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트 밀렛(Kate Millett)성 정치학(이후)슐라미스 파이어스톤(Shulamith Firestone)성의 변증법꾸리에)과 함께 미국 급진주의 페미니즘(radicalism feminism)의 고전으로 꼽힌다. 두 권의 책 모두 1970년에 출간되었다.

    

 

 

 

 

 

 

 

 

 

 

 

 

 

 

* [품절, 레드스타킹 선정 도서] 케이트 밀렛 성 정치학(이후, 2004)

* [레드스타킹 선정 도서]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성의 변증법(꾸리에, 2016)

 

    

 

밀렛은 1970년을 황금 같은 나날들이었다고 회고한다. 성 정치학성 변증법이 출간된 1970년에 페미니즘의 두 번째 물결인 급진주의 페미니즘이 미국 사회를 뒤흔들기 시작한다(페미니즘의 첫 번째 물결은 18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등장했던 자유주의 페미니즘이다). 미국에서 시작된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프랑스의 68혁명을 계기로 탄생한다. 전 세계에 전쟁의 폭력성과 식민지주의, 권위주의에 저항하는 구호가 거리를 뒤덮은 시기에 여성들도 여성 억압 문제를 제기하면서 가부장제에 대항했다.

 

 

 

 

 

 

 

 

 

 

 

 

 

 

 

 

 

 

* [품절] 로즈마리 푸트남 통 페미니즘 사상(한신문화사, 2000)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 자체가 아니라 법적 차원에서 남성과의 동등한 평등을 목표로 활동한 자유주의 페미니즘(liberal feminism)을 비판했다.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이 투쟁한 끝에 얻은 투표권만으로는 여성들의 삶이 나아지지 않았다. 여성의 경험을 드러내는 언어가 필요했다. 그리하여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됐던 성폭력이 사회 구조적 문제임을 강조했다.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이다(The private is political)라는 급진주의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구호를 확증한 것이 밀렛의 책이다.

 

밀렛은 성(, sex)의 정치적 측면에 주목한다. 즉 성은 단지 개인적인 영역이 아니라 명백히 권력과 지배개념이 작동하고 있는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영역이다. 밀렛이 성의 정치적 측면을 들여다보는 이론적 틀은 가부장제이다. 그녀는 사회 각 분야와 제도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가부장제를 파헤쳤다. 그녀가 비판하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지배적인 남성성과 순종적인 여성성을 극단적으로 분리하고, 성별 체계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만든다.

 

 

 

케이트 밀렛이 성 정치학에서 인용(비판)한 책들

  

  

    

 

 

 

 

 

 

 

 

 

 

 

 

 

* 존 러스킨 참깨와 백합

    

 

 

 

 

 

 

 

 

 

 

 

 

 

 

 

 

 

 

 

 

 

 

 

 

 

 

 

 

 

 

 

 

 

 

 

 

 

 

 

 

 

 

 

 

 

 

 

 

 

 

 

 

 

 

 

 

 

 

 

 

 

 

 

 

*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아들과 연인(민음사, 2002)

*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아들과 연인(열린책들, 2011)

*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채털리 부인의 연인(민음사, 2003)

*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무지개(민음사, 2006)

* [절판]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날개 돋친 뱀(을유문화사, 1974)

    

 

 

 

원제: Sexus (1949, The Rosy Crucifixion 1)

     

* [절판] 헨리 밀러 섹서스(정음사, 1972)

* [절판] 헨리 밀러 쎅서스(산호, 1991)

* [절판] 헨리 밀러 장밋빛 십자가(카나리아, 1991, 2)

* [절판] 헨리 밀러 속 북회귀선(정민, 1993, 2)

    

 

 

원제: Nexus (1960, The Rosy Crucifixion 3)

 

* [절판] 헨리 밀러 넥서스(범한출판사, 1984)

* [절판] 헨리 밀러 관계(세연, 1992)

* [절판] 헨리 밀러 본능(산호, 1992)

* [절판] 헨리 밀러 신들의 정원(홍원, 1994)

* [절판] 헨리 밀러 욕망(일문, 1997)

   

 

 

 

 

 

 

 

 

 

 

 

 

 

 

 

 

 

 

 

* 노먼 메일러 벌거벗은 자와 죽은 자(민음사, 2016)

* [품절] 노먼 메일러 아메리카의 꿈(학원사, 1992)

 

 

 

밀렛은 가부장제로 인한 여성의 종속이 문화 담론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유명한 남성 작가들의 작품을 비판한다. 그녀는 존 러스킨(John Ruskin),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David Herbert Lawrence), 헨리 밀러(Henry Miller), 노먼 메일러(Norman Mailer)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수호한 작가로 거론하면서 그들의 작품에 남성의 지배력과 폭력성을 옹호하는 열망에 사로잡혀 있음을 드러낸다.

