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교도 미술 - 신과 여신, 자연을 숭배하는 자들을 위한 시각 자료집
이선 도일 화이트 지음, 서경주 옮김 / 미술문화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협찬받고 쓴 서평이 아닙니다.



평점


4점  ★★★★  A-





기독교그리스·로마 신화는 서양 문명이라는 유서 깊은 나무를 풍성하게 만들어준 두 개의 뿌리다. 수많은 예술가와 작가는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거대한 나무에 흘러나오는 양분을 이용할 줄 알았다. 그 양분은 각각 미술과 음악, 그리고 문학을 탄생시킨 원천이 되었다. 예술가와 작가들은 성서와 신화에 묘사된 인물과 사건을 작품의 소재로 다뤘다. 따라서 서양 문화를 이해하려면 기독교와 신화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유일신을 믿는 기독교와 대조적으로 그리스·로마 신화는 다신교적 문화의 색채가 짙다.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은 각양각색 신들의 이야기를 담은 신화를 창조했고, 신들을 숭배하기 위해 신전을 세웠다. 시민들은 그곳에 가서 공물을 바쳐 신의 축복을 빌었다. 다신교를 근간으로 한 그리스·로마 신화는 일신교인 기독교 정신과 반대되는 이교도(pagan) 또는 이교 신앙(paganism)이다. 전 세계에 현존하는 대다수 다신교는 수많은 신의 존재를 인정할 뿐만 아니라 나무, , 바위 같은 자연물에도 신성(神性)이 있다고 믿는다. 기독교인들은 자연을 숭배 대상이 아닌 신의 창조물로 여겼다. 그래서 초기 기독교는 자연 숭배를 이교도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생각했다.

 

이교도는 기독교 중심주의적 용어다. 과거 기독교인들은 유일신교인 이슬람마저도 이교로 분류했다. 그런 다음 다신교 신자들 앞에 칼과 성경을 내밀면서 기독교로 개종시키려고 했다. 서구 중심주의를 해체하는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가 유행하면서 ‘pagan’은 잘 쓰지 않는 단어가 되었다. 하지만 지금도 생소한 종교 및 신앙을 이교도로 분류하려는 편견은 여전히 살아 있다. 특정 지역에만 전해 내려오고 있는 전통 신앙 및 종교를 소재로 한 공포 영화는 부정적인 이미지의 이교도를 생산한다. 공포 영화 속 이교도는 외부와 오랫동안 단절된 채 생활하는 폐쇄적인 공동체다. 그들은 종교적 전통을 지키기 위해 산 자를 희생 제물로 바친다. 소름 끼칠 정도로 집단 광기에 빠진 이교도를 묘사한 대표적인 영화가 <위커 맨>(The Wicker Man, 1973)<미드소마>(Midsommar, 2019). 광신도에 가까운 이교도가 등장하는 영화는 이교도의 부정적인 면만 과도하게 부각한다.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에 무관심하거나 거부감을 느끼는 무신론자들은 사실과 다른 영화 속 이교도를 그대로 믿을 가능성이 크다.

 

이교도 미술: 신과 여신, 자연을 숭배하는 자들의 시각 자료집은 본격적으로 문화사적 관점에서 이교도를 다룬 책이다. 이 한 권의 책에 동서양과 고금을 아우르는 이교도의 역사와 문화가 도판과 함께 담겨 있다. 이도교와 관련된 도판이 많이 실려 있어서 미술 도서로 분류할 수 있지만, 종교 도서로 봐도 무방하다. 종교를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무신론자와 비종교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도 이교도 문화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누군가는 소원을 이루기 위해 산에 올라가 신성한 바위에 기도한다.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갈피라도 잡는 심정으로 점집을 계속 찾는 젊은 세대가 늘고 있다고 한다. 사주학이나 타로 점성술을 공부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듯 자연물을 신성시하는 태도에서부터 점을 보는 행동까지 이교도 문화는 우리 생활 속에 알게 모르게 스며들어 있다. 이교도는 영화에 묘사한 것과 다르게 개방적이었다. 그들은 동서양 문화가 공존하는 새로운 문명을 만드는 데 이바지했으며 여기에 맞춰 독특한 문화 유산들이 태어날 수 있었다.

