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113일 금요일에 쓴 금정연의 일기는 커다란 그늘이 드리워져 있으면서도 여백에서 쌀쌀한 바람이 나온다. 이 일기에 인용된 마크 트웨인(Mark Twain)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일기는 1월에 쓰였다. 그들 모두 희망적이지 않은 자신의 처지와, 그것으로 인해 처량해진 기분마저 얼어붙게 만드는 추운 날씨를 언급한다
















* 금정연 매일 쓸 것뭐라도 쓸 것: 마치 세상이 나를 좋아하기라도 하는 것처럼》 (북트리거, 2024년)





금정연은 마지막으로 인용한 로버트 팰컨 스콧(Robert Falcon Scott)의 일기만이 그나마 분위기가 조금 밝은 편이라고 썼다. 로버트 스콧은 남극 탐사대를 지휘한 영국의 군인이다스콧과 노르웨이의 아문센(Roald Amundsen)은 제일 먼저 남극점에 도착하기 위해 경쟁한다. 19111214, 아문센 남극 탐사대가 역사상 처음으로 남극점을 밟았다. 35일 늦게 남극점에 도착한 스콧 탐사대는 허탈한 마음을 짊어진 채 다시 기지로 돌아간다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지칠 대로 지친 스콧과 탐사대원들은 결국 기지에 도착하지 못하고 얼음 길 한가운데서 전원 사망한다.


115일에 쓴 금정연의 일기에도 스콧이 언급된다. 115일 일요일, 금정연은 가족과 함께 눈썰매장에 가다가 교통 체증을 겪게 된다. 금정연 가족이 탄 차는 엄청난 양의 눈발이 날리는 왕복 2차선 국도 한가운데서 옴짝달싹 못 하게 된다. 그 순간 금정연은 스콧의 일기를 떠올린다.



 도로 옆에는 어느덧 눈이 한가득 쌓여 있었다. 대설주의보? 대설경보? 아무튼 눈이 많이 온다고 운전을 자제하라는 긴급 재난 문자가 거듭해서 왔다. 그런데 어쩐담? 안내가 조금 늦은 거 같은데.

 나도 모르게 로버트 팰컨 스콧의 일기를 떠올렸다. 눈이 내리는 남극에서 개썰매를 타고 달리던 스콧과 그의 대원들을, 그리고 그들의 최후를 아니지, 내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는 거람. 나는 얼른 고개를 저었다.

 

(금정연, 매일 쓸 것, 뭐라도 쓸 것중에서, 171)

 


금정연은 스콧 탐사대가 개 썰매를 타고 남극에 갔다고 썼다. 사실이긴 한데, 스콧은 남극을 탐사하기 전부터 개 썰매를 회의적으로 생각했다. 개 썰매의 실용성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한 것이다. 스콧은 개 썰매가 아닌 말 썰매와 전기 모터가 달린 썰매를 준비했는데, 스콧의 안일한 선택은 남극 탐사가 실패하게 된 요인이 된다. 말은 매서운 남극의 추위 앞에서 버티지 못했고, 전기 썰매는 얼음 길 앞에선 무용지물이었다. 얼음 길이 전기 썰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 것이다


이 사실을 모르는 독자라면 스콧 탐사대가 처음부터 개 썰매를 능숙하게 탈 줄 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전혀 그렇지 않다. 스콧은 스키조차 탈 줄 몰랐다. 스콧 탐사대원 중 유일하게 스키를 탈 줄 아는 사람이 딱 한 명 있었다. 그는 노르웨이 출신 스키 챔피언이었다(불행하게도 그는 타국 탐사대에 합류하여 같은 국적의 아문센이 이끈 남극 탐사대와 경쟁하는 상황을 눈앞에서 지켜봐야 했다). 아문센은 스콧과 다르게 남극 탐사를 철저하게 준비했다. 스키 타는 법을 익혔으며 이누이트와 친해지면서 개 썰매를 다루는 방법을 배웠다.





















* 로버트 팔콘 스콧, 박미경 옮김 세상 끝 최악의 탐험 그리고 최고의 기록: 삶과 송두리째 바꾼 남극 탐험 500여 일의 기록(나비의활주로, 2017)

 

* [절판] 로버트 팔콘 스콧, 박미경 옮김 남극 일기: 남극의 비극적 영웅, 로버트 팔콘 스콧(세상을여는창, 2005)

 

* [절판] 라이너 K. 랑너, 배진아 옮김 남극의 대결, 아문센과 스콧: 아문센 대 스콧, 그들의 세기적 대결과 엇갈린 운명(생각의나무, 2004)





금정연이 참고한 스콧의 일기는 2005년에 남극 일기라는 단출한 제목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마침 그 해에 송강호와 유지태가 출연한 영화 <남극 일기>가 개봉되었다. 스콧의 남극 일기는 절판된 책이었다가 2017년에 촌스러운 제목과 표지를 싹 바꾼 모습으로 재출간되었다. 역자는 바뀌지 않았다책의 저자명은 로버트 팔콘 스콧으로 되어 있다.


아문센과 스콧의 남극 탐사 원정은 유럽 강대국들이 제국주의를 내세워 본격적으로 다른 대륙을 지배하기 시작한 시기에 이루어졌다. 남극의 대결, 아문센과 스콧: 아문센 대 스콧, 그들의 세기적 대결과 엇갈린 운명은 마치 어느 제국주의가 위대한지 뽐내려고 하는 국가 대항전 같은 분위기로 시작된 남극 탐사 원정의 뒷이야기와 두 탐사대의 여정을 상세하게 정리한 책이다. 당연히 이 책에 스콧의 일기가 많이 나온다. 그뿐만 아니라 스콧 탐사대원의 일기도 인용된다. 이 책에 일기에 고스란히 남아 있는 스콧의 감정 상태와 그런 스콧을 바라보는 대원들의 시선이 한데 엮어져 있다.







‘1등만 기억하는 역사에 반기를 드는 역사가들은 스콧의 편에 서서, 그의 실패한 남극 탐사를 긍정적으로 재평가한다. 물론 대부분 역사가는 군인 정신만 있으면 남극을 정복할 수 있다고 믿은 스콧의 오만함을 지적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아문센과 너무 비교될 정도로 남극 탐사를 철저히 준비하지 못한 스콧의 지도력은 자신을 포함한 탐사대원들을 죽음으로 이르게 한 치명적인 패인으로 보기도 한다. 지금도 사람들은 스콧의 두 얼굴을 바라본다. 어떤 사람은 스콧을 위대한 패자로 평가받을 만한 탐험가로 칭송한다. 한편 아문센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은 스콧의 부족한 능력만 집요하게 비판한다. 그들이 바라보는 스콧의 모습은 말끔하게 생겼으나 탐험가 자질이 부족한 영국 신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