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위로 - 불확실한 삶을 위한 단단한 철학 수업
윤재은 지음 / 현대지성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2점  ★★  C






인간의 내면에는 반성이라는 무기가 있다. 


(윤재은, 철학의 위로》 중에서, 82쪽)




철학을 공부하려면 반성하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 철학자가 참된 진리를 안다고 말하는 것은 지적 허영에 불과하다. 내가 생각하는 철학자란 완벽한 지식을 가진 똑똑한 사람이 아니다. 절대적 진리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며 내 존재 이유는 물론, 내 주변에 있는 타인의 번민까지 생각하는 사람이다. 이런 철학자는 지혜를 사랑하는 자(philosopher)’가 아니라 인간을 사랑하는 자에 가깝다물론 인간을 사랑하는 자는 지혜를 외면하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지혜는 당연히 철학이다. 하지만 인간을 사랑하는 자는 철학을 외우는 학문이 아닌 사유의 도구로 본다철학을 외우려고 하면 이해하기 힘들어진다.


철학의 위로는 이 책을 쓴 저자가 말했던 것처럼 어렵고 힘든 책이 아니다. 철학의 위로에 소개된 철학은 삶의 문제와 연계할 수 있는 사유의 도구이다. 이 책의 저자는 고대 철학부터 시작해서 현대 철학까지 두루 살펴보면서 삶의 본질들을 찾는다. 저자가 말하는 삶의 본질이란 지식으로 정의 내려질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질문을 통해 답을 구하는 것(11)’이다. 저자는 이러한 질문의 답을 지식이 아니라 지혜에서 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철학을 지식이 아닌 지혜로 이해하려면 자신이 살아가야 할 방향성을 잃지 않아야(12)’ 한다


지혜를 너무 사랑하는 사람이 종종 범하는 실수는 자신의 개별적 경험을 소중한 지혜로 여기면서 절대적인 지식으로 만드는 것이다. 자신의 주관적 가치판단이 개입하는 개인적 경험은 대체로 상대적이고 임의적이다. 경험적 지식은 특정한 목적이나 이해관계에 따라 도그마(dogma)가 된다. 도그마가 된 철학을 추구하는 자는 성찰 자체를 아예 모르거나 외면한다. 이런 사람은 자신의 부족한 점을 액면 그대로 직시할 수 있는 용기가 부족하다우리가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다면, 이런 상황에서 우리를 위로해 줄 수 있는 것은 철학이다. 결국 지혜에 대한 사랑에서 사랑이란 완성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성찰을 의미한다. 독자는 철학적 성찰을 통해 위로를 구할 수 있다.


저자는 공간철학자이자 건축가다. 나는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 잘 알지 못하지만, 반성할 줄 아는 지혜를 가진 철학자라고 믿고 싶다. 내 믿음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려면 저자는 책 속의 오류와 오자들을 확인해서 고쳐야 한다.



* 30

 

 

 우주의 중심에서 인간은 원숭이의 꼬리표를 떼어내고 또 다른 눈으로 세계를 바라본다. 이제 인간은 먹고 마시며 삶을 마감하는 동물적 삶에서 벗어나 나를 있게 한 근원을 찾는다. 세계의 존재자로서 존재의 근원을 묻는 것은 이성적 인간의 정신에서 나온다.



 

인간은 원숭이의 꼬리표를 떼어내고라는 표현에 진화론을 피상적으로 이해한 사람들의 잘못된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지금도 원숭이가 인류의 조상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다. 심지어 과학을 신뢰하며 진화론에 큰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사람들마저도 원숭이가 인간으로 변했다(진화했다)”고 생각한다. 이런 사람들은 복잡한 진화론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인간은 원숭이의 조상이라고 언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진화론의 의미를 왜곡하게 만든다. 게다가 이 허술한 설명은 진화론을 공격하려는 창조론자들의 먹잇감이 되기도 한다. 원숭이는 현생 인류의 조상이 아니라 친척이다. 인간과 원숭이는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 49

 

 아낙사고라스에 의하면, 무한한 우주는 누스가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들은 누스를 파악하고, 알아차릴 수 있다고 했다. 고대 철학자 플라티노스(Plotinus)도 누스를 만물의 일자로부터 유출된 기능으로 보았으며, 스토아학파에서는 누스를 창조적 로고스와 동일시했다.

 


플라티노스플로티노스의 오자. 해당 책 112쪽과 139쪽에 플로티노스라고 되어 있다.






* 125

 

 이데아(Ιδέα)는 이성의 작용으로 얻을 수 있는 최고의 개념으로 플라톤에 의해 제기되었다. 그의 이데아론은 현상세계 밖의 세계로서 모든 사물의 원인이며 본질이다. 이데아는 인간의 경험을 배제한다. 이데아 혹은 에크도스(Ecdos)로 사용되어지는 이데아의 관념은 이성의 작용을 통해 얻는 본질적 개념으로 사용되어진다.

