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하루종일 비가 내렸다. 그저께 내 부주의로 차사고가 나서 차도 없고 마음도 몸도 착 가라앉아 있던 터라 억지로 일으켜 세워야했다. 눅눅한 느낌 그대로 우산을 쓰고 멍하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저녁 모임 장소로 향했다. 30분 일찍 도착한 나는 아무도 없을 줄 알고 들어간 북적이는 식당의 방 한 칸에 앉아 계신 한 분을 보았다. 은발이 멋스러운 선생님이라 뒷모습만으로도 누군지 알 수 있었다. 눈빛이 맑은 분이라 사제복 같은 옷을 입고 계신 그 분 앞에 앉으니 마치 고해성사라도 해야할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말로 다 하지 못할 것들이 늘어가고 답답한 것들을 어떻게 풀어가야하나 혼란스러운 날들이다. 다친 마음도 쉽사리 낫지 않고 그저 마음은 또 길을 나선다. 수수한 분들과 식사와 반주 한 잔 나누고 몇 가지 결정사항들을 의논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역시나 유쾌한 선생님 한 분의 유머로 우리는 허름한 시내의 식당가 골목을 빠져나오며 키득거렸다. 3초 내에 사과하기! 자신이 늘 말하는 것이라며 그러면 모든 게 용서된다고 ㅎㅎ 사과에도 타이밍이 있는 것, 맞지만 쉽지 않다. 사과하고 싶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돌아오는 길에 우편함에서 이 책을 발견했다. <언니네 마당>이라고 발신인이 찍혀 있는데, 누구실까? 핸폰 번호까지 적혀 있는데 혹시 나를 아시는 분인가 궁금하다. 벌써 10회째의 잡지다. 재생용지를 썼고 매회 다른 한 가지 주제로 엮어냈다. 재미있게 읽을 것 같다. 참신한 시각이 요소요소 보인다.
어제 모임에 나가기 전 우연히 보게된 '어쩌다 어른'에서 김미경 강사의 아들 이야기에 눈시울 적셨다. 지하 10층으로 떨어진 아이 위에 서지말고 엄마는 지하 11층으로 내려가 받혀주어야 한다고. 태어나면서 누구나 갖고 있는 자존감과 천재성을 훼손하는 건 엄마의 말 한마디라고. 나는 그저께 차사고가 난 직후 엄마의 전화 한 마디로 그동안 엄마에서 품은 서러운 감정을 다 풀었다. "지금 못 오니? 방금 밥 앉혔는데.. 너 온다고 해서... 무슨 사고? 나랑 전화하다가가 그런 거 아니니? 다친 데는 없니?" 괜찮다고 하고 급하게 끊었지만 마음속에 눈물이 차올랐다. 따뜻한 밥 한 그릇 배부르게 먹은 것 이상이었다.
존칭으로 '어르신'이라고 불러드렸다가 된통 혼났다는 어느 선생님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60대 중후반 분이었기에 그렇게 불러드렸는데 오히려 역정을 내시더란다. '어른'이란 얼마나 부담스러운 이름이냐. 안팎이 조화롭지 못하다는 점에서 나는 아직도 어른이 아니라는 건 확실한 것 같다. 콩다래끼 난 눈이 꺼벅거리고, 창 밖에 바람이 으르릉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