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아침
파스칼 키냐르 지음, 류재화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대구 책방 <일글책> 평일 독서 모임 10월의 책]









나는 왜 여기 서 있나

오늘 밤엔 수많은 별이

기억들이 내 앞에 다시 춤을 추는데

 

어디서 왔는지 내 머리 위로

작은 새 한 마리 날아가네

어느새 밝아 온 새벽하늘이

다른 하루를 재촉하는데

 

종소리는 맑게 퍼지고

저 불빛은 누굴 위한 걸까

새벽이 내 앞에 다시 설레이는데


 

- 전인권 사랑한 후에(1987) 노랫말 중에서 -





소리는 고막을 춤추게 한다. 고막은 아주 얇다. 그래서 고막이 물리적 충격을 받으면 파열되는 약한 신체 기관으로만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막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귓속으로 들어온 소리가 고막을 움직이게 한다. 이때 고막이 흔들리는 현상을 진동이라고 표현한다. 고막이 흔들리면 귓속뼈도 같이 흔들거린다. 그러면 진동의 영향을 받은 소리는 달팽이관으로 전달된다. 소리를 만난 고막이 흔들면서 춤출 때 우리는 선명한 음악을 듣는다.

 

고막의 역할은 현악기와 비슷하다. 현악기는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줄(, )이 움직여야 소리가 난다. 활로 줄을 문지르면 되는데 줄을 켠다라고 표현한다. 현악기 연주자의 몸놀림은 언뜻 완만하게 보인다. 하지만 박자가 느린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의 몸을 유심히 살펴보면 가볍게 움직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박자가 빠른 곡을 연주하면 연주자의 몸놀림은 커진다. 연주자는 마치 격정적인 춤을 추듯이 움직인다. 따라서 연주자와 악기는 우리에게 음악을 들려주기 위해 열정적으로 춤을 춘다연주자는 악기를 소중하게 다룬다. 연주자에게 악기는 음악을 만들기 위한 조화로운 춤을 같이 춰줄 수 있는 동반자다


파스칼 키냐르(Pascal Quinard)의 소설 세상의 모든 아침의 주인공 생트 콜롱브(Monsieur de Sainte-Colombe)는 비올라 다 감바(viola da gamba)의 대가다. 하지만 그는 비올라 다 감바를 연주하지 않는다. 콜롱브는 비올라 다 감바와 춤을 춘다. 감바는 이탈리아어로 다리(leg)를 뜻하는 단어다. 연주자는 두 다리 사이에 비올라 다 감바를 세운 채 줄을 켠다. 음악이 나오는 순간 연주자와 비올라 다 감바는 한 몸이 되어 리듬을 타면서 춤을 춘다. 마치 댄서가 뒤에서 파트너 댄서를 부드럽게 안으면서 춤추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 세상의 모든 아침연주자와 악기의 물아일체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와 비올라 다 감바는 음악을 만들기 위해 함께 춤추면서 살다가 언젠가는 지쳐서 함께 쓰러져 죽어야 하는 운명으로 이어진 관계다


콜롱브의 제자가 되고 싶은 마랭 마레(Marain Marais)는 악기를 동반자로 여기지 않는다. 콜롱브는 춤추는 비올라 다 감바와 함께 오두막집에서 만든 곡을 좋아한다. 하지만 그는 곡을 발표하지 않는다. 마레가 가장 좋아하는 소리는 본인이 만든 곡이 아니다. 텅텅 빈 삶의 무명 연주자인 자신을 유명인으로 채워 주는 대중의 환호와 박수 소리다. 성공하고 싶은 마레는 궁중 음악가가 된다. 성공 뒤에 따라온 육체적 쾌락의 달콤한 속삭임도 마레가 좋아하는 소리다. 스승이 오두막집에서 비올라 다 감바를 사랑스럽게 안으면서 춤추고 있을 때, 마레는 스승의 두 딸을 껴안으면서 쾌락에 매달려 몸부림치고 있다. 마레의 욕심은 끝이 없다. 그는 스승이 세상에 공개하지 않은 신선한 화음을 알아내기 위해 숨어서 엿듣는다.


콜롱브의 음악을 진심으로 귀 기울여 준 사람은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다. 아내는 콜롱브에게 절대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인 무사(Mousa)’. 무사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예술의 신이다. 무사의 역할은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는 일이다. 무사의 어머니는 기억의 신 므네모시네(Mnemosyne). 그래서 무사는 예술을 영원히 기억하여 간직한다. 콜롱브의 아내가 오래 살았다면 세상에 공개되지 않은 콜롱브의 음악은 아내의 마음속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자신의 음악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지음(知音)이 이 세상에 없으면 창작의 즐거움도 없다. 무사이자 지음인 아내를 잃은 콜롱브가 비올라 다 감바의 줄을 다 끊어도(絶絃) 슬픔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콜롱브는 장녀 마들렌(Madeleine)이 연주자로 성장하여 자신만의 무사와 지음이 되어주길 원한다. 하지만 사랑에 눈먼 마들렌은 아버지의 진심을 알아보지 못한다. 딸은 아버지로부터 배운 비올라 다 감바 연주 기법을 마레에게 알려준다. 마들렌은 자기가 사랑하는 마레를 위한 무사가 된다성공에 눈먼 남자와 사랑에 눈먼 여자를 이어준 것은 음악이지만, 결국 두 사람의 관계는 불협화음이 되고 만다.


대중의 눈에 비친 예술가의 이미지는 대부분 어두운 편이다. 항상 그들을 졸졸 따라다니면서 달라붙는 칙칙한 수식어가 창작의 고통고독한 영혼이다. 새로운 양식의 예술 작품을 만들 때 힘겨운 건 사실이다. 콜롱브는 자신이 활을 켤 때 살아 있는 자신의 작은 심장 조각을 찢는다고 말한다.

 


 “활을 켤 때 내가 찢는 것은 살아 있는 내 작은 심장 조각이네. 내가 하는 건 어떤 공휴일도 없이 그저 내 할 일을 하는 거라네. 그렇게 내 운명을 완성하는 거지.” (75)

 


누군가는 세상을 등진 채 오두막집에 혼자 있는 그가 쓸쓸해 보인다고 수군거릴 것이다. 하지만 콜롱브는 외롭지 않다. 그의 다리 사이에 일곱 개의 줄을 가진 동반자가 우뚝 서 있다. 콜롱브와 비올라 다 감바는 다른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일을 열정적으로 하고 있다. 비올라 다 감바는 가만히 있으면 말이 없다. 하지만 파트너인 콜롱브와 함께 춤추면 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콜롱브와 비올라 다 감바가 완전히 물아일체 상태가 되면 새로운 곡이 완성된다. 이 곡은 성공을 좇아가기 위해 급하게 만든 음악이 아니다천천히 만든 음악은 느리다. 이 곡의 제목은 <일곱 개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Adagio)>[주].





[] 사무엘 바버(Samuel Barber)<현을 위한 아다지오>를 패러디한 제목이다. 원곡은 영화 <플래툰>의 삽입곡으로 유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