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이 아닌 몸 - 미국 문화에서 장애는 어떻게 재현되었는가 그린비 장애학 컬렉션 4
로즈메리 갈런드 톰슨 지음, 손홍일 옮김 / 그린비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11월에 기형(畸形)의 정의에 대해 생각해보는 내용의 글을 쓴 적이 있다. 이 글에서 나는 기이한 몸을 떠올리는 기형대신 이형(異形)이라는 단어를 쓸려고 했다. 이형은 완전한 몸’, ‘건강한 몸’, ‘정상적인 몸을 뜻하는 전형(全形)의 반대말이다. 이형은 말 그대로 (전형과) 다른 몸이다. 그러나 이 단어도 만족스럽지 않다. 차이(다름)다양성이 아닌 차별과 같은 의미로 이해된다면 이형도 비정상적인 몸을 떠올리게 하는 기형의 의미로 수렴될 수 있다.

 

그렇다면 기형을 대체할만한 단어는 과연 있을까? 새로운 대안 언어에 한계가 있더라도 그 단어를 찾아내거나 만들어야 한다. 최근에 기형이형을 대신할 만한 단어를 발견했다. 장애학 이론으로 미국 문학을 분석하는 작업을 시도한 영문학과 교수 로즈마리 갈런드 톰슨(Rosemarie Garland Thomson)보통이 아닌 몸(extraordinary bodies)이다. 그녀가 쓴 보통이 아닌 몸장애학에 여성주의 이론을 접목한 책이다.

 

extraordinary’기이한’, ‘놀라운’, ‘보기 드문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다. ‘extra’‘ordinary’의 합성어인데 ‘ordinary’보통’, ‘평범한을 뜻한다. ‘ordinary’평범하고 건강한 몸을 가진 비장애인을 지칭하는 개념이라면, extraordinary’는 기이한 몸을 가진 장애인을 지칭하는 개념이 된다. 그런데 ‘ordinary’의 반대말은 ‘unordinary’. 톰슨은 왜 ‘unordinary’ 대신에 ‘extraordinary’에 썼을까. 보통이 아닌 몸의 역자는 톰슨이 평범하지 않은(unordinary) 장애인의 몸에 함축된 부정적 의미를 극복하고, 장애인의 몸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단어‘extraordinary’을 선택했다고 추측한다. 그래서 역자는 저자의 의도가 독자에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extraordinary’보통이 아닌 몸으로 의역했다. 보통이 아닌 몸기형의 몸’, ‘불구’, ‘결핍된 몸으로 보이고 설명되는 타자화된 몸이 아니다.

 

보통이 아닌 몸은 비장애인의 몸과 비교당하는 장애인의 몸을 새롭게 보게 만드는 책이다. 프릭 쇼(freak show)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기형 인간 쇼는 1800년대부터 시작해서 20세기까지 이어져 왔다. 저자는 프릭 쇼를 장애인의 몸을 구경거리로 만든 문화 사업이라고 지적한다. 프릭 쇼는 사라졌지만, 지금도 비장애인은 장애인의 몸을 열등한 상태 그리고 개인적인 불행으로 간주하면서도 그것을 신기한 몸으로 의식한다.

 

저자는 미국 문학작품 텍스트 속에 장애인의 몸과 삶이 어떻게 묘사되는지 분석한다. 그녀가 언급한 미국 문학작품에서 장애인은 주로 주변적인 삶을 살고 있으며 이 역할 안에서 기이하면서도 연민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타자로 그려졌다. 장애인을 문화적으로 또는 신체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만드는 내러티브(narrative)는 그들을 있지만 없는 존재로 타자화하고 배제하는 인식을 생산한다. 노예제의 비인간성을 고발한 해리엇 비처 스토(Harriet Beecher Stowe)의 대표작 엉클 톰스 캐빈(Uncle Tom’s Cabin)의 비장애인 여성은 어려움을 스스로 극복하는 주체적인 인물로 묘사되지만, 장애 여성은 무력하고 절망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특정한 정체성을 생각할 때 머릿속에 떠오르는 전형적인 그림이 바로 고정관념이다. 합리적이지 못한 인간은 그 정체성에 대한 매우 제한된 정보만으로 그것을 설명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관념이 편견으로 굳어져 버리면 차별과 배제를 불러일으킨다. 예를 들어 장애인은 건강하지 못해서 불행하다라든가 장애인은 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은 장애인의 삶을 축소하게 만드는 오래된 고정관념이다. 보통이 아닌 몸은 장애인의 몸과 삶에 투과되는 여러 가지 고정관념을 해체하는 작업을 시도하면서 다양한 장애인들의 주체적인 목소리가 나오는 긍정적인 장애 정체성을 강조한다. 이 책은 장애를 재현하는 사회적 인식과 문화의 시선, 그리고 장애를 간과해온 비장애인 중심의 여성주의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Trivia

 

수용의 논리는 장애란 그저 사람들 사이의 많은 다름 중의 하나일 뿐라고, 사회는 이 점을 인식하고 그에 맞게 환경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89)

 

뿐이라고의 오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프리쿠키 2019-09-21 12: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푸코가 말했듯 모든 것을
정상/비정상으로 나누는 잘못된 에피스테메를 다시 심도있게 포스팅 해주셔서 배우고 갑니다^^

cyrus 2019-09-22 17: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보통이 아닌 몸」에 푸코의 이론이 나와요. 제가 리뷰에 그 사실을 언급하지 않았는데도 쿠키님이 잘 파악하셨어요. 엄지 척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