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슬란드는 인구 30만 명 안팎의 작은 나라지만 가진 것이 많고, 매력이 넘치는 곳이다. 그