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박스 - 남자다움에 갇힌 남자들
토니 포터 지음, 김영진 옮김 / 한빛비즈 / 201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용기와 대담함, 명예, 대의명분을 위한 희생. 이 모든 것들은 남자들의 전유물이었다. 남성성은 때로는 폭력성, 권위주의, 남성우월주의, ‘마초(macho)’ 등과 같이 부정적인 인상을 주기도 한다. 페미니즘에 무지하면 사회 현상을 온전히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깨닫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기존의 남성 중심 사고방식은 점차 희미해져 가고 있다. 문제는, 젠더 문제에 대한 인식이 남녀에 따라 극심한 격차를 보인다는 점이다. 여성 문제 인식에 대한 남성들의 문화 지체 현상은 우려할 만한 상황이다. 한마디로 일부 남성들은 아직도 조선 시대에 살고 있다. 잘못된 남성성은 일상생활 속에 슬며시 스며들어 억압과 불평등을 양산한다. 맨박스는 알게 모르게 우리의 의식 속에 굳건히 뿌리 내린 남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떻게 형성돼 발전하고, 나아가 어떠한 결과를 낳았는지를 상세하게 드러내 보인다.

 

강인한 정신으로 고정되는 남성성은 차별화의 도구로 전락한다. 남자다움이라는 고정관념은 여성, 동성애자를 억압하고 짓밟는 수단이 된다. 과거의 남성은 늘 강해야 하고 육아와 가사에는 관심이 없다. 남자들은 여자 앞에서 나약하고 슬픈 모습을 보여주기 싫어한다. 어렸을 때 눈물을 자주 보이면 어른들은 감성적인 여성이나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어린아이에게나 있을 수 있는 유약한 태도라고 가르친다. 남자들은 사춘기 때 여자 같다는 놀림을 받기 싫어서 일부러 술, 담배를 일찍 배우는 위악을 부리기도 한다.

 

그러나 실은 슬픔에 대한 감수성을 잃은 남자들이야말로 비겁하다. 이들에게는 상대방에 대해 고통스러워하고 슬픔을 느끼는 힘이 없다. 정서적으로 교감을 나누는 방식을 잘 모른다. 강압된 남성성이라는 상자, 즉 맨 박스(Man Box) 안에서 성장한 남자는 이성과의 관계 맺기에 서툴고 폭력적인 모습을 보인다. 남자들이 여성과의 의사소통에 서툴고 폭력적인 모습까지 보이면서도 이를 정당화하고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여자와 손잡고, 키스하고, 마지막에 섹스하는 것으로 사랑이 표현된다고 남자들은 착각한다.

 

남자들도 소통과 교감에 대한 욕망은 분명히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남자는 맨 박스 안에 숨어서 자신의 감정을 은폐한다. 어릴 때는 권위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학창시절엔 남녀 간 소통이 배제된 폭력적 판타지인 포르노로 성에 눈을 떴다. 더 커서는 상명하복의 군대·회사 등의 조직으로부터 수직적 관계만을 배웠다. 이런 남자들이 정서적 친밀감을 표현하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남자들은 정서를 교류하는 어떤 교육도 받지 못한 채 사회적으로 강요된 남성성을 따른다. 관계 맺는 상황에 서툴면 남자는 의기소침해진다. 남자들은 자신에게 약점이 있다고 느끼면, 감추려고 한다. 약점을 숨기기 위해서 강한 남자로 흉내를 내고, 여자와 거리를 두는 관심 결핍상태에 이른다. 관심 결핍에 빠진 남자들은 여성이 처한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들은 남자가 일으킨 여성 폭력이나 성범죄가 잘못된 행위라는 걸 알면서도 자신이 착하고 평범한 남자라서 그 일과 무관하다고 생각한다.

 

맨 박스의 저자 토니 포터는 남자들 스스로 솔직한 성찰과 고백을 표현하고, 여성과 함께 대안을 찾아갈 때 성폭력과 성차별이 근절될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맨 박스에 갇혀 지낸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서 미숙한 행동에 대해 반성한다. 맨 박스에 살아왔던 남자들이 스스로 마음의 맨살을 보여준다면 남성성에 벗어나는 해방감을 느낄 수 있다. 이제 남성성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고, 사회적 권력을 유지하던 시대는 지났다.

 

 

남자들에게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 뭐냐면요. 여자에 대한 인식과 여자를 대하는 법을 다시 배워야 한다는 겁니다. 지금껏 몸에 깊게 밴 인식을 재정립해야 하는 거죠. 전 남자들이 어떤 이슈에서건 여자들의 의견과 생각. 제안, 충고를 진정으로 가치 있게 여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성을 남성만큼 존중할 때 우리는 남자가 우월하고 여자는 열등하다는 성차별주의를 뿌리 뽑을 수 있어요.” (123)

  

 

맨 박스강한 남성성이라는 외투를 입었던 남자로서 자성이 담긴 일종의 반성문이기도 하다. 강압적인 남성성에 의지하는 알량한 고집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는 물론 자신까지 망가뜨린다. 남성과 여성이 본래 서로 대립하는 관계가 아님에도 마치 원수처럼 산다면 인생의 큰 즐거움마저 잃는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거서 2016-10-07 20:3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며칠 전에 우리나라에서 갑질이 가장 심한 연령대가 40~50대 남성이라고 하더군요. 무려 전체 신고의 98%였던 것 같아요. 한국 남자들 사회 구성원으로서 문제가 심각한 상태입니다.

cyrus 2016-10-08 20:23   좋아요 0 | URL
그 연령대 어른들은 시대 변화를 받아들이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미래에 중년층 구성원이 많아지면 지금의 젊은 세대가 갑질을 부릴 수도 있어요.

yureka01 2016-10-07 21:2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어릴때 폭력에 많이 노출되면 커서 폭력 휘두르는 걸 아무렇지도 않게 되죠.비슷한 이치겠죠.이걸 끊어낼 성찰이 필요한데...학교에서 ,,커서 군대에서...에휴...

cyrus 2016-10-08 20:25   좋아요 0 | URL
그렇습니다. 폭력 문화가 예전에 비해서 사라졌다고 해도 어디선가 여전히 되물림되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을 겁니다.

마립간 2016-10-08 0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인한 정신으로 고정되는 남성성은 차별화의 도구로 전락한다. ; 학벌의 서열화, 아파트(거주지)의 서열화, 직장(예 재벌 기업, 정규직)의 서열화 등도 같은 개념이죠.

페미니즘을 통해 사회개혁이 될지, 아니면 사회개혁을 통해 성평등을 이룰지. ; 희망을 버리지 말아야겠죠.

cyrus 2016-10-08 20:29   좋아요 0 | URL
제 생각에는 현재 사회가 페미니즘을 통해 사회개혁을 시도하는 단계에 왔다고 봅니다. 여기서 제일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분위기가 식으면 과거의 문제점이 또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다시 페미니즘 담론이 형성되고, 또 시간 지나면 열기가 가라앉는 반복된 패턴에 진전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