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 유성우가 쏟아져 내리던 하늘을 보지 않았다. 옥상에 올라갈 생각도 하지 않았다. 집 주변에 가로등과 건물 사이로 흐르는 빛의 세기가 강했다. 하늘 위로 뻗은 도시의 빛 때문에 유성우를 맨눈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나는 밖에 나가지 않고 오랜만에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펼쳤다. 그 책에 재미있는 일화가 나온다.

 

 

 

 

 

 

 

 

 

 

 

 

 

 

 

 

 

 

세이건이 천문대에 일했을 때 겪은 일이다. 야간 근무 중에 한 통의 전화가 왔다. 그가 전화를 봤자 술 취한 아재 목소리가 들려왔다. “거기 천문학자 바꿔 봐!” 세이건이 자신이 천문학자라고 대답하자, 아재는 하늘에 이상한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세이건은 그 시간에 혜성이 지나가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아재가 본 것은 혜성이라고 알려줬다. 아재가 혜성이 무엇이냐고 물어봤다. 세이건은 지름이 1km 넘는 눈 덩어리라고 설명했다. 한참 동안 수화기에 침묵이 흘렀다. 아재가 말했다. “진짜 천문학자 좀 바꿔 봐!”

 

혜성은 먼지와 얼음덩어리로 되어 있다. 혜성이 태양에 근접해서 오면 먼지와 얼음덩어리가 태양의 열에 녹기 시작한다. 그래서 혜성이 지나간 자리에 혜성에서 나온 물질이 남는다. 그 물질이 대기권으로 들어오면 유성이 된다. 요즘 혜성과 유성우 관측 시간을 언론으로 접할 수 있다. 천문대에 직접 전화를 걸지 않아도 된다. 언론이 알려준 관측 시간에 맞춰 밤하늘에 바라보면서 기다리면 된다. 언론이 유성우 쇼가 펼쳐진다는 식으로 보도하는 바람에 화려한 밤하늘을 기대한 사람들이 많았다. 그래서 유성우가 잘 보이는 천문대로 찾은 사람들도 있었다. 그런데 기대했던 것만큼 유성우가 보이지 않아서 실망한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천문대 관계자는 시골이 관측하기 좋은 장소라고 말하자 허탈감에 빠진 사람들이 불만을 터뜨렸다. 천문대가 유성우를 관측하기 좋은 장소라고 믿고 찾아온 사람들이 시골에 가서 보라고 말하는 천문대 관계자의 태도에 화가 난 것이다. 이에 대해 천문대 관계자는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몰려들어서 안전을 위해 가로등을 끌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링크]

 

유성우를 맨눈으로 보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몇 분에 하나씩 스쳐 가는 유성을 보는 것만으로도 만족할 수밖에 없다. 이번에 내린 유성우는 시간당 수백 개까지 내리는데, 엄청 많이 내리면 수십만 개 정도에 이르기도 한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대기권으로 향하는 유성우의 수가 많으면 유성우 쇼라고 빗대어 표현한다. 그들은 유성우를 간절하게 보고 싶은 사람들을 낚으려고 거짓말하지 않는다. 사실 유성우가 어느 정도 내리는지 정확히 예측하기도 어렵다. 낙하하는 우주 물질은 태양과 주변 행성의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 어느 위치에 떨어지게 되는지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혜성이나 소행성도 마찬가지다.

 

유성우 쇼를 보지 못한 실망감에 천문대에 전화 걸어 화를 내는 사람이 없었으면 좋겠다. 천문대 공식 홈페이지 게시판에 들어가서 천문대 관계자들을 거짓말쟁이로 몰아세워서 비난하는 의견을 남기는 사람들도 없었으면 좋겠다. 부끄러운 행동이다. 새벽까지 인공 불빛이 번져있는 도시에서 유성우를 본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일이다. 언론은 유성우 관측의 어려움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마치 손쉽게 볼 수 있는 것처럼 보도한다. 그들이 천문학자에게 자문한다고 해도, 결국은 대중이 이해하기 쉬우면서 많이 보고 싶어 하는 것을 알린다. ‘화려한 유성우 쇼라는 과장된 표현을 써가면서 사람들의 기대감을 높인다. 생각보다 화려하지 않은 유성우의 등장에 사람들은 크게 실망한다. 사람들은 유성우를 보지 못한 이유가 가까이에 있는데도 잘 모른다. 도심의 등잔 밑이 어둡기 때문이다.

 

 

 

[링크] [“별똥별 보러 천문대 오라더니, 다시 시골로 가라고?”] 연합뉴스, 20168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3 16: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아예 볼 생각을 안 했씁니다. 빛 공해를 피해서 빛이 없는 공간을 찾아야 하는데 도시에서 그게 가능한가요... 어디..서울시 쌍문동에서 유성우 보겠다고 하늘 쳐다보는 거는 좀.... ㅎㅎ

cyrus 2016-08-14 06:26   좋아요 1 | URL
영화나 드라마에는 도시 밤하늘에 별이나 유성을 볼 수 있는 것처럼 나오잖아요. 그 장면을 믿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