    

 

 

 

 

 

 

 

 

 

 

 

 

 

 

 

 

* 앨리스 에콜스 나쁜 여자 전성시대(이매진, 2017)

 

 

그러나 급진주의 페미니즘의 황금 같은 나날은 오래 가지 못한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의 목소리와 경험만이 페미니스트로서의 자기 정체성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여성 내에서 다양한 경험이 존재하며, 계급에 의한 여성 간의 격차와 차별이 생길 수 있다는 주장이 널리 받아들여지면서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1970년대 중반부터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한다. 여러 개의 단체의 활동으로 유지되어 온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내적 분열을 피하지 못한다. 급진적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들은 진정한 여성 해방이 이루어지려면 남성과의 관계를 단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들은 레즈비어니즘(lesbianism)을 여성 운동의 정치적 명령으로 내세웠다. 이로 인해 이성애자 여성들이 페미니즘 운동을 떠났고,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힘을 잃는다. 나쁜 여자 전성시대(이매진)1967년부터 1975년까지 광장으로 나아간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들의 황금기와 여명기를 보여주는 책이다.

    

 

 

 

 

 

 

 

* [품절] 토릴 모이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한신문화사, 1994)

 

    

 

급진주의 페미니즘의 정전인 성 정치학도 후대 페미니스트들의 비판에 직면한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의 열기가 식어가는 무렵인 1980년대부터 성 정치학을 비판하는 입장이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한다. 영국의 페미니즘 비평가 토릴 모이(Toril Moi)성과 텍스트의 정치학(한신문화사)은 영미 페미니즘 이론과 프랑스 페미니즘 이론을 정리한 책이지만, 이 책을 쓴 토릴 모이는 해체주의에 중점을 둔 프랑스 페미니즘을 긍정적으로 본다. 그러면서 가부장제 비판에 몰두한 미국의 급진주의 페미니즘을 비판한다. 특히 케이트 밀렛을 비판하는 토릴 모이의 입장은 성 정치학을 감명 깊게 읽은 독자(페미니스트)들의 뼈를 때릴 정도로 강도가 세다.

    

 

 

 

 

 

 

 

 

 

 

 

 

 

 

 

* 시몬 드 보부아르 2의 성 1(을유문화사, 1993)

* 메리 엘만 Thinking About Women(Palgrave Macmillan, 2014)

* 이규명 영미 여성시인과 여성이론(동인, 2011)

    

 

 

토릴 모이는 밀렛이 자신에게 영향을 준 선배 페미니스트들의 업적을 기꺼이 인정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밀렛을 남성 작가의 작품 속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 남근중심주의를 처음으로 비판한 페미니즘 비평의 선구자로 보는 평가가 있는데, 페미니즘 비평의 계보를 연도순으로 정리한다면 그 평가가 틀렸음을 알 수 있다. 성 정치학이 나오기 전에 보부아르(Beauvoir)2의 성에서 로렌스의 남근중심주의를 비판했으며, 메리 엘만(Mary Ellman)1968년에 발표한 여성을 생각한다(Thinking About Women)라는 책에 남성 작가가 묘사한 여성성의 한계를 지적했다(메리 엘만은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도 많이 언급되지 않은 페미니스트 비평가다. 그녀의 저서가 국내에 번역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그녀의 이론을 조금이나마 언급한 책조차 찾기가 어렵다. 메리 엘만의 이론을 언급한 책은 토릴 모이의 책과 영미 여성시인과 여성이론이다). 밀렛은 분명히 보부아르와 엘만의 책을 참고했다. 그렇지만 그녀는 이 두 사람의 이름을 각각 한 번씩만 언급했다(성 정치학번역본: 465, 641).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학을 비판한 밀렛의 입장도 다른 페미니스트들로부터 도전받아왔다. 토릴 모이는 밀렛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오독했다고 비판한다.

    

 

 

 

 

 

 

 

 

 

 

 

 

 

 

* 김정매 로렌스와 여인들(태학사, 2006)

 

 

로렌스의 문학에 여성 혐오가 반영되었다고 주장한 보부아르와 밀렛의 입장에 동의하는 독자(페미니스트)라면 로렌스의 소설을 읽고 싶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로렌스를 여성 혐오 작가, 남성 우월주의자로 규정하는 관점도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로렌스와 여인들(태학사)은 로렌스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들과 로렌스와 친분을 맺은 여성들을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로렌스를 전문적으로 연구했으며 한국 영미문학 페미니즘학회 회장, 한국 로렌스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민음사 판 《무지개》의 역자다). 저자는 로렌스가 여성성과 여성의 심리를 잘 이해한 작가라고 평가한다. 물론 저자도 로렌스의 여성 비하를 모르는 건 아니다. 그러나 저자는 여성의 주체적인 의지에 초점을 맞춘 로렌스의 글쓰기를 언급하면서 로렌스를 여성혐오자로 일방적으로 공박하는 것은 비평적 안목의 공평성을 잃은 자세(김정매, 240)라고 말한다.

 

로렌스에게는 항상 야한 소설을 쓴 작가여성 혐오 작가라는 두 가지의 불명예스러운 수식어가 따라 붙는다. 오래전부터 학자들은 비평가로부터 외면받은 로렌스를 긍정적으로 재평가해오고 있지만, 로렌스를 기피하는 독자들의 마음을 돌려세우는 일은 아직 요원해 보인다. 로렌스를 연구하는 여성 학자들이 많다고 하던데, 로렌스의 소설을 읽는 여성 독자는 얼마나 있을지 궁금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9-05-09 2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열심이시네요 :>

예전 모습 그대로.

cyrus 2019-05-10 13:13   좋아요 0 | URL
레샥매냐님도 열심히 글을 쓰는데요... ㅎㅎㅎ
박한이 선수가 ‘꾸준함의 대명사’인 것처럼 저도 꾸준한 블로거가 되고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