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유레카(yureka01)님 블로그에 공개된 반성문을 보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저도 어제 박진성 시인이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이상하게도 이 소식이 포털사이트 뉴스 메인에 많이 노출되지 않고 있습니다. 만약 어제 기사를 못 봤거나 유레카님이 반성문을 공개하지 않았으면 사건의 진실을 영영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작년에 성폭력 혐의를 받은 박 시인은 1년 간 법정 분쟁 끝에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박 시인의 무혐의 처분 소식을 전달한 뉴스가 그리 많지 않았어요. 시간이 지나면 취재 대상에 대한 관심을 접고, 또 다른 먹잇감을 노리는 언론인들, 또 후속 기사를 내지 않는 언론인들. 그들의 잘못이 크지만, ‘약자(弱者)’악자(惡者)’라고 판단하여 돌을 던져 놓고도 관심을 잊은 익명의 군중도 책임이 있습니다. 제가 박 시인에게 돌을 던졌던 익명의 군중에 속했던 사람입니다. 오늘 유레카님의 반성문을 읽으면서 사실 검증을 하지 않은 다수 여론에 편승하여 돌을 던진 제 행동이 부끄러웠습니다.

 

알라딘 서재는 폐쇄적인 커뮤니티입니다. 이렇다 보니 올바르지 못한 편견은 쉽게 공개되고 삭제(혹은 비공개)되지 않는 이상, 오랫동안 전시됩니다. 또 커뮤니티 안에 형성된 다수 여론에 크게 휩쓸리기 쉽습니다. 다수 여론 분위기에 익숙하게 되면, 개인은 다수 여론에 적합한 기준에 따라 특정 인물을 평가하게 됩니다. 다수 여론이 커뮤니티 전체를 지배하는 분위기가 얼마나 위험한지 알고 있지만, 위험 신호를 알아차리기가 힘듭니다. 위험 신호를 감지한 사람은 소신 있게 다수 여론의 문제점을 비판합니다. 그러나 비판할 용기가 부족하고, 자신의 발언에 대한 후폭풍이 두려우면 끝내 침묵하게 됩니다.

 

우리 주변에 관심거리가 아주 많습니다. 그래서 어떤 것에 관심을 가져도 새로운 관심거리가 등장하기 때문에 기존의 것에 금방 흥미를 잃어버립니다. 또 인간은 망각의 동물입니다. 좋은 거든 나쁜 거든 자신이 상대방에게 했던 언행을 까맣게 잊어버립니다. 시간이 지나면 제가 저지른 잘못은 잊힙니다. ‘지저분한 잘못은 속절없이 흐르는 시간에 씻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 잘못으로 인해 (간접적/직접적) 피해를 본 당사자는 죽을 때까지 고통의 시간 속에 지내야 합니다. 그들에게 시간은 이 아니라 입니다. 피해자가 처한 상황을 생각하면 아무 일 없다는 듯이 남몰래 잘못을 숨기는 일은 비겁한 짓입니다. 따라서 저도 유레카님처럼 반성문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제 잘못을 공개한 게시물이나 댓글은 웬만하면 삭제하지 않습니다. 알라딘이 망하거나 제 서재 블로그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다면 이 반성문을 끝까지 보관할 생각입니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12-04 16: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12-05 11:16   좋아요 0 | URL
‘반성’도 독행일치를 실천하는 태도라고 생각해요. 사소한 잘못도 이게 왜 잘못된 것인지 짚고 넘어가야 해요. 상대방이 지적하지 못한 잘못은 자신이 스스로 살펴봐야 합니다. 그냥 놔두면 ‘고정관념’이 됩니다.

2017-12-04 18: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2-04 18: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12-05 11:07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답글이 늦었습니다.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제 견해를 밝히고 싶었습니다. 답글을 ‘비밀’로 할 것인지, 아니면 공개할 것인지 고민했습니다. 제 블로그에 비밀 댓글이 많이 달리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어떤 대화를 나누든지 간에 투명성 있게 대화를 나누고 싶었어요. 소신 있게 제 입장을 밝히겠습니다. ***님의 의견들을 일일이 확인했습니다. 저도 박진성 시인 관련 사건에 대한 언론 자료를 더 찾아보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상세한 답변을 하지 못한 내용 몇 개가 있을 거예요. ***님의 의견을 회피하거나 무시하는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여전히 제가 모르는 것이 많고, 제대로 확인하고 나서 답변을 정리하고 싶습니다만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1. 시인이 ‘자살하겠다’면서 협박했다는 피해자의 진술은 알고 있습니다. 시인의 언행은 잘못됐고, 가벼운 농담으로 볼 수 없습니다.

2. 정말로 그런 목적으로 자살을 시도했다면 비판받아야 마땅합니다. 하지만 저는 시인이 자신의 억울한 상황이 답답해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봤습니다.

