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권미선 옮김 / 사람과책 / 1996년 6월
평점 :
품절


 



번역서 평점


2점   ★★   C





단어가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제목이 있다영화 <일 포스티노>(Il Postino)의 원작 소설 Ardiente Paciencia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두 개의 제목이 생겼다그 제목들은 네루다의 우편배달부와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네루다의 우편배달부는 민음사에서 출간된 소설 번역본 제목이다최근에 쓴 파블로 네루다(Pablo Neruda)에 대한 네 편의 글을 다시 읽어봤다글 속에 소설 제목을 네루다와 우편배달부라고 쓴 부분을 몇 군데 발견했다어쩌면 지난 10월 말에 있었던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책 모임에 참석한 필자는 제목을 여러 번 잘못 말했을지도 모른다.


네루다의 우편배달부가 나오기 전인 1996년에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가 출간되었다.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를 번역한 사람은 권미선 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스페인어과 교수이다이사벨 아옌데(Isabel Allende)의 소설을 즐겨 읽은 독자라면 역자의 이름을 자주 봤을 것이다.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는 정교수가 되기 전인 30대의 권 씨가 작업한 첫 번째 번역본이다부록으로 네루다의 시가 실려 있다


줄거리 언급은 생략하겠다. 필자는 이미 Ardiente Paciencia와 네루다를 주제로 한 글을 썼다. 작품에 대해 궁금한 분은 필자의 졸문을 참조하시길.


사실 이 글을 쓴 목적은 번역문에 대한 견해를 밝히기 위해서다. 글 쓰는 일을 노동의 개념으로 본다면, 오래된 절판본의 번역을 지적하기 위한 글을 쓰는 일은 필자에게 소득책을 구매한 사람이 그 책의 구매에 도움이 된 글 작성자에게 적립금을 주는 ‘Thanks to 적립금제도의 혜택―을 가져다주지 않는. 그래도 책을 읽었으면 그 책에 대한 기록을 남겨야 한다. 대부분 독자는 자고 일어나면 나오는 따끈따끈한 신간에 주목하고 열광한다. 이 사람들은 도서관이나 헌책방에 가야 볼 수 있는 옛날 책에 관심 없다. 절판된 책의 서평도 크게 주목받지 못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우연이든 필연이든 오래된 책의 실체를 알고 싶은 누군가는 이 글을 참고할 것이다알라딘 온라인 중고시장에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를 만 원에 파는 판매자가 있다. 현재 구할 수 없는 책, 권 교수의 첫 번째 번역서라는 점에서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는 특별해 보인다. 그러나 정가 6,500원의 책을 만 원 주고 사는 일은 어리석은 짓이다. 왜냐하면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는 번역이 좋은 책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소설의 주인공 마리오는 주점에서 일하는 베아트리스 곤살레스를 첫눈에 보자마자 반한다. 마을에 운동장이 없어서 젊은 어부들은 주점에 설치된 테이블 축구를 즐긴다(민음사 35쪽 참조).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38쪽에 주점의 내부 광경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그런데 권 교수는 주점에 설치된 오락 기구를 핀볼 게임(pinball game)이라고 잘못 번역했다




 



 



테이블 축구와 핀볼 게임은 생김새와 작동 방식이 다른 오락 기구다. 스페인어 원서에 ‘taca-taca’라는 단어가 나온다. 이 단어는 테이블 축구를 뜻한다. 권 교수가 정말로 스페인어 원서를 참고해서 번역했다면 핀볼 게임이라는 단어가 나올 수 없다. 아니면 그녀가 테이블 게임을 핀볼 게임으로 착각했을 수 있다.

 

필자는 스페인어를 쓰거나 말할 줄 모른다. 그래서 문장 번역에 대한 개인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겠다. 스페인어 원문, 민음사 번역본의 문장(우석균 옮김), 그리고 권 씨가 번역한 문장만 인용하겠다. 번역에 대한 판단은 스페인어에 능숙한 독자들의 몫이다.




* 원문


 Estás húmeda como una planta. Tienes una calentura, hija, que sólo se cura con dos medicinas. Las cachas o los viajes.



húmeda: húmedo(축축한, 습한, 눅눅한)의 여성형 명사

planta: 식물, 풀

cachas: 기골이 장대하고 건장한 사람 

viajes: 여행

 

* 민음사(우석균 옮김), 65

 

 “넌 지금 풀잎처럼 촉촉해. 후끈 달아올랐을 때에는 약이 딱 두 가지밖에 없지. 교미나 여행.”

 어머니는 딸의 귓불을 놓고 침대 밑에서 가방을 꺼내 침대 위에 패대기쳤다.

 “가방 싸!”

 

* 권미선 옮김, 72~73

 

 

 “넌 지금 온 몸에서 식은땀이 흘러. 열병이 난 거야, 이년아. 거기엔 딱 두 가지 약밖에 없어. 몰매를 맞든지 아니면 짐을 싸든지 둘 중에 하나야. 빨리 짐이나 싸!”





현재 외래어표기법이 시행되기 한창 전에 나온 책이라서 외국 인명 표기가 어색하다. ‘프랑수아 비용(Francois Villon: 프랑스의 시인, 민음사 83쪽 참조)’을 영어 발음에 가까운 프랑소와 빌롱(93)’으로 표기되었다. 당통(Danton: 프랑스의 정치인, 민음사 119쪽 참조)단톤(130)’으로 표기한 것도 눈에 띈다. 파블로 네루다와 우편배달부네루다의 우편배달부를 함께 읽어 보면 확실히 문체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권 교수는 스페인어 원서에 있는 문장 일부를 두루뭉술하게 번역하거나 의역했다. 아마도 권 교수는 작품에 드러난 라틴아메리카의 정서 및 문화를 생소하게 여긴 90년대 독자들을 위해 직역보다는 가독성을 최대한 살리는 쪽으로 번역을 시도한 것 같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20-12-19 23:0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번역 수준에 대해선 차치하더라도 제임스 조이스 책을 꾸준히 개역하는 김종건 교수의 예만 보더라도 번역서일수록 초역판은 위험하다고 생각해요. 재독을 할수록 보이는 게 많은 게 책인데 하물며 번역은 더 말할 게 없죠!

cyrus님과 제가 알라딘 오는 타이밍이 잘 안 겹쳐서 그동안 격조했어요/ 하지만 책 속에서 늘 열심이실 거란 거 멀리서도 종종 생각했답니다^^

cyrus 2020-12-20 16:41   좋아요 0 | URL
초판 번역의 오류를 한 번도 고쳐본 적이 없는 역자가 다른 역자의 번역을 지적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해요. 두 달 전에 유명한 역자가 옮긴 소설을 읽었는데(이번 달에 제가 썼던 글을 보면 역자 이름과 소설 제목을 알 수 있어요), 생각보다 실망했어요. 역주도 엉망이었어요.

AgalmA님도 잘 지내셨죠? 올해는 책만 열심히 읽으면서 지냈어요. 개인적인 사정이 있어서 글을 쓸 여력이 없었어요. 코로나가 유행하면서 도서관이 잠깐 문 닫는 바람에 글을 쓸 의욕이 나지 않았어요. 제게 도서관은 글을 쓰기 위한 재료들이 가득한 곳이거든요. ^^

2020-12-20 00: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20-12-20 16:42   좋아요 0 | URL
오역을 지적하기 전에 왜 이런 실수를 했을까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돼요. 그러면 “비록 표현이 어색해도 오역이 아닐 수 있구나”라고 깨닫게 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