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근대 장애인사 - 장애인 소외와 배제의 기원을 찾아서
정창권 지음 / 사우 / 2019년 4월
평점 :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를 남긴 시인 호메로스(Homeros)는 시각장애인이었다. 우화를 쓴 이솝(Aesop)은 등이 굽은 장애인이었다. 악성(樂聖)이라 불리는 음악가 베토벤(Beethoven)은 청각장애인이었고, 《돈키호테》의 작가 세르반테스(Cervantes)는 한쪽 팔을 쓰지 못했다. 사회운동가 헬렌 켈러(Helen Keller)는 시각 · 청각 · 언어장애인이었다. 대부분 알만한 세계적 위인들이고,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 역사 속 유명한 장애인이 누구 있는지 생각해보면 언뜻 떠오르는 인물이 없다. 장애를 가진 위인이 없었던 게 아니다. 그만큼 가려지고 소외돼 왔다.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세종대왕이 시각장애인이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세종대왕은 안질에 걸려 시력이 점점 약해져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낄 정도였다. 훈민정음 창제를 처음으로 알린 1443년에 당뇨 합병증으로 시력을 거의 잃어 지팡이 없이는 걷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세종대왕은 장애를 숨기지 않았다. 조선 초기에 ‘명통시(明通寺)’라는 시각장애인 단체가 만들어졌다. 장애를 가졌다고 해서 관직에 등용되는 데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장애인 차별이나 편견 등의 문제가 불거질 때면 대부분 사람(특히 비장애인)은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지금도 이런데 옛날에 장애인들은 얼마나 힘들게 살았을까?’ 하지만 《근대 장애인사》를 보면 꼭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과거에 살았던 장애인들을 불쌍하게 여기는 생각이 편견일 수 있다는 생각마저 든다. 조선 시대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어울려 생활했으며 자신의 능력에 맞는 일을 했다. 양반 출신 장애인은 과거를 보아 관직에 나가는 데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으며, 악기를 연주하는 직업을 가진 장애인도 많았다. 중증 장애인으로 자립하기 어려운 사람은 국가가 나서서 복지정책을 폈다. 직접 식량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조세와 부역을 면제시켜줬다.
근대에 접어들면서 장애인들은 서서히 배척되기 시작한다. 조선 시대 장애인들이 생계 수단으로 삼던 점복(占卜: 점치는 일)과 독경(讀經: 경을 읽어 가정의 복을 빌거나 재앙을 물리치는 일)이 혹세무민한다는 이유로 개화기 지식인들의 비판을 받는다. 생계수단을 잃은 장애인들은 극심한 생활고를 겪게 되고, 근대 이후에 직업을 갖지 못한 장애인들은 ‘자립 능력이 없는 인간’으로 치부되어 사회로부터 격리되고 천대받는 신세가 된다.
《근대 장애인사》는 방대한 옛 자료들을 꼼꼼히 살펴 근대 장애인들의 생활상 전반을 복원한다. 이 책은 특히나 장애 문제를 사회복지학적 측면만이 아니라 미시사적 관심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의미 또한 아주 크다. 그동안 근대의 장애 문제에 대한 미시사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해 획기적인 저작으로 평가할 만하다. 평소 역사 속에서 주목받지 않았던 여성들이나 장애인들에 관해 관심이 컸던 정창권 교수는 《근대 장애인사》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확신을 하게 됐다. 근현대 이전 장애인들은 지금보다 더 인간적인 생활을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각종 자료를 통하여 조선시대부터 시작해서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의 장애인들의 삶을 살펴본 다음, 조선 시대 장애인들은 단지 몸이 불편한 사람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고 진단한다. 또한 장애인을 지칭하는 각종 혐오 표현이 장애인의 사회적 지위가 급격히 하락한 일제 강점기 이후에 나오게 된 과정을 살핀다.
일제 강점기에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없었다. ‘불구자(不具者)’가 그나마 널리 쓰인 말이었다. 불구자는 ‘신체의 어느 부분을 갖추지 못한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 ‘후구샤(ふぐしゃ)’에 유래되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이 일본어는 신체적 · 정신적 결함을 가진 존재를 표현하는 말이 되었다. 이후 노동력, 상품성을 최고로 여기는 자본주의 사회로 전환되면서 장애인은 ‘무능력하고 무가치한 존재’로 전락했다. 여기에 1910년대 이후부터 조선에 우생학이 유행하면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배제를 정당화하는 인식은 더욱 강해졌다. 일제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생색용’에 불과했다. 조선이 근대화되면서 장애인의 수는 늘어났지만, 장애인 복지정책은 갈수록 후퇴했다.
이 책에서, 저자가 가장 공을 들인 내용은 ‘근대사에 족적을 남긴 장애 인물들’을 간략하게 소개한 3부에 있다. ‘장애 인물들’에 여성 차별과 장애인 차별이라는 이중고 속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긴 여성 독립운동가와 교육자, 작가들도 포함되어 있다. 장애란 비단 오늘날의 문제인 것만은 아니다. 어느 시대에서나 장애인은 존재했으며, 과거의 역사 속에서도 우리는 많은 장애인과 그들의 삶의 만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장애인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저자의 노력은 높이 평가되어 마땅하다. 앞으로 더욱 많은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