 

기독교인과 비종교인들이 잘 모르는 전 세계 이교 신앙의 특징과 이교도의 문화적 산물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것이 이교도 미술의 장점이다. 이 책은 신과 여신, 자연을 숭배하는 자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교도 미술은 종이로 만든 <이교도 특별전 박물관>이다. 이곳에 종교라는 문턱이 없다. 열린 마음으로 이교도 문화를 이해하려는 비종교인이라면 얼마든지 환영한다.

 

박물관이 잘 유지하려면 전시품과 관련된 내용 그리고 용어와 명칭이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그런데 이교도 특별전 박물관에 사소한 옥에 티가 있다.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 변신 이야기 Metamorphoses[주1] 

247행 


(29)



[주1] 사실 이건 옥에 티가 아니다. 그래도 독자를 위한 부연 설명이 필요해 보인다.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Lucius Apuleius)변신 이야기오비디우스(Ovidius)변신 이야기와 제목만 같을 뿐, 다른 내용의 작품이다. 아풀레이우스가 쓴 작품의 국역본 제목은 황금 당나귀(송병선 옮김, 현대지성, 2018).







4. 아폴로 → 4. 아폴론/아폴로 [주2]


(33쪽)



[주2] 33쪽에 그리스 ·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이름이 있다. 왼쪽 이름은 그리스식, 오른쪽 이름은 로마식 표기다. 그런데 아폴로만 유일하게 그리스식 이름이 없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폴론(Apollon)’으로 표기되며 아폴로(Apollo)’가 로마식 이름이다.





* 71







하인리인 하인라인






* 104






 고대 로마에서 베스타를 섬긴 처녀들은 여신 헤라[3]의 사제들이다. 이들은 사제로 일하는 동안 순결을 지켜야 했다.



[3] 베스타(Vesta)는 로마에서 가정과 국가의 수호자로 숭배된 화로의 신이다. 베스타는 그리스의 헤스티아(Hestia)와 같다. 헤라(Hera)와 헤스티아는 크로노스(Cronus)와 레아(Rhea) 사이에 태어난 자매이다. 따라서 베스타를 섬긴 처녀들은 여신 헤스티아의 사제들이다.





* 색인 255





테니스, 앨프리드 테니슨, 앨프리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3-04-02 09: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왠지 처음부터 이렇게 오탈자를
보게 되면 책 자체에 대한 신뢰
가 떨어지는 기분이 드는 것 같
습니다.

대단하시더라는.

cyrus 2023-04-03 05:04   좋아요 2 | URL
책 만드는 사람들(역자와 편집자)이 오탈자를 확인하지 못한 것을 큰 잘못이라고 여기지는 않아요. 그런데 제일 나쁜 건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검토하지 않은 점이에요.

대부분 사람은 가짜 뉴스, 편견이 반영된 개인적 견해, 한쪽으로 치우친 견해, 거짓 정보가 퍼트리는 원인을 유튜브나 언론에서 찾아요. 맞긴 하는데, 책 속에도 잘못된 내용이 엄청 많아요. 그런 내용을 보면 책과 책 만드는 사람(저자, 역자, 편집자)에 대한 신뢰가 떨어져요. 아무리 책의 주제나 만듦새가 좋다고 해도 그런 문제점이 노출되어 있다면 평점을 박하게 줍니다.

사람들은 왜 유튜브에서 떠도는 가짜 정보를 좋아하지 않고, 경계하면서도 정작 책 속에 버젓이 실려 있는 가짜 정보를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을까요? 출판사와 책 만든 사람들은 책에 대한 비판적 서평에 침묵으로 일관해요. 어떠한 해명이나 반박 견해를 내놓지 않아요.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여전히 대다수 출판사 관계자와 독자들은 칭찬 같지 않은 비판적 서평을 좋아하지 않아요.

그래도 책 속에 가짜 정보를 비판하는 서평이 많이 나와야 해요. 예전부터 그래왔고, 그런 서평을 쓰는 일이 제 목표이며 의무입니다.

korhoil 2023-10-11 0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