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 시인선 80
기형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 앞에서 불안에 떨어야만했던 절망적 자아, 기형도   

 

희망도 절망도 같은 줄기가 틔우는 작은 이파리일 뿐, 그리하여 나는 살아가리라 어디 있느냐
植木祭의 캄캄한 밤이여, 바람 속에 견고한 불의 立像이 되어
싱싱한 줄기로 솟아오를 거냐, 어느 날이냐 곧이어 소스라치며
내 유년의 떨리던, 짧은 넋이여 

- '식목제' 중에서 -

   

고등학생 때, 국어 수업을 통해서 처음으로 기형도라는 시인을 알게 된 시가 바로 '식목제'였다. '식목제'는 전문으로 보게 된다면 비교적 긴 내용에 속하는 편이다. 이 시를 알게 된 덕분에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는 시인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도 알 수 있었다.    

갑작스럽고도 불행한 죽음이라는 이미지로 결부되는 시인의 죽음이라는 인식 탓인지 당시 고등학생인 나로써는 기형도의 시가 너무 어둡고 절망적인 내용이라는 인식을 강하게 느꼈다. 비록 시인의 이름은 기억하고 있지 않겠지만, 내용만 보면 누구나 다 아는 '엄마 걱정' 같은 경우에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유년 시절 속 어머니에 대한 강렬했던 기억'을 묘사하는 시로만 생각하겠지만 실상 이 시에서도 시인 특유의 어두운 심성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식목제'라는 시의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울하고 절망적인 과거의 삶을 회상함으로써 '앞으로의 삶'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화자(시인)은 살아가면서 늘 마주하게 되는 과거에 대한 기억을 극복하지 못한 채 좌절하고 만다. 그리고 그 속에서 미래, 즉 앞으로의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보고 있다.  

기형도의 시에는 미래에 대한 전망, 즉 '희망'이라는 것이 배제되어 있다. '기형도'라는 이름의 육신은 썩어 사라졌지만 우울하고 절망적인 세상 앞에서 불안에 떨며 방황하는 내면적 자아는 그의 처음이자 마지막 시집이 되어버린 <잎 속의 검은 입>이라는 세련되면서도, 그의 불행했던 생애에 걸맞은 새로운 이름으로 지금까지도 남아 있다.  

   

 

 '죽음' 그리고 '가난의 고통'으로 기억된 시인의 유년 시절 

기형도의 시가 어둡고, 절망적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시인의 생애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나 그의 시 중에서는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내용이 많은데 어린 기형도는 이른 나이에 '죽음'이라는 현상을 깨닫기 시작했으며 가난의 고통을 체험해야만 했다. 뇌졸중으로 쓰러지면서 가세는 급격하게 기울었다. 그 때부터 시인의 모친이 가장 역할을 했다.  

그 해 늦봄 아버지는 유리병 속에서 알약이 쏟아지듯 힘없이 쓰러지셨다. 여름 내내 그는 죽만 먹었다. 올해엔 김장을 조금 덜해도 되겠구나. 어머니는 남폿불 아래에서 수건을 쓰시면서 말했다. 이젠 그 얘긴 그만하세요 어머니. 쌓아둔 이불에 등을 기댄 채 큰누이가 소리질렀다. 그런데 올해에는 무우들마다 웬 바람이 이렇게 많이 들었을까. 나는 공책을 덮고 어머니를 바라보았다. 어머니. 잠바 하나 사주세요. 스펀지마다 숭숭 구멍이 났어요. 그래도 올 겨울은 넘길 수 있을 게다 봄이 오면 아버지도 나으실 거구. 

 - '위험한 家係. 1969' 1연 중에서 -

  

시인의 모친은 어린 자식들을 거두기 위해 시장통으로 돈벌이를 하러 나갔다. 장터에 나간 어머니를 기다리던 시인은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돌아오지 않는 엄마를 걱정하다가 빈방에서 혼자 엎드려 훌쩍거렸다. 

  

   엄마 걱정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유년 시절을 쓴 시 중에 유독 추운 겨울로 배경을 한 내용이 많다. 어린 시절부터 불안한 심성을 지니기 시작했던 어린 기형도에게는 '문풍지를 더듬던' 겨울 찬 바람은 자신의 연약한 심성을 언제 해칠지 모르는  '죽음' 못지 않게 눈에 보이지 않는 무시무시한 존재였다. 마음이 약한 어린 기형도를 보호하기에는 어머니의 존재로도 부족했다. 

