것저것 질문을 던진다. 그것도 모자라 한 단락을 읽히고 중심내용을 묻고 한 문장으로 요약해 보라고 주문하고 단어의 뜻을 아느냐고 끊임없이 추궁한다. 이런 행위들이 책 읽기를 더욱 어렵게 하는 어리석은 짓이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그저 아무런 질문을 하지 않고 이야기의 맛에 도취되어 들려주고, 들으며, 온전히 하나의 시간이 되었던 그 옛날로 돌아가라고 권한다. 우리는 어느덧 그런 행복한 시절이 있었다는 것조차 잊고 있지 않느냐고..
곳곳에 작가 자신의 독서경험과 책 읽어주기 체험담들이 나오는데, 톡톡 튀는 목소리가 흥미롭다. 우리는 다음 장이 궁금해 미칠 지경인 이야기를 듣고 싶다. 관념이나 사설이 아닌 잘 짜여진 이야기에 목 마르다. 하지만 그걸 읽고도 아무 말도 할 수가 없는 것, 그 이유에 대한 작가의 변이 어쩌면 책의 한계가 아닐까 싶다.
- 책은 우리의 의식을 완전히 변화시킬 수 있을지는 몰라도 악화일로로 치닫는 세상을 그대로 방관할 수밖에 없다는 것, 바로 그 때문에 우리는 아무 말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침묵한다. (P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