 

 

플라톤의 이데아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단어는 에크도스(Ecdos)’가 아니라 에이도스(eidos). 그러나 에이도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주로 사용되는 개념이므로 플라톤이 생각한 이데아의 의미와 차이가 있다. 이데아가 현실적인 사물의 (관념적인) 원형이라면, 에이도스는 눈으로 볼 수 있는 형상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사물은 질료(재료)와 형상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했다.







 

저자가 이데아를 설명하면서 언급한 에크도스는 영어, 그리스어, 라틴어 사전에 없는 단어다. 나는 이 용어의 의미를 알아내려고 철학을 공부하는 지인에게 직접 물어봤다. 그분도 철학의 위로를 읽었으며 에크도스가 아니라 에이도스가 맞는 용어라고 말했다. 에크도스는 틀린 단어다. 저자는 글을 쓰면서 위키백과 관념항목을 참고해서 쓴 것으로 보인다. 이 항목에도 이데아가 에크도스(Ecdos)에서 나온 말이라는 잘못된 내용이 있다.




* 141~142

 

 

 당시 사람들은 프톨레마이오스(Ptolemaeos)의 천동설을 부정할 수 없는 진리로 여겼다. 그들은 지구 중심의 세계관을 완전한 자연계의 현상이며, 진리라고 믿었다. 당시 사람들은 매일 아침 떠오르는 태양을 바라보며,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이 회전한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진리였다. 당시 사람들에게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이 회전한다는 생각은 중세 1,000년의 신앙심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가 집필한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라는 책이 출간되면서 불변의 진리는 의구심의 대상이 되어 버렸다. 이 사건을 통해 기독교 중심의 유럽 사회는 발칵 뒤집혔다. 성직자들은 이 책을 악마의 책이라고 불태워 버렸다. 이탈리아의 브루노(Bruno)지동설을 받아들여 화형에 처해지기도 했다. 또한,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는 종교재판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주장을 거둬들였다. 하지만 그는 재판장을 나오면서 그래도 지구는 돈다(Eppur si muove)”라는 말을 남겨 변할 수 없는 진리를 옹호하였다.



 

조르다노 브루노(Giordano Bruno)는 지동설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지 않아서 화형당한 과학의 순교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역사적 사실과 맞지 않으며 브루노에 대한 과장된 평가다. 브루노는 지동설을 받아들였으나 우주를 유한의 공간이라고 생각한 코페르니쿠스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우주는 무한하다는 일명 무한 우주론을 주장했다. 브루노는 기독교에 대한 공개 비판과 이단에 가까운 급진적인 기독교 교리 해석을 주장한 혐의를 받아 화형을 당했다그리고 갈릴레오는 실제로 지구는 돈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






* 148

 

 제논(Xenon)은 로고스를 모든 실재에 내재되어 있는 이성의 정신적 원리로 규정했다.

 

 

고대 그리스에서 활동한 철학자의 이름 철자가 틀렸다. 올바른 이름 철자는 ‘Zenon’ 또는 ‘Zeno’


‘xenon’은 원자번호 54번의 원소 이름이다. 원래는 그리스어 발음인 크세논으로 표기했으나 최근에는 영어식 발음 제논으로 표기하고 있다.




* 377

 

 언어를 과학적으로 다루는 철학자는 페라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이다. 그는 언어학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의 언어학은 언어능력이 가지고 있는 자연언어의 체계적 연구를 통해 언어에 대한 기호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그는 언어를 과학적으로 해석하여 기호의 체계로 분류하고 언어가 가지고 있는 기본 구조를 연구하였다.

 

 

페르디낭으로 써야 한다.






* 419

 

19412월 마지막 작품 막간을 끝으로 우즈강에 투신해 자살해 버렸다.



 

막간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가 죽기 전에 쓴 마지막 소설이다. 책의 제목임을 알 수 있는 괄호를 넣어줘야 한다.







* 430


 

 원본의 이데아는 사라지고 복제만이 세상를 뒤덮는다. 이러한 혼돈의 시대에 우리의 의식은 시뮬라크르를 지향하며, 원본 없는 사회를 만들어가고 있다.


 

세상를세상을의 오자다.




 

부실한 점이 많은 이 책의 제목을 철학책의 위기로 바꾸고 싶다. 사실 밑천이 드러난 ‘철학자의 위기가 이 책의 상태에 잘 어울리는 제목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1-01-18 2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키백과의 오류가, 출간될 책으로 이어지고....존재하지도 않는 철학용어가 독자들의 머릿 속을 떠돌며 자리 잡지 못하고....작아 보이지만 작은 실수가 아니네요...의도가 담기지 않았더라도.

cyrus 2021-01-19 06:33   좋아요 0 | URL
저자의 집필 의도와 내용은 좋았는데, 생각보다 ‘옥에 티’가 많았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