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바도르 달리와 앤디 워홀. 이 두 사람의 공통점은? 바로 살아있는 동안 돈과 명성 모두를 움켜쥔 예술가다. 예술 활동과 상업 활동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작품을 여럿 남겼다. 이들은 예술계의 셀리브리티(celebrity, 유명인사)였다. 대니얼 부어스틴의 표현처럼 셀리브리티는 미디어에 의해 만들어진 ‘큰 이름’(big name)이다. (『The Image』, 1961년) 달리와 워홀은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는 셀리브리티들과 교류하고 대중문화를 화폭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지금도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큰 이름’으로 거론되고 있다.

 

달리는 셀리브리티나 스타와의 만남을 집착할 정도로 좋아했다. 그는 자신이 천재이자 위대한 왕이라고 생각했다. 허세 가득했던 화가는 자신을 만나는 사람들에게 선물을 요구했다. 이런 달리의 태도에 그를 부담스럽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달리의 초현실주의 회화에 큰 영감을 준 프로이트는 달리를 ‘미치광이’라고 생각했다. 냉담한 반응에도 불구하고, 달리의 ‘연예인병’은 죽을 때까지 버리지 않았다. 스페인의 포르트 리가트에 위치한 달리의 자택에 그를 흠모하거나 추종하는 유명 인사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얼마나 그를 만나보고 싶었으면 비틀즈의 멤버 조지 해리슨은 달리가 자주 드나들던 식당까지 찾아갔을 정도였다. 아마도 달리는 매일 아침 눈을 뜨자마자 자신을 보러 오는 순례객들을 만나는 시간에 희열을 느꼈을 것이다.

 

 

 

 

 

 

놀랍게도 달리와 워홀도 ‘스타 대 스타’로서 만난 적이 있었다. 말년의 달리는 겨울을 뉴욕에서 보낸 적이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워홀의 명성을 모를 리가 없었다. 달리가 워홀에게도선물을 달라고 요구를 했는지 알 수 없지만, 워홀은 달리와의 만남을 싫어하지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달리 덕분에 다신 한번 자신이 대중에게 주목받을 수 있는 해줄 예술적 영감을 얻었다.

 

 

 

 

 

 

 

1966년에 워홀은 뉴욕의 유명한 미술상 레오 카스텔리의 갤러리에서 개인 전시회를 열게 되었다. 여기서 전시됐던 설치물은 워홀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갤러리 안에 있는 것은 바로 헬륨 가스를 빵빵하게 채운 여러 개의 은빛 풍선들. 거대한 베개가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듯한 은빛 풍선들은 ‘은빛 구름’(Sliver Clouds)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갤러리에 떠다니는 은빛 풍선, 아니 은빛 구름들은 관람객들도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된 설치작품이었다. 관람객들은 은빛 구름을 마음껏 던지고, 공중에 띄울 수 있다. 자연스럽게 놀이공원에서 보던 헬륨 풍선이 떠올린다. 관람객들의 동심을 자극한다. 그렇지만 풍선은 언젠가 터지게 되어 있다. 공기가 빠지거나 터진 풍선은 덧없는 인생을 의미한다. 워홀은 현대적인 감각으로 색다른 ‘바니타스’(Vanitas)를 선보였다. 이 재미있는 설치작품 덕분에 워홀은 다시 한 번 모든 사람에게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워홀은 달리에게 고마워해야 한다. 카스텔리 전시회가 있기 1년 전에 워홀은 달리가 머문 호텔 방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 그곳에 방 안을 떠다니는 은색 풍선들을 보게 되었다. 놀이공원에서 볼 수 있을법한 헬륨 풍선을 방 안에 놔두는 생각은 달리 아니면 누구도 할 수 없다. 워홀의 헬륨 풍선 아이디어는 달리의 호텔 방에서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사고,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은 독특한 패션과 돌발 행동. 두 사람은 서로 자신들의 천재성을 알아봤을 것이다. 달리의 인기가 하늘로 치솟아 오르는 것처럼 그의 콧수염도 동반 상승했다. 양 끝이 위로 올라간 특이한 콧수염은 달리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지만, 원조는 독일의 황제 빌헬름 2세다. ‘카이저(Kaiser)수염’이라는 콧수염 스타일까지 유행했을 정도였는데, 독일의 남자들은 황제의 콧수염에서 위풍당당한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황제의 콧수염은 권위적인 남성미를 부각시킬 수 있었다. 세상의 왕이 되고 싶었던 달리가 카이저수염을 길렀던 것도 이유가 있었다. 역시 달리는 자신을 유명하게 돋보이게 만들 줄 아는 뛰어난 전략가다.

