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이서 보면 희곡멀리서 보면 연극


No. 2











죽음의 집

극단 폼(form) - 2024 제3회 더파란 연극제(대구, 322~29) 참가작



윤영선, 윤성호 지음

김소희 연출

김민우 조연출

액팅 코치 조영근

홍보 정명훈 [주]


 

[출연진]

이영찬 (황상호 역)

이혜림 (이은희 역, 원작자가 쓴 대본에 나온 이름은 이동욱’)

박지훈 (박영권 역)

곽수민 (강문실 역)

 


우전 소극장

322일 금요일 저녁 740분경 관람






잠깐만, 이 글을 보는 사람(단 한 사람도 없겠지만, 그래도 혹시나…‥)은 본인 스스로 누군지 잘 생각해 본 후에 글을 끝까지 읽을 것인지 말 것인지 선택하세요.

 

당신은 죽음을 두렵지 않다거나, 본인이 현재 잘살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이 글을 안 봐도 됩니다. 지금 살고 있는 삶이 만족스러운 당신이 이 글을 보는 것은 시간 낭비입니다. 이 글을 보는 것보다 본인이 우선 하고 싶은 것을 즐기면서 사세요.


! 이런 사람들도 내 글을 안 봐도 돼요.또 책 얘기야? 이번엔 뭘 읽었다고 잘난척하는 거지? 혼자서 책만 보고 글 쓰면서 사는 게 뭐가 그렇게 재미있을까?’라고 생각한 사람들. , 저도 알아요. 제 삶이 화려하지 않다는 거요. 그래도 내가 정말 좋아하는 일이에요.

 

그럼 안녕히 계세요, 여러분. 저는 이제 연극과 책에 대한 글을 써야 해서요.다들 좋아하는 일들 하면서 오늘 하루 즐겁게 보내세요.





긴 사이.










<죽음의 집>2007년에 간암으로 세상을 떠난 윤영선 극작가의 미발표 희곡이다. 2012년에 낭독 공연에서 대본 일부가 낭독되면서 <죽음의 집> 초고가 처음으로 극장 무대의 조명을 받았다. <죽음의 집> 초고를 확인한 극작가 겸 연출가 윤성호가 작가 노트를 단서 삼아 쓰이지 않은 이야기를 새로 썼다. <죽음의 집> 대본의 1부는 고인의 초고이며 2부는 윤성호가 쓴 것이다. 죽은 자가 쓴 글‘살아있는 자가 쓴 글이 포개진 희곡, 즉 미완성과 완성이 뒤엉킨 <죽음의 집>2017년 윤영선 극작가의 10주기 추모 페스티벌에 초연되었다. 2020년 제41회 서울연극제에 공연된 <죽음의 집>은 희곡상(윤영선, 윤성호)과 연출상(윤성호)을 받았다.





















* 윤영선, 윤영호 죽음의 집(이안재, 2020) [주2]

* 2020 서울연극제 희곡집(서울연극협회, 2020)

* [절판] 윤영선 윤영선 희곡집: 키스(지안, 2008)





극단 폼이 만든 <죽음의 집>은 윤성호와 윤영선이 쓴 대본을 무대 위에 올린 것이다. 황상호는 자신이 죽었다고 믿는 인물이다. 상호는 살아있는친구 이은희를 자기 집에 초대한다. 그리고 자신이 처한 기이한 상황을 고백한다. 믿을 수 없는 이야기를 접한 은희는 혼란스럽다. 상호는 친구 박영권과 그의 아내 강문실도 초대한다. 그런데 부부 또한 상호처럼 이상한 말을 한다. 두 사람은 상호의 집에 오면서 말다툼했고, 홧김에 자살했다고 고백한다. 은희는 졸지에 집에서 유일하게 살아있는자가 되는데…‥ 상호의 집에 점점 이상한 상황이 일어나자, 은희의 머릿속에 불현듯 궁금증이 일어난다. ‘나도 죽었나?’







<죽음의 집>은 희곡으로 표현된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메멘토 모리는 라틴어로 죽음을 기억하라라는 뜻이다. 집은 편안히 쉴 수 있는 아늑하고, 안전한 공간이다. 하지만 행복하고 즐거운 내 집이라고 해도 저승사자가 슬쩍 내미는 손길을 막을 수 없다. 그래서 17세기에 메멘토 모리를 떠올리는 그림이 유행했다. 당시 부유한 사람들의 집에 가면 두개골과 촛불이 그려진 그림 한 점 걸려 있었다. 두개골은 죽음을, 촛불은 덧없는 인생을 뜻하는 상징물이다. 그림에서 이빨을 드러내면서 실실 웃고 있는 해골이 행복하게 살고 있는 집주인에게 귀띔한다잊지 마! 당신 바로 옆에 내가 있어.