 

내 유년 시절 바람이 문풍지를 더듬던 동지의 밤이면 어머니는 내 머리를 당신 무릎에 뉘고 무딘 칼끝으로 시퍼런 무를 깎아주시곤 하였다. 어머니 무서워요, 저 울음 소리, 어머니조차 무서워요. 얘야, 그것은 네 속에서 울리는 소리란다. 네가 크면 너는 이 겨울을 그리워하기 위해 더 큰 소리로 울어야 한다.  

 - '바람의 집 - 겨울 版畵 1' 중에서 -

 

유년기를 지나서도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게 되는 사춘기 시절마저도 불행하게도 죽음의 신은 시인의 생애 주변을 자주 두리번거렸다. 중학교 3학년이던 기형도는 누이의 죽음으로 큰 상실감을 맛보았으며, 삶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 때의 내면적인 고민은 '시'로써 본격적으로 형상화되기 시작했다.  

 

   나리 나리 개나리

누이여
또다시 은비늘 더미를 일으켜세우며
시간이 빠르게 이동하였다
어느 날의 잔잔한 어둠이
이파리 하나 피우지 모한 너의 생애를
소리없이 꺾어갔던 그 투명한
기억을 향하여 봄이 왔다.

(중략) 

봄은 살아 있지 않은 것은 묻지 않는다
떠다니는 내 기억의 얼음장마다
부르지 않아도 뜨거운 안개가 쌓일 뿐이다
잠글 수 없는 것이 어디 시간뿐이랴
아아, 하나의 작은 죽음이 얼마나 큰 죽음들을 거느리는가



 
 

 조금은 불편하더라도 20대는 기형도를 읽어야한다  

시인의 시를 읽으면 누구나 가슴 한구석이 먹먹해진다. 시인이 되고서 4년 남짓 발표한 작품이라곤 많지 않았다. 발표하는 작품들마다 주목은 받았지만 20대 중반인 시인의 작품이 세상에 알려지기엔 살아온 세월이 너무 짧았다. 그의 유고 시집이 된 <입 속의 검은 잎>은 시인의 작품세계가 어떠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것은 불안과 죽음이다. 주식처럼 가지고 있는 안개로 인한 그의 불안은 개인적 불안을 넘어 당시의 부조리한 사회상까지 가감없이 그려냈다. 

적어도 내가 생각하기에 이승에 남기고 간 문학의 결과물보다는 죽음으로서 사랑받는 시인은 이상, 윤동주 그리고 기형도 밖에 없다. 세 명의 시인 다 요절하였기에 가능한 일이었기도 하다. 

  

   빈 집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 집에 갇혔네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에게 '안녕'을 고하는 시인. 시를 쓰던 날 시인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궁금하기만 하다. 그토록 자신의 삶 주변을 배회하면서 호시탐탐 노렸던 죽음의 신과 대면했던 그 순간, 시인이 세상을 향해 '안녕'을 고하는 그 날. 그 후로 가엾은 시인의 사랑은 영원히 빈 집에 갇혀버리고 말았다.

기형도 시인은 참으로 아픔이 많았던 시인이었다. 스스로 지닌 아픔은 견디다 못해 단 한 권의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남은 아픔들은 어찌할 것인가. 세상을 떠난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시인의 지인들과 독자들은 기형도를 기억하고 있지만 강산이 변할수록 시간 앞에서 기억은 조금씩 희미해지기 마련이다. 시인의 불안하고도 슬픈 생애를 공감할 수 있는 시간들이 얼마나 오래갈 것인가. 그가 이승을 떠나고 난 뒤에 태어난 나 같은 20대의 세대들은 기형도라는 이름의 석 자가 남기고 간 가슴 아픈 '검은' 시들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그의 시를 읽기에는 우리 세대들이 겪고 있는 지금 이 세상은 너무나 어둡고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금은 가슴이 먹먹해지거나 혹은 어둡고 우울한 시인의 시구가 불편하더라도 20대는 기형도를 읽어줘야 한다. 삶에 있어 빛과 그림자는 동전의 양면일 뿐이다. 시인은 '거리의 상상력'이 주는 고통을 사랑함으로써 짧은 생애동안 수십 편의 시를 남길 수 있었다. 그리고 시라는 '가장 위대한 잠언은 자연 속에 있음'을 믿었다. ('詩作 메모' 중에서)  

그는 고통스러운 창작 고통 속에서도 희망적인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88만원 세대'가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형도의 절망을 통해 희망을 향한 안간힘의 줄기를 찾아내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 '믿음'이 우리를 부른다면 언제든지 따라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