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섬 ㅣ 그르니에 선집 1
장 그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199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장 그르니에의 《섬》(민음사, 1997)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리뷰를 읽는 것보다 마음에 드는 글을 골라서 여러 번 곱씹어 읽는 것이 좋다. 이 책이 도대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는 불평 섞인 리뷰를 읽은 적 있다. 물론, 《섬》이 술술 읽히는 책은 아니다. 김화영 교수의 번역은 불친절하다. 이 책에 언급된 프랑스 작가들이 누군지 알려주는 주석이 없고, 간혹 독자가 이해하기 힘든 표현 몇 개 보인다. (특히 알베르 카뮈가 쓴 서문에 ‘지드적인 감동’(5쪽)과 ‘멜빌이 「화요일」 속에서 보여준 순례’(8쪽)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단어가 들어간 문장을 이해한 독자는 과연 몇 명일까?) 그러나 책에 명확한 주제가 드러나 있지 않다고 말하는 건 읽는 이의 노력의 문제일 수 있다. 《섬》을 반복해서 읽으면 처음에 읽었을 때 스쳐 지나간 문장들이 눈동자 속으로 들어온다. 그 경험의 과정에서 독자 자신에게 어울릴만한 ‘특별한 주제’를 발견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되찾기 위한 여행(『행운의 섬들』), 비밀스러운 삶을 갖는 즐거움(『케르겔렌 군도』) 등을 강조한 내용이 이 책의 핵심 주제라고 믿는 독자가 있겠지만, 적어도 그르니에가 특별히 강조하려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이 책의 주제는 글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마음가짐 속에 있다. 그르니에는 원래의 인식을 뛰어넘어 새롭게 인식하게 만드는 사유 방식을 통해서 자신의 삶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익숙한 대상을 다른 각도에서 보는 것. 이 경험은 새롭게 현실을 지각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특별한 경험은 결코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새롭게 현실을 지각하는 법을 아는 독자들은 그르니에의 《섬》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그르니에는 공(空), 고양이, 비밀스러운 삶, 여행, 인도(India) 등의 소재에 대해 차분한 어조로 풀어낸다. 그가 바라보는 것들은 삶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김질하게 해준다. 삶에 대해 의문을 품는 태도는 ‘삶 읽기’의 근원이다. 그렇게 그르니에의 사유는 시작된다.
나는 사물들이 지니고 있는 현실성이란 실로 보잘것없다는 사실에 대하여 생각을 되씹어보기 시작했다. 우리의 삶 가운데 일어나는 여러 사건들은 내부의 가장 깊숙한 곳에 감춰져 있던 것이 차례차례 겉으로 드러나는 일에 지나지 않은 것임을 나를 확신하고 있는 터이니까 말이다. 나는 그냥 살아간다기보다는 왜 사는가에 의문을 품도록 마련된 사람들 중의 하나였다. (『공의 매혹』 28쪽)
이 알쏭달쏭한 삶 속에서 생각의 꼬리에 꼬리를 물고 도는 작가는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찾으려고 한다. 『고양이 물루』는 작가가 물루라는 이름의 고양이 한 마리를 만나면서 실존의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글이다. 우리는 고통을 피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고통은 우리 곁에 찾아온다. 즐거움이 끝난 다음 찾아오는 고통이 있는가 하면, 엎친 데 덮친 것처럼 찾아오는 고통도 있다. 또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는데 불쑥 찾아오는 고통도 있다. 그르니에는 특이하게도 밤에 대한 끝없는 공포에 전율한다.
황혼녘, 대낮의 그 마지막 힘이 다해 가는 저 고통의 시각이면 나는 내 불안감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고양이를 내 곁으로 부르곤 했다. 그 불안감을 뉘에게 털어놓을 수 있으랴? 「나를 진정시켜 다오」하고 나는 그에게 말하는 것이다. 「나는 하루에 세 번 무섭다. 해가 저물 때, 내가 잠들려 할 때, 그리고 잠에서 깰 때. 확실하다고 굳게 믿었던 것이 나를 저버리는 세 번…‥. 허공을 향하여 문이 열리는 저 순간들이 나는 무섭다」 (『고양이 물루』 41~42쪽)
그르니에는 어떻게 고통을 견뎌내고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은 고양이에게 말을 거는 그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르니에는 고양이 앞에서 고통을 진솔하게 고백한다. 고통을 받아 절망과 포기에 무너지는 존재는 왜소하게 보인다. 그러나 고통을 직시하는 용기는 인간만이 보여줄 수 있는 모습이다. 그르니에가 고양이에게 말 거는 모습이 우스워 보일 수도 있겠지만, 그의 고백은 진솔하다.
이 책 전체를 어느 고독한 남자의 긴 독백이라고 보고 싶다. 그르니에의 글을 읽으면서 고통이 아니라 ‘고통에 대한 태도’가 우리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평범한 것들로부터 삶의 진실을 발견하는 그르니에의 사색은 ‘사라지는 것에 대한 의문’이 있기에 가능했다. 왜 사는지 되씹어보면서 살아간다는 건 넓디넓은 세상 속에서 우리의 편협한 시선을 뒤집어 자기 자신을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