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 - 낭만의 달, 광기의 달 ㅣ Nature & Culture 1
에드거 윌리엄스 지음, 이재경 옮김 / 반니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영화에서 드라큘라가 사는 고성의 밤하늘에는 항상 보름달이 걸려 있다. 약간 파란 빛을 내는 보름달은 음습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블루문은 서양에서 양력 한 달 사이에 보름달이 두 번 뜰 때 두 번째 보름달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국에서는 지난달 31일에, 그것도 3년 만에 처음으로 블루문이 떴다. 그런데 보름달의 색은 잘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블루문’이라고 해서 파랗게 변한 달을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blue moon’의 어원을 ‘belewe moon’이라고 보는 설이 있다. ‘belewe’는 ‘배신하다’를 의미하는 단어인데 지금은 사어가 되었다. 달의 정체가 과학적으로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던 시절에는 ‘배신하는 달’이 뜨면 낯설게 받아들였다. 서양에서는 보름달이 사람 안에 사악함을 불러일으킨다는 전설이 전해져 왔다. 당연히 서양인들은 보름달을 좋지 않게 여겼고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이 자연의 섭리를 배신하는 것처럼 보였다.
달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두려움과 동경의 대상이었다. 점성술은 달이 사람의 정신과 행동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고 믿고 있다. 의사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도 보름달이 뜨는 날에 정신 착란 증세가 잘 나타난다고 생각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영어에는 ‘lunatic’이라는 단어가 있다. 정신이상자, 미치광이, 괴짜를 의미한다. 하지만 달이 사람 심리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속설은 근거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오늘날까지도 달의 주기와 인간행동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여전히 지금도 인간 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달의 주기와 관련된 다양한 속설이 전 세계를 떠돌고 있다. 터무니없는 속설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오랫동안 자리 잡고 있으면 진실처럼 느껴져 깨기가 힘들다.
인간에게 달은, 그냥 평범한 존재가 아니다. 달에 대한 음모론도 많지만 일단 제쳐놓고, 달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에게 필수적인 존재였다. 지금 우리는 근대의 합리적 세계관에 의한 교육의 영향으로 고대인의 사고체계를 미신 또는 신비주의로 치부해 무시해버리는 시대에 살고 있다. 달이 없었다면 음양의 조화는 물론 방아 찧는 토끼와 보름달이 뜨면 변신하는 늑대인간 등 수많은 신화와 전설도 없었다. 숱한 신화와 전설이 달을 이야기하고, 시와 예술이 찬미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달이야말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천체이기 때문이다. 수많은 동화와 노래와 전설 속의 주인공으로서 달은 우리 삶 깊숙한 곳에서 정서적 교감을 나누고 있다.
달은 광대무변한 우주에서 지구의 단 하나뿐인 위성이다. 그렇지만 달의 상식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달은 태양과 함께 천체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달의 인력은 지구의 바다를, 달과 그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며, 이렇게 부풀어 오른 지역은 지구 자전에 따라 서쪽으로 조금씩 움직여간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밀물과 썰물의 원리다. 달이 기울고 차는 모양 자체가 달력의 역할을 하여 역법의 기준이 됐다. 만약에 달이 지구 곁에 없었다면, 지구에 있는 모든 생명체는 살 수 없었을 것이다. 달이 지구의 자전축을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달은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산소’ 위성이다. 우리가 산소의 소중함을 잊으면서 살아가는 것처럼 달의 중요성을 잘 느끼지 못한다. 달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우리에게 가까이 있다.
옛사람들은 달을 두려움과 동경의 눈으로 바라보았지만, 과학은 전설과 속설 들을 한 꺼풀 벗겨냈다. 우리는 망원경으로 달의 맨살을 볼 수 있다. 달 표면에 남은 닐 암스트롱의 발자국은 달 탐사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위대한 도약이었다. 그런데도 여전히 달은 우주 속의 신비로운 존재다. 이태백이 놀던 달은 우주 비행선에 의해 그 후 여러 번 밟혔지만 예나 지금이나 달의 신비로움은 여전히 퇴색되지 않고 남아있다. 그러므로 아이들에게 좀 더 자주 달을 보도록 권하고 싶다.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합리적 세계관에 덜 물들어서 순수하다. 달 표면에 새겨진 전설을 음미하고 난 뒤에 달이 지구의 산소라는 중요한 사실을 이해해도 늦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