메멘토 모리가 된 배우들이 연기하는 연극이 관객들에게 말한다무대 위에 서 있는 나를 앉아서 바라보는 여러분, 죽음의 집이 실제로 없을 것 같죠여기 있어요.



















*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김수정 옮김 죽어가는 자의 고독(문학동네, 2012)




하지만 살아있는 자는 여유만만하다. 여전히 죽음은 내 일이 아니니까. 독일의 사회학자 노르베르트 엘리아스(Norbert Elias)죽어가는 자의 고독에서 인간은 본격적으로 위생의 중요성을 알기 시작하면서 일상 가까이에 있다고 믿었던 죽음을 멀리하게 되었다고 분석한다. 노화와 질병은 사람을 노쇠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추하게 만든다. 노화와 질병이라는 직격탄을 제대로 맞아버리면 죽는다. 살아가는 힘이 얼마 남지 않은 노인은 젊은 사람들과 어울릴 수 없는, 낡고 추레한 존재가 돼버린다. 노화를 부끄러워하는 감정이 생기면서 살아있는 자들은 죽음마저도 집 밖으로 쫓아낸다. 하지만 엘리아스는 그들이 착각하면서 살아가고 있다고 지적한다. 죽음을 외면한 사람들은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막상 자신이 곧 죽음을 맞이한다거나 함께 사는 사람의 죽음을 직면하면 두려워하고 당혹스러워한다. 죽음을 극복할 수 있다는 착각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더욱 커지게 만든다.


메멘토 모리의 교훈을 잊지 않은 옛사람들은 살아있는 자들과 죽은 자들이 무덤 주변에서 덩실덩실 춤추는 그림도 좋아했다. 이 그림도 유행하면서 죽음의 춤(Danse Macabre)’이라는 회화 양식이 생겼다. ‘죽음의 춤은 죽음을 대비하는 살아있는 자의 몸짓이면서도 먼저 떠나간 자들과 함께하는 축제이다. 따라서 내가 죽는 것뿐만 아니라 먼저 죽은 자들도 기억하며 살자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극 중간에 상호, 은희, 영권은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잊으려고 춤을 춘다. 그렇지만 즐거운 축제는 오래가지 못한다. 살아있는 자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잊어버리고,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던 죽은 자들을 하나씩 내보낸다. 진짜로 ‘죽은영권과 문실은 잠시 밖으로 나간 뒤에 상호의 집으로 다시 들어오지만, 그들과 함께 술을 마셨던 살아있는은희는 그들이 누군지 알아보지 못한다살아있는 자는 죽은 자를 잊어버리거나 때로는 야박하게 쫓아낸다.


<죽음의 집>에 묘사된 죽은 자들(상호, 영권, 문실)은 말이 많고, 감정이 있다. 이들은 자신을 완전히 잊은 사람들이 섭섭하게 느끼지만, 이내 자신이 죽어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받아들인다. 그러면서 생전에 하지 못한 이야기를 솔직하게 털어놓고 떠난다. 극작가는 이미 떠나고 없지만, 텍스트에 나온 <죽음의 집>은 여전히 어딘가에 살아 있다. 우리는 살아 있으면서 동시에 죽어가는 존재이다. 살아 있음과 죽음에 사이는 없다. 살아 있음과 죽음은 철저히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뒤엉켜 있다. 내 인생에 착 달라붙은 죽음을 지나치게 두려워해서 아득바득 억지로 떼어낼 필요가 없다. 그럴 시간에 내가 정말 좋아하는 일,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자.





[주1] 2월 중순에 처음으로 공개된 포스터()3월에 공개된 두 번째 포스터(아래)의 도안이 다르다. 첫 번째 포스터에 적힌 출연진 이름에 정명훈 님이 있다. 원래 박영권을 연기하는 배우가 정명훈 님으로 정해졌으나 박지훈 님으로 교체되었다.


[2] 책에 윤영선 극작가의 <죽음의 집> 초고, 윤성호 극작가가 새로 쓴 <죽음의 집> 대본, 윤영선 극작가의 작가 노트가 실려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아 2024-03-26 16: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히려 사회가 죽음을 삶과 철저히 분리하면서 죽음에 대한 공포와 병적인 이상심리가 여러 방식으로 발현되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어요.
사이러스님 글 많이들 읽을텐데 오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죽음의 집>연극 줄거리도 흥미롭네요^^

cyrus 2024-03-29 06:27   좋아요 1 | URL
인간이 죽음을 기피하는 이유에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거예요. 가까운 사람이 죽어가는 모습을 본 이후로 죽음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생길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