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롭지 않은 여자들 민음사 탐구 시리즈 4
임소연 지음 / 민음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여성은 엄마가 되고 나면 기억력이 줄어드는가?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대다수는 본인의 건망증을 떠올리면서 그렇다고 믿는다. 그중에 자신의 건망증이 심하다고 여기는 주부는 치매가 오는 게 아닌가 하고 걱정하기도 한다건망증 환자의 60% 이상이 여성이며 주부의 80% 이상이 건망증을 경험한다는 통계가 있다여러 연구 결과에서도 임신 기간에 여성의 뇌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기억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여성의 건망증을 부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 임신하고 출산한 여성의 뇌가 변화하는 현상이 엄마가 되는 데 필요한 적응적 변화(adaptation)로 보는 연구들도 있다기억력이 떨어지는 대가를 치르더라도 엄마의 뇌는 아기의 표정을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아이를 양육하는 여성의 뇌에 옥시토신(oxytocin)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옥시토신은 엄마와 자녀의 친밀감 형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여성의 공간 인지 능력을 향상한다.


출산한 여성은 머리가 나쁘다고 믿는 사람은 주부 건망증이 많다는 통계에 의존한다. 여자가 아이를 돌봐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엄마에게 분비되는 옥시토신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한다. 이들은 자신의 주장이 확고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근거가 과학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이런 과학은 여성에게 도움을 주지 못한다. 오히려 여성에 대한 편견을 부추기는 동시에 여성을 차별하는 근거가 된다.

 

처음부터 엄마라는 정체성을 가지면서 태어나는 여성은 없다. 임신이 여성의 뇌에 변화를 일으킨다고 해서 여성은 엄마가 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 2014년 아기를 돌보는 남성 동성 연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남성 양육자들의 뇌에서도 옥시토신이 분비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출산 이후 일어나는 뇌의 변화는 양육하는 남녀 모두에게 일어난다. 여성이 아이를 돌보도록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건 아니다.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은 여성을 향한 과학의 장점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과학기술학자인 저자 임소연은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를 두둔하는 과학을 비판하면서도 그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꼭 필요한 학문이 과학임을 강조한다남성 중심 사회에서 나온 과학은 여성을 열등한 존재로 만드는 지식을 생산했다. 페미니스트들은 과학이 어떻게 여성의 존재를 왜곡하는지 검토하고 비판했다과학사의 어두운 면을 기억하는 페미니스트들의 머리는 과학에 대한 거부감과 불신감으로 가득 차 있다그런데 과학은 단지 남성 과학자들이 여성을 억압하기 위해 이용한 학문이었을까?

 

저자도 한때 과학을 여성의 적으로 바라봤다. 하지만 저자는 여전히 과학을 불신하는 여성 독자를 위해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을 썼다고 밝힌다. 저자는 항상 과학과 적대하면서 살 수 없으며 과학은 여성의 친구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페미니즘 운동의 물결 속에서 여성 과학자들은 과학계의 뿌리 깊은 성차별에 맞서 싸웠고, 여성의 삶과 몸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과학 지식을 알리는 데 힘썼다.


칼 세이건(Carl Sagan)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사이언스북스, 2022)에서 과학은 양날의 칼과 같다고 했다(33쪽). 그는 과학기술을 악용하면서 생긴 각종 문제점을 비판하면서도 이러한 이유만으로 과학을 제거해선 안 된다고 말한다. 우리 삶에 아주 밀접하게 달라붙은 과학을 최대한 이용해야 한다그러려면 과학을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 우선 과학의 유용성을 알기 전에 먼저 기본적으로 과학이 어떤 학문인지 인식해야 한다. 과학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지식을 검증하면서 계속 발전하는 학문이다. 상식으로 알려진 지식이 오류임이 판명되려면 제일 먼저 그것을 의심해야 하고, 오류라는 결론이 나올 때까지 실험을 반복해야 한다. 임소연도 새로운 과학 지식을 생산하려면 반복되는 실험을 수행하는 노동이 필요하다고 말한다(16쪽)그러므로 과학은 늘 변화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여성의 삶과 몸을 깎아내린 과학 지식은 오류로 밝혀지면서 폐기된다.


책에 담긴 지식 역시 오류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당연히 맞다고 여기는 지식이 과연 사실인지 의심해야 한다.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은 그렇게 읽어야 한다. 임소연은 다윈(Darwin)의 진화론을 수용하면서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진화론에 나타난 성차별적인 관점을 비판한 클레망스 루아예(Clémence Royer)를 언급한다. 루아예는 처음으로 프랑스어로 종의 기원을 번역한 1세대 다윈주의 페미니스트’다(134~135). 그런데 저자는 루아예가 우생학을 옹호한 페미니스트였다는 사실을 언급하지 않는다


과학에 관심 있는 페미니스트들은 과학기술의 진보가 여성을 포함한 인간이 풍요롭게 살 수 있는 미래를 보장해준다고 믿었다. 영국과 미국 백인 여성이 공부한 과학 중에 우생학이 포함되어 있다. 우생학을 지지한 페미니스트들은 신체적으로 우수한 국민이 되지 못한 장애인의 출산을 억제하는 낙태를 옹호했다. 페미니스트라고 해서 그녀들이 오용된 과학을 비판하는 위치에 서 있는 건 아니다성차별적인 과학에 맞선 여성 과학자들의 업적이 많이 알려져야 한다. 그러나 여성 과학자들의 뛰어난 업적만 부각하면 남성 중심 과학 대 여성 과학자라는 이분법적 구도를 양산한다.


저자는 캐럴린 머천트(Carolyn Merchant)를 예로 들면서 자연을 훼손하는 과학을 거부하는 에코 페미니스트도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76~177쪽). 그렇지만 대부분 에코 페미니스트는 유전자 재조합 식품(GMO)이 환경 생태계를 파괴하며 우리 몸에 유해하다고 주장한다. 유전자 재조합 식품이 인간의 건강에 위험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연구 및 조사 결과가 나온 지 오래다. 과학 친화적인 에코 페미니스트를 소개하기 전에 여전히 사실이 아닌 GMO에 관한 부정적 편견을 붙잡고 있는 에코 페미니스트의 한계를 지적해야 한다. 여러 차례 실험을 통해 증명된 과학적 사실을 외면하거나 정말로 모르게 되면 과학에 대한 불신감은 사라지지 않는다.






정오표

 


* 참고 문헌, 204

 




손덕구 손덕수

 

 




* 참고 문헌, 205

 





3의 성 2의 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07-09 1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학 자체가 반페미니즘이라거나 하지는 당연히 아닐테고, 역시 그것을 이용해온 기존의 과학계가 문제겠죠. 그런 의미에서 재밌을듯하네요. 열심히 의심하면서 한번 읽어보겟습니다. ^^

cyrus 2022-07-10 09:20   좋아요 0 | URL
네, 맞아요. 지식이 만들어지면서 생산하는 과정이 남성의 권력 중심으로 작동된 과학계에서 여성은 배제되고 차별받기 쉬운 대상으로 남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