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가부장 - 여성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하는 보이지 않는 힘
시드라 레비 스톤 지음, 백윤영미.이정규 옮김 / 사우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일랜드의 극작가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는 인간의 삶을 감싸는 거대한 봉투가 ‘문화’라고 말한다. 우리가 쓰는 문화라는 말의 의미는 아주 넓다. 전통문화, 대중문화, 음식문화, 기업문화, 청소년문화 등 ‘문화’가 들어가지 않는 곳이 없다. 그러므로 문화를 봉투로 비유한 것은 협소하다. 문화라는 이름의 산소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문화는 우리를 숨 쉬게 하는 산소와 같다. 우리 삶의 모든 순간에는 문화가 존재한다. 우리는 문화로 숨을 쉬면서 자라고 문화생활을 영유하는 ‘인간’이 된다. 인간은 생물학적 존재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문화적 존재이다.

 

우리가 호흡하고 활동하는 동안 ‘활성산소’가 생긴다. 몸속으로 흡수되는 영양분과 산소는 활성산소를 만드는 주요 원료이다. 과도한 활성산소는 세포를 공격해 유전자를 변형시키고 암을 일으킨다. 나는 우리 삶을 지배하며 차별과 억압에 일조하는 가부장제 문화를 활성산소에 빗대어 ‘활성 문화’라고 부르고 싶다. 가부장제 문화는 오랜 세월 동안 전통과 관습이란 명목으로 여성을 남성의 말에 순종하고 보호받는 수동적인 존재로 만들게 했다.

 

우리는 가부장제라는 활성 문화를 산소 마시듯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자란다. 가부장제 아래에서 나고 자란 우리 중 가부장적 권위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여성과 남성을 가릴 것 없이 많은 이들에게 가부장제는 내면화되어 있다. 우리 무의식의 그림자 속에는 ‘내면 가부장’이 있다. 《내 안의 가부장》은 가부장제 문화를 지속해서 유지하게 만드는 가부장적 자아의 실체를 보여주는 책이다. 심리학자인 이 책의 저자 시드라 레비 스톤(Sidra L. Stone)우리 안에 다양한 자아들이 있다는 관점을 전제로 하면서, 내면 가부장이라는 자아의 목소리를 듣는 관점을 제공한다.

 

융 심리학에서 그림자란 우리가 외면하거나 무의식 속에 숨은 자신의 또 다른 모습이다. 이 그림자는 때때로 통제를 따르지 않고, 내면 밖으로 드러낸다. 저자는 내면 가부장을 ‘그림자 왕(The Shadow King)이라고 부른다. 내면 가부장은 전통과 규칙을 아주 좋아한다. 그래서 내면 가부장은 사회가 원활하게 작동하는 데 필요한 규칙을 만든다. 내면 가부장이 좀 권위적이어도 생각보다 좋은 일을 하는 녀석이다. 그런데 조금이라도 전통과 규칙을 어기면 내면 가부장은 초조해지는데, 이게 심해지면 문제가 발생한다. 전통과 규칙을 어긴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자신을 불신하도록 만든다. 내면 가부장에 지배당한 개인은 자신이 남들보다 열등한 존재라고 인식한다. 특히 내면 가부장을 지나치게 드러내는 남성은 남성과 관련된 특성을 여성의 특성보다 더 우위에 둔다. 여기서부터 여성 차별과 남성 중심주의가 형성되면서 가부장제 문화가 활성화된다. 활성 문화가 된 가부장제가 오랫동안 사회를 지탱할수록 그 속에서 숨 쉬면서 자란 개인은 가부장제의 가치를 내면화한다.

 

이 책은 내면 가부장뿐만 아니라 내면 가모장도 다룬다. 내면 가모장은 내면 가부장과 상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내면 가부장이 권력과 규칙을 좋아한다면, 내면 가모장은 감정, 사랑, 양육을 중시하며 관계 지향적인 가치를 선호한다. 그러나 내면 가모장이 ‘그림자 왕’이 되면 남성 그 자체를 싫어하고, 자신의 성별(gender)이 남성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보는 몇몇 페미니스트들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점이지만, 저자는 ‘그림자 왕’이 된 내면 가모장의 단점을 지적하면서 여성 우월주의를 넌지시 경계한다.

 

이 책을 보지도 않고, 가부장제를 빌미로 남성을 공격하는 내용이 있다고 판단하면 곤란하다. 저자는 내담자(상담을 의뢰한 사람)들이 들려준 경험담을 통해 내면 가부장과 내면 가모장의 장단점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려준다. 그리고 내면 가부장과 내면 가모장을 무시하거나 거부할 것이 아니라, 그들이 내는 목소리를 듣고 우리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주는 파트너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물론 자신의 그림자(왕)를 직접 만나면서 들여다보는 일은 불편하고 낯선 작업이다. 그러나 우리가 그 실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한 초조함, 분노, 우울로 인한 고통은 사라지지 않는다. 내면 가부장과 내면 가모장의 존재를 거부하면 그것은 ‘내 안의 적’이 된다. 그림자 왕은 타인에게 자신의 특징을 그대로 투사함으로써 차별과 갈등을 유발한다. 내 안의 또 다른 자아를 만나고, 자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과정은 단순히 나를 치유하는 과정이 아니다. 사회 속에서 좀 더 생생하고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면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모든 사람이 수행해야 하는 지속적인 성찰의 과정이다. 알면 달라진다. 나에 대한 시선이 달라지고, 타인에 대한 시선도 달라질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9-06-05 1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cyrus님 리뷰를 읽으니 ‘제도로 형상화된 아니마와 아니무스‘라는 생각이 듭니다^^:)

cyrus 2019-06-06 14:06   좋아요 1 | URL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제도로 형상화되면, 또 다른 사회구성원들은 사회제도(관습, 규범)에 스며든 아니마와 아니무스를 내면화하게 됩니다. 그런 과정이 있어서 문화가 생기고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