3. 시인이 성폭력을 저질렀다고 제기한 피해호소인 A는 무고죄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고, 또 다른 B는 허위 글 작성으로 명예훼손죄로 인정됐습니다. 지금까지 내용은 언론에 보도된 것들입니다. ‘그들이 없는 사실을 지어낸 것이 아니다’고 볼 수 있을까요?

4. 박 시인이 송 시인을 고소했다는 내용이 보도된 기사가 딱 한 건 있군요. 올해 1월 24일에 한겨레가 보도했습니다. 검색해야만 찾을 수 있는 기사입니다. 송 시인이 자신의 트위터에 박 시인의 자살 시도를 비꼬는 발언을 했습니다. 그게 ‘비판’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송 시인의 반응이 지나쳤습니다. 송 시인의 문제 발언은 무조건 악의적으로 공격하는 안티페미니스트들의 성격상 집중 공격을 받을 만했어요. 박 시인 무혐의 처분 판결 이후로 안티페미니즘 여론이 커진 건 사실입니다. 페미니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 확산되는 건 아닌지 걱정됩니다. 안티페미니스트들은 박 시인을 ‘페미니스트들에게 억압받는 남성들’을 대변하기 위해 희생한 영웅 급으로 미화할 수 있어요. 그건 정말 잘못된 생각입니다. 오히려 박 시인을 두 번 죽이는 일입니다. 앞서 3번 답변에 언급했지만, 박 시인은 안티페미니스트들의 목소리를 높이려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 아닐 겁니다.

5. 성범죄 가해자가 마음만 먹으면 피해자의 고소를 허위 고소로 몰아세울 수 있습니다. 이 점에 대해서 더 논의하고 싶지만, 솔직히 제가 법학 관련 지식에 빈약해서 제 입장을 밝힐 수가 없었습니다. 너그러이 이해해주길 바랍니다.

6. 제 반성문에 언급된 ‘익명의 군중들’이 ‘문단 내 성폭력 공론화를 주도한 페미니스트’를 의미한 것이 아닙니다. 제가 독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는 표현을 썼군요. 저는 사실 확인도 없이 다수 여론에 동참하는 일반 대중의 반응을 비판했습니다.

***님의 의견에 일일이 답변해드리지 못해서 정말 죄송합니다. 최대한 ‘가짜 뉴스’와 ‘선동’을 피하면서 사건의 진실을 제대로 알아보려고 노력해봤지만, 도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되었고, 무엇이 사실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박 시인 사건을 기점으로 안티페미니스트의 역풍이 더욱 거세질 것입니다. 이 분위기를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막막합니다.

2017-12-04 20: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sprenown 2017-12-04 20: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기사를 보지 못해 박진성 시인 사건에 대해 잘은 모르지만, 이렇게 떳떳하게 반성문을 게재하는 것도 용기입니다. 자신의 잘못과 오판에 대해 반성하고, 성찰하는게 중요하지 않을까요? 꼰대같은 얘기지만 너무 자책 하지 마시고, 저도 그렇지만 좀 더 신중하고, 비판적인 안목과 시각이 필요하리라 봅니다.

cyrus 2017-12-05 11:25   좋아요 1 | URL
SNS나 블로그에 정치 및 사회적 현황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떳떳이 밝히는 사람들이 많아졌어요. 그런데 문제는 이런 사람들이 편견이나 다수 여론에 쉽게 빠져들어요. 또 식견이 있는 ‘전문가’처럼 행세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어제 제 글쓰기를 ‘딜레탕트’, ‘스노비즘’이라고 언급한 거 기억하시죠? 나도 모르는 사이에 자만에 빠지면 글의 문제점을 보지 못해요. 언론 보도를 인용하는 글쓰기를 자제할 생각입니다. 그냥 리뷰나 열심히 써야겠어요. ^^;;

sprenown 2017-12-04 2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좀전에 인터넷 검색을 해서 기사를 찾아보니 박시인이 얼마나 억울했으면 하는 생각이 드네요“리트윗 1000이면 그게 학설이 됩니다. 트위터에서 리트윗 2000이면 그게 기사가 됩니다. 트위터에서 리트윗 3000이면 그게 진실이 됩니다.” 이게 언론과 SNS의 폐해라는 생각이 듭니다. 냄비근성....

sprenown 2017-12-05 11: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 경험하시는 것 같네요..너무 의기소침하지 마시고, 앞으로도 깊이 있고, 알찬 리뷰 기대할게요^^.

cyrus 2017-12-05 11:40   좋아요 0 | URL
‘좋은 경험(잘못을 저지르고, 혼자 반성하는 루트 반복)‘이 많아져서 문제입니다. 이러면 반성의 진정성이 떨어지거든요.. ^^;;

sprenown 2017-12-05 11: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반성문을 진심을 담아 공개하는데 진정성이 떨어지겠어요? 더 심한 욕을 하고, 무책임하게 비난하였던 자들은 반성의 기미도 보이지 않는데..다들 그 마음 알거예요.. 좋은 하루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