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에 문외한이라 해도 피카소라는 이름을 들어 보지 못한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세상의 부와 명예를 다 누리면서도 장수까지 한 그였지만 그 역시 무명화가로서 어려운 시절이 있었다. 이 시기를 ‘청색 시대’(1901~1904)라고 부른다.
1901년 당시 20세의 피카소는 가난했다. 돈을 벌지 못해 차가운 빵으로 연명했고 얼음장 같은 단칸방에서 살아야 했다. 가까운 친구 카사헤마스가 죽자 피카소는 자신도 제대로 먹지 못해 눈이 멀지 않을까 걱정해야 했다.
파블로 피카소 「인생」 1903년
‘청색 시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인생」은 젊은 예술가의 차갑고도 깊은 절망감이 느껴진다. 벽에 그린, 마치 웅크리고 앉은 인물은 고독과 절망, 아이를 어르는 어머니는 탄생과 모성, 연인(남자의 얼굴은 죽은 친구 카사헤마스)은 육체적 사랑을 상징한다. 사랑, 결혼 그리고 생명의 탄생. 인생의 황금 같은 순간들이 실은 고통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색 시대로 세상을 보면 인생은 하나도 아름다울 것이 없고 절망과 불행의 연속으로만 느껴지게 돼 있다. 청춘의 고통과 우울함, 복병처럼 찾아든 가난과 향수병, 미래의 불안으로 영혼과 캔버스를 온통 어두운 청색으로만 염색했다. 그야말로 무기력했던 청춘의 ‘청색 시대’였다.
그러나 인생에서 그 궁극적 과제가 생존이고 생존은 고통과 고난을 수반하는 것이다. 더 나아질 것이란 희망은 어쩌면 우울한 시대에 자라나는 것이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피카소도 그랬다. 1905년에 자신의 그림이 인정을 받고, 사랑에 빠지기 시작하면서 피카소는 세상을 긍정적으로 보게 된다. 그의 그림에선 푸른색이 사라지고 화려한 붉은색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 시기를 피카소의 ‘장밋빛 시대’라고 부른다.
인생의 무게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든 이들의 어깨를 공평하게 짓누른다. 하지만 라이언 맥긴리의 사진을 보고 있노라면 젊은 날이 삶 가운데 특별히 빛나는 시간이라는 미신도 설득력을 얻는다.
라이언 맥긴리 「Somewhere Place」 2011년
누가 청춘을 반짝 빛나는 순간이라고 했던가. 맥긴리의 「Somewhere Place」에서 청춘은 영원하다. 피카소의 「인생」의 연인은 공허한 초점으로 예정된 인생의 고통을 기다린다면, 맥긴리의 연인은 하늘을 바라보면서 어딘가에 있을 인생의 기쁨과 환희의 순간들을 기다리고 있다.
앞으로 이어질 내일에 대해서도 전혀 아는 바가 없지만, 사진 속 비춰 내려오는 따사로운 장밋빛이 있어 마냥 두렵지만은 않다. 아마 우리가 나아가는 길도 그렇지 않을까. 인생을 살다 보면 청색 시대를 겪을 수밖에 없다. 거기서 절망하지 않고 노력하며 내일은 더 나은 날이 온다는 희망을 품은 사람만이 장밋빛 시대를 맞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