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는 왜 책을 사랑하는가? - 예술에서 일상으로, 그리고 위안이 된 책들
제이미 캄플린.마리아 라나우로 지음, 이연식 옮김 / 시공아트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 독서의 역사는 곧 인류의 지성사이며 문화사다. 알베르토 망겔(Alberto Manguel)《독서의 역사》에서 ‘독서’를 ‘책에 담은 의미를 알아내는 행위’라고 말했다. 세상을 이해하는 행위로 그만큼 독서의 의미가 크고 깊다는 뜻이다. 책은 애서가 또는 작가의 전유물로 여겨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책을 좋아하는 예술가도 있었다. 반 고흐(van Gogh)앙리 마티스(Henri Matisse)는 다독가였다. 책은 모든 장르의 그림에 카메오로 등장했다. 초상화에 그려진 인물의 학식이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는지 암시해주고, 비싼 장식품으로도 그려지기도 했다. 몇몇 애서가는 농담으로 사놓고도 읽지 않은 책들을 장식품으로 취급한다고 말한다. 과거 예술가와 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했다. 유럽은 중세 이래 책을 아름답게 꾸미는 전통이 있었다. 그래서 책은 귀족이나 고위 성직자, 교수 등 극히 한정된 인텔리만 읽을 수 있고 소장할 수 있었다. 단순한 읽을거리가 아니라 신분 과시용이요 유산계층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해주는 화려한 장식품이었다. 그림에 책을 그려 넣은 예술가들은 책이 장서가의 정체성과 사회적 지위를 증명해주는 소품이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 그리고 책이 등장하면서 예술가는 자신의 정체성과 사회적 지위를 확립할 수 있었다.

 

《예술가는 왜 책을 사랑하는가?》‘도판이 풍부한 독서의 역사’라고 보면 된다. 책의 원제는 ‘The Art of Reading’이다. 《예술가는 왜 책을 사랑하는가?》는 중세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독서의 거대한 역사를 예술가들이 남긴 다양한 그림을 통해 보여준다. 이 책의 공동 저자는 책이 그려진 그림들을 살펴보면서 책을 대하는 예술가들의 생각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아본다.

 

책을 많이 읽은 예술가는 그리 많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예술가와 책이 서로 무관한 관계라고 단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앞서 언급했듯이 책의 등장으로 ‘무명의 장인’으로 취급받았던 예술가의 지위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한 화가 조르조 바사리(Giorgio Vasari)는 1550년에 <예술가 열전>(국내에서는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이라는 책을 썼다. <예술가 열전>은 예술가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기록물이다. 이 책이 나오지 않았다면 르네상스 예술가들의 그림은 ‘작가 미상의 그림’으로 알려져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을 것이다.

 

책이 상류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시절은 절대로 다시 오지 않는 책의 황금기이다. 이때 책은 상류층의 권위를 발산하는 그림을 장식하는 데 절대로 빠져서는 안 될 필수 소품이었다. 하지만 시대에 따라 유행이 변하듯이 책을 대하는 대중의 태도와 그 책에 의미를 부여하는 예술가들의 생각도 조금씩 달라졌다. 17세기 유럽에 인생의 허무함을 강조하는 정물화인 ‘바니타스(vanitas)가 유행했다. 바니타스를 즐겨 그린 화가들은 책을 유한하고 덧없는 인간의 삶을 의미하는 상징물로 인식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지식이 대중화되고, 책의 개인 소유가 가능하게 되면서 책은 상품으로 거듭났다. 아, 물론 이때도 여전히 책은 기득권층의 지위를 돋보이게 해주는 소품으로 활용되었다. 전근대의 책이 왕족, 귀족, 기독교 수도사들의 지위를 드러나게 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면, 근대의 책은 부르주아의 전유물이었다. 앞서 나는 책과 독서의 역사를 인류의 지성사라고 언급했는데, 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면 책과 독서의 역사는 ‘기득권 중심의 지성사’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사회를 지배하는 기득권층은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책을 이용했다. 역사적으로 책은 기득권층의 대변인 역할을 해온 것이다. 결국 책은 기득권층이 승인한 지식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예술가는 왜 책을 사랑하는가?》를 번역한 미술사가 이연식‘독서는 위험하다. 특히 예술가에게 위험하다’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그는 독서 자체를 피해야 할 행위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책 읽는 사람은 분명 그저 읽기만 하는 수동적인 존재인 것은 아니다.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된 지식은 부당한 세상에 맞서는 무기를 만들 때 필요한 재료가 된다. 독서가 축복인지 저주인지는 우리가 그 속에 있는 재료를 어떻게 쓰느냐(어떻게 읽고 소화하느냐)에 달려 있다. 책은 아무런 잘못이 없다. 책은 위험하지 않다. 책 속에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사람들이 위험하다.

 

 

 

 

※ Trivia

 

* 278쪽에 미국의 작가 거트루드 스타인(Gertrude Stein)의 동성 연인의 이름이 나온다. 그런데 그녀의 이름이 ‘앨리스 토클러’라고 되어 있다. ‘앨리스 토클러스/토클라스(Alice B. Toklas)라고 써야 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8-03 11: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8-03 11:45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책을 너무 안 읽는 사람도 문제고, 또 책을 너무 많이 읽는 사람도 문제에요. 전자는 글 한 줄 못 쓴다면, 후자는 잘못된 신념을 강조하는 글을 너무 많이 써요.

라이너스 2019-08-04 14: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매체가 담고 있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수용자의 태도 또한 중요하다는 것이군요~ 읽어보고 싶은 책이네요. 좋은 서평 감사합니다.

cyrus 2019-08-05 16:25   좋아요 0 | URL
주제와 내용이 어렵지 않아서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