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탑 속의 악마 (《우몽》 : 종루 속의 악마)

 

 

Blunderbuzzard “De Derivationibus,” pp. 27 to 5010, Folio Gothic edit., Red and Black character, Catch-word and No Cypher (원문)

 

➡ 블룬더부차드가 지은, 붉은색과 검은색 문자, 표제어와 암호가 금지된 2절 고딕판 <파생어에 대하여> 중 27쪽부터 1050쪽까지 참조하는 것도 좋겠다. (코너스톤 120쪽)

 

➡ 붉은색과 검은색의 글씨로 씌어진 고딕 판 폴리오, <전기 분류에 대하여>의 27페이지부터 5,010페이지까지를 살펴보라. (《우몽》 199쪽)

 

 

코너스톤 판에는 ‘27쪽부터 1050쪽까지’라고 잘못 적혀 있다. 숫자가 틀렸다.

 

 

 

* 아른하임의 영토

 

The negative merit suggested appertains to that hobbling criticism which, in letters, would elevate Addison into apotheosis. (원문)

 

➡ 자연 방식에 대해 제시한 소극적인 장점들은 문자 그대로 애디슨을 떠받들어 신격화하는 어색한 평론에 속한다고 할 수 있네. (코너스톤 166~167쪽)

 

➡ 내가 말한 부정적인 특성은, 문자 그대로 에디슨을 떠받들어 신격화할 수 있을 절름발이 비평에 해당하는 것이지. (《우몽》 167쪽)

 

 

 

‘Addison’은 영국의 수필가 조지프 애디슨(Joseph Addison, 1672~1719)을 가리킨다. 《우몽》은 ‘에디슨’으로 잘못 썼다. 에디슨은 미국의 발명왕(T. A. Edison, 1847~1931)이다. 포가 살아 있을 때 발명왕은 아직 태어나지 않았다.

 

 

 

* 랜더의 별장

 

It is not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do more than give, in detail, a picture of Mr. Landor’s residence — as I found it. How he made it what it was — and why, with some particulars of Mr. Landon himself — may, possibly form the subject of another article. (원문)

 

➡ 나는 우연히 찾게 된 랜더 씨의 별장을 어떻게든 전달하고 싶어 이 글을 썼고 독자들이 별장의 전경을 생생하게 느꼈다면 목적을 다 이룬 셈이다. 랜더 씨가 어떻게 별장을 짓게 되었으며 랜더 씨에게 별장이 얼마나 특별한 의미가 있는지는 아마도 다른 글에서 다룰 수 있을 것이다. (코너스톤 197쪽)

 

➡ 랜더 씨의 별장을 내가 보았던 그대로 독자들에게 상세히 그림처럼 보여주었다면, 나는 이제 이 글의 목적을 다 이룬 것이다. (《우몽》 124쪽)

 

 

소설 마지막 부분. 《우몽》에 소설 마지막 문장 한 줄이 누락되었다.

 

 

 

* 말의 힘

 

Its brilliant flowers are the dearest of all unfulfilled dreams, and its raging volcanoes are the passions of the most turbulent and unhallowed of hearts.

 

➡ 이 별의 아름다운 꽃들은 이루어지지 못한 소중한 꿈들이며, 성난 화산들은 난폭하고 부정한 열정이다. (코너스톤 240쪽)

 

➡ 저 아름다운 꽃들은 이루어지지 못한 가장 소중한 꿈들이며, 저 격렬한 화산은 더없이 격정적이고 순수한 마음의 열정이다. (《우몽》 170쪽)

 

 

《우몽》 번역자의 영어 실력이 의심된다. ‘hallowed’‘소중한’, ‘신성한’을 의미한다. 형용사 앞에 접두사 ‘un-’을 붙이면 형용사의 반대 의미가 된다. ‘unhallowed’가 ‘순수한’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

 

 

 

* 폰 켐펠렌과 그의 발견

 

After the very minute and elaborate paper by Arago, to say nothing of the summary in ‘Silliman’s Journal,’ with the detailed statement just published by Lieutenant Maury, it will not be supposed, of course, that in offering a few hurried remarks in reference to Von Kempelen’s discovery, I have any design to look at the subject in a scientific point of view. (원문)

 

➡ 모리 경위가 발표한 세부 성명은 <실리만의 잡지>에 요약본이 실린 것은 물론이고 아라고가 매우 정확하고 상세한 논문으로 발표한 터라, 폰 켐펠렌의 발견에 관한 짧은 언급에서까지 그 주제를 과학적 관점으로 살펴보지는 않을 것이다. (코너스톤 191쪽)

 

 

소설이 시작되는 첫 문장.《우몽》에는 첫 문장이 삭제되었다.


 

 

I am pleased in being able to state positively, since I have it from his own lips, that he was born in Utica, in the State of New York, although both his parents, I believe, are of Presburg descent. The family is connected, in some way, with Mäelzel, of Automaton-chess-player memory. [If we are not mistaken, the name of the inventor of the chess-player was either Kempelen, Von Kempelen, or something like it. — ED.] In person, he is short and stout, with large, fat, blue eyes, sandy hair and whiskers, a wide but pleasing mouth, fine teeth, and I think a Roman nose.

 

➡ 기쁘게도 폰 켐펠렌의 입으로 직접 들어 분명히 말하는데 부모님은 모두 프레스부르크 태생이지만, 폰 켐펠렌은 뉴욕 주 유티카에서 태어났다. 집안사람 중에는 자동 체스 게임기에 쓰이는 메모리를 개발한 멜첼이 있다. 폰 켐펠렌은 작은 키에 다부진 체구를 가졌으며, 크고 두툼한 파란 눈에 엷은 갈색 머리와 구레나룻, 크지만 매력적인 입과 고른 치아, 오뚝한 콧날을 지녔다. (코너스톤 265쪽)

 

➡ 나는 그의 입으로 직접 들었기 때문에, 그의 부모는 프레스부르크 출신이지만 자신은 뉴욕 주 유티카에서 태어났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어 기쁘다. 그는 키가 작고 땅딸막했다. 커다랗게 튀어나온 푸른 눈, 모래색 머리카락, 구레나룻, 웃는 듯한 넓은 입, 하얀 치아, 그리고 매부리코였던 것 같다. (《우몽》 193쪽)

 

 

멜첼(Mäelzel, 1772~1838)은 메트로놈을 고안한 독일의 발명가다. 《우몽》에 멜첼이 언급되는 문장이 삭제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ansient-guest 2016-03-25 0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은 전집세트로 가야하는 것이군요..`우몽`도 꽤 좋다고 생각했었는데, 에러가 엄청나게 많은 듯 합니다. 포를 숭배(?)하는 저는 전집을 보관함에 담아버렸습니다...-_-: 이담에 잠잘 방, 부엌, 화장실 빼고는 책으로 꽉 찬 집에서 살게 될 것 같습니다.

cyrus 2016-03-25 17:59   좋아요 0 | URL
코너스톤 포 전집도 오류가 몇 개 있지만, 그래도 <우몽>보다 낫습니다. 포의 작품을 제대로 읽으려면 포 전집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우몽>을 중고로 샀지만, 지금 생각하면 후회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