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한 시간을 내서 세계문학 전문 독서 모임 <읽어서 세계문학 속으로> 역사적인 첫날 밤을 빛나게 해줄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독서 모임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한 분이 있을 것 같아서 진행 방식발제문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제가 책을 간단히 소개하고 작품을 해설합니다. 책 속의 역자 해설에 나오지 않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알려드릴게요.
















 

(2) 감정의 혼란(하영북스, 2024)은 총 네 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책에 실린 작품 순서대로 이야기에 대한 감상을 공유하려 합니다. 읽으면서 느낀 것들을 말씀하시면 됩니다.

 

(3) 한 작품 감상 공유가 끝나면 그 작품과 관련된 발제문에 중점을 둔 대화가 진행됩니다. 세 개의 발제문을 준비해 봤어요. 발제문을 읽어보시고, 여러분의 견해를 말씀해 주세요. 발제문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가 떠오르지 않는다면 말씀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발제문에 무조건 대답해야 한다는 부담 갖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제가 준비한 발제문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 또는 아쉬운 점도 말씀해도 됩니다. 다음 독서 모임 발제문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피드백으로 생각하겠습니다. 저녁 독서 모임을 편안하게 즐겼으면 좋겠습니다.




[발제 1]

<감정의 혼란> 도입부에 작중 화자인 롤란트는 자신의 젊은 시절을 회상하기 전에 스승이 했던 말과 비슷한 표현을 언급합니다.

 

 

* 10

 우리는 무수히 많은 순간을 겪지만, 우리의 내부 세계를 끓어오르게 하는 건 늘 단 하나, 오직 하나의 순간뿐이다. 그 순간 온갖 엑기스를 빨아들인 꽃은 순식간에 응축되어 결정(結晶)을 이룬다고 스탕달은 말했다.

 

* 23~24


 “모든 인간의 삶에서 그렇듯, 한 민족의 삶에도 예고 없이 절정의 순간이 단 한 차례 들이닥치곤 합니다. 그러면 온갖 힘들이 한데 뭉쳐서 강력한 한 방을 날리게 되고 그렇게 해서 그 순간은 영원성을 획득합니다.”

 

 

여러분은 지금까지 살면서 잊을 수 없는 절정의 순간을 경험한 적이 있었나요?

 

 

 

[발제 2]

<감정의 혼란>의 롤란트는 스승의 첫인상을 묘사할 때 혼자 있으면 아무런 열정도 느끼지 못하는 사람(37)’이라고 말합니다. <아모크>의 의사는 낯선 이국땅에서 십 년을 무기력하게 생활하다가 귀부인을 만나기 시작하면서 열정을 느낍니다. 여러분은 누군가를 만나야만 열정을 느끼는 사람인가요, 아니면 본인 스스로 열정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사람인가요? 열정이 생기게 하는 본인만의 방식이 있나요?

 

 

[발제 3]

<책벌레 멘델>의 멘델, <체스 이야기>B 박사는 에 지나치게 탐닉하는 바람에 불행해진 인물입니다. 평소에 독서를 즐기고 좋아하는 여러분은 책 때문에 일상이 위태로운 순간이 있었습니까? 여러분이 읽은 책 중에 개인적으로 위험한 책이라고 느낀 책이 있으면 소개해 주세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아 2024-06-17 11: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 읽지 않은 책 중에 니체의 <도덕의 계보가> 위험하다고 느꼈어요.
아예 안 본건 아니고 앞의 몆 장을 읽어봤는데 놀랍더라고요. 올해에는 꼭 완독해보고 싶어요.^^

cyrus 2024-06-24 06:44   좋아요 1 | URL
니체가 제가 좋아하는 철학자이긴 한데, 그의 책을 읽다 보면 비판하고 싶거나 ‘이건 아니다’라고 생각이 드는 문장들을 만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