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이 문장은 알고 있는 당신은 분명 미술과 예술작품을 보는 일을 좋아하는 사람이고, 연배가 꽤 있는 옛날 사람일 수도 있다.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오픈하우스)는 미술평론가 손철주1998년에 펴낸 책이다(초판을 만든 출판사는 도산되어 사라진 생각의 나무).

    

 

 

 

 

 

 

 

 

 

 

 

 

 

 

 

 

* 손철주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오픈하우스, 2017)

 

 

 

이 책은 22년 동안 세 번의 개정을 거친 미술 교양서의 스테디셀러다. 이 책을 잘 모르는 젊은 독자들이 있을 것 같지만,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제목은 그림 읽기의 공식처럼 알려졌다. 그런데 그림이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해서 밑줄을 쳐가며 공부하듯이 미술책을 정독할 수 없는 노릇이다. 미술평론가나 미술사학자들의 작품 해석을 참고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감상 방식만 알면 그림 보는 일은 어렵지 않다.

 

사람들이 그림 볼 때 제일 간과하기 쉬운 것은 내 마음을 믿는 일이다. 이게 무슨 말인가. 만약 당신이 그림을 보다가 마음에서 무언가 느껴졌다면 그림을 제대로 보고 있다. 대부분 사람은 과연 내가 그림을 보고 느낀 것이 화가의 의도에 맞는지 스스로 의심한다. 나도 한때 그랬다. 이런 생각은 그림을 안 보이게 만든다. 이러면 미술은 어렵다라는 편견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손철주는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에서 모든 예술작품 감상이 주관적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림 감상에 정답은 없다. 그림 감상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림을 보면서 느끼고 생각하면 되는 거다. 그림 (내가) 느낀 만큼 보인다.

 

    

 

 

 

 

 

 

 

 

 

 

 

 

 

 

 

*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열화당, 2012)

* [품절] 오시안 워드 TABULA: 현대미술의 여섯 가지 키워드(그레파이트온핑크, 2017)

* 오시안 워드 혼자 보는 미술관(RHK, 2019)

 

    

 

 

사실 오래전에 주관적인 예술작품 감상의 중요성을 강조한 미술 전문가가 있었다. 그 사람은 바로 다른 방식으로 보기(열화당)를 쓴 존 버거(John Berger). 이 책은 처음에 이렇게 시작한다.

 

 

 말 이전에 보는 행위가 있다. 아이들은 말을 배우기에 앞서 사물을 보고 그것이 무엇인지를 안다. (9)

 

 

다른 방식으로 보기의 핵심을 함축한 문장이다. 이 책에서 버거는 회화를 비롯해 사진 · 광고 등 우리를 둘러싼 이미지를 다르게 보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는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방식이 하나의 정형화된 상식으로 알려지는 것에 경계한다. 그러면서 상식으로 굳어진 예술작품을 보는 방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상식은 우리가 그림을 보면서 느낀 것들과 맞아떨어지지 않는다. 그림 한 점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느낌은 제각각이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과 알고 있는 것과의 관계는 항상 변한다. 그러므로 예술작품을 보려면 그것(우리가 보고 있는 것)과 관련된 상식과 전문가의 의견들(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분리해야 한다. 그 순간에 우리는 말(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배우지 않은 어린아이가 되어 예술작품을 본다.

 

오시안 워드(Ossian Word)다른 방식으로 보기의 핵심을 이어받아 현대미술 작품과 고전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그는 TABULA: 현대미술의 여섯 가지 키워드(그레파이트온핑크) 혼자 보는 미술관(RHK)을 썼다. 이 두 권의 책에 나오는 핵심 키워드는 백지상태를 의미하는 단어인 타불라 라사(TABULA RASA). 예술작품을 감상하려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출발해야 한다. 타인의 견해에 눈치 보거나 비교하지 않고 내 시선과 감각을 믿으면서 예술작품을 보는 것이다.

    

 

    

 

 

 

 

 

 

 

 

 

 

 

 

* 케네스 클라크 그림을 본다는 것(엑스오북스, 2012)

 

  

 

모든 미술 전문가가 주관적 작품 감상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케네스 클라크(Kenneth Clark)는 자신의 책 그림을 본다는 것(엑스오북스)에서 미술을 막대사탕처럼 한순간 기분 좋게 만들어 주는 게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림이 주는 기쁨을 오랫동안 느끼려면 그림에 관해 배우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케네스 클라크의 그림 감상 방식은 처음에 그림을 꼼꼼하게 살펴보면서 시작한다. 여기까지는 오시안 워드의 그림 감상 방식의 시작 단계와 비슷하다.

 

그림 전체와 세밀한 부분까지 다 살펴봤으면 그림에 대한 약간의 정보(화가의 생애, 그림이 화가의 생애에서 어느 정도 위치를 차지하는지 알 수 있는 정보 등)를 찾아본다. 이런 지식을 참고하면서 다시 한 번 그림을 본다. 그러면 혼자 그림을 보면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알게 된다. 케네스 클라크가 제시한 그림 감상 방식은 나쁘진 않다. 하지만 그림을 제대로 보면서 즐기려면 그림에 대한 정보가 꼭 있어야 하는가. 이것은 마치 그림이라는 문제를 보다가 내가 제대로 본 게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답(정보)을 찾아보는 상황이다. 예술작품을 실컷 보다가 전문가의 작품 해설을 접하고 나면 허탈감이 느껴져서 그림을 계속 보고 싶은 마음이 나지 않을 것이다. 케네스 클라크의 그림 감상 방식은 미술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지 않다.

  

미술 교육의 단점은 예술작품을 내 방식대로 보고 즐기는 방식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그림을 눈으로 보기에 앞서 교과서에 나온 그림 감상법을 배운다(다른 방식으로 보기의 첫 문장을 변형했다). 이러면 그림 보는 일에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 틀려도 좋으니 즐겁게 논다는 생각으로 편안하게 그림을 보자. 그림을 보는 것은 정말 재미있는 일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주 2020-03-14 1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딱 맞히셨어욥! 저, 연배가 좀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지만 확실히 옛날 사람은 맞아요. 심지어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구판 책으로 수업도 했었고 페이퍼도 작성했던 것 같아요. 사이러스 님이 짚어주신대로 그림은 느낀만큼 보인다고 저도 동감해요^^

cyrus 2020-03-14 23:46   좋아요 0 | URL
저는 나이만 젊은 ‘애늙은이’입니다. 저랑 같은 나이의 사람들이 뭘 좋아하는지 잘 몰라요. 그래서 나쁘게 말하면 시대와 유행에 뒤쳐진 사람이에요. 이래서 저도 ‘옛날 사람’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