 

워홀은 수염을 기르는 대신에 자신만의 패션 스타일을 시도했다. 검은색 선글라스에 가죽 재킷, 부츠를 선호했다. 그리고 파티에 참석할 때 가발을 착용했다. 달리처럼 워홀도 자신을 따르는 그루피(groupie, 열광적인 팬)들을 만나고 어울리는 것을 좋아했다. 그러나 자신감이 카이저수염만큼 하늘 높이 솟아올랐던 달리와 정반대로 워홀은 은근히 소심한 성격이다. 자신과 관련된 과거를 밝히는 것을 거부했고, 심지어 성장 과정을 일부러 왜곡할 정도로 자신의 존재감을 완전히 드러나는 것을 싫어했다. 워홀의 스튜디오인 실버 팩토리(silver factory)에 그를 만나고 싶은 그루피와 셀리브리티들이 매일 드나들 정도로 워홀의 인지도는 거의 유명 연예인급이었다. 그가 늘 착용하는 선글라스는 단순히 연예인처럼 보이기 위한 필수 아이템이면서도 자신을 알고 싶은 대중들의 시선을 피하기 위한 방어 수단이었다. 워홀은 늘 카메라를 항상 들고 다니면서 화려한 뉴욕과 셀리브리티들을 사진으로 찍어댔지만, 정작 자신은 카메라에 노출되는 것을 꺼렸다. 사진이 자신을 향해 있으면 손으로 얼굴을 가리거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렸다.

 

달리와 워홀은 한 발 먼저 세상을 앞서갔고, 세상이 원하는 아이콘이 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었다. 지금도 그들의 명성은 회자되고 있다. 죽어서도 세계에 큰 영향을 끼친 '큰 이름'으로 남기는 데 성공했다.  몇몇 사람들은 그들을 돈을 밝히는 속물이라고 비난하기도 한다. 특히 달리는 우리 같은 일반인들이 감당하기 힘든 문제의 인물이다. 그들이 그린 그림만큼이나 이 두 사람의 성격도 무척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 프리랜서 미술사가 캐서린 잉그램이 썼고, 앤드류 레이가 그린 달리와 워홀의 그래픽 평전은 분량은 가벼워 보여도 난해한 현대미술가 두 사람의 작품세계를 재미있고 쉽게 소개하고 있다. 영국 Laurence King 출판사의 'This is' 시리즈는 현재까지 달리, 워홀, 잭슨 폴록, 반 고흐, 폴 고갱, 프랜시스 베이컨, 앙리 마티스 편이 나왔다. 어젠다 출판사에서 고갱 편이 나올 예정이다. 현대미술 입문자라면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지만, 아티스트의 개인적 삶보다는 작품 세계에 심도 있게 파고들고 싶은 독자에게는 썩 만족스럽지 않은 책이 될 수도 있겠다.

 

 

 

 

 

 

특히 『디스 이즈 워홀』에 바스키아에 관한 언급이 단 한 줄도 없다는 사실이 의아하다. '21세기의 검은 피카소'라고 불릴 정도로 낙서화를 현대미술의 한 주류로 끌어올린 바스키아는 워홀과 친분을 맺고 같이 작업을 했다. 워홀의 일기에 바스키아가 언급될 정도로 워홀을 언급할 때 절대로 빠져서는 안 될 인물이다. 워홀과 바스키아와의 관계를 좀 더 자세히 알려면 『바스키아의 미망인』(제니퍼 클레멘트, 자음과모음, 2003년-품절)과 Taschen 베이직 아트 시리즈에서 나온 『장 미셸 바스키아』(레온하르트 에머를링, 2008년, 마로니에북스)를 참고하면 좋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밀의정원 2014-12-16 11: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찾아주셔서 고맙습니다. 좋은 책들을 많이 읽으시는군요 그 열정부럽습니다.

cyrus 2014-12-16 23:13   좋아요 0 | URL
반갑습니다.북플에 저보다 책 좋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

yamoo 2014-12-19 11: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흠...그렇군요...달리와 워홀은 살아있을 시 유명세를 탄 화가들이었죠. 전 워홀보단 달리를 더 좋아합니다. 초현실주의 작품을 보는 건 정말 환상적이거든요~

근데, 사이러스님은 어떤 화가를 제일 좋아하시는지...전 에셔나 피터 브뢰겔 그림을 좋아합니다만..

cyrus 2014-12-19 23:19   좋아요 0 | URL
야무님은 저랑 미적 취향이 비슷하군요. 저도 초현실주의 미술을 좋아하고, 심지어 에셔와 브뢰겔도 좋아합니다. 브뢰겔 좋아하는 분은 여태 한 번도 만나지 못했는데 가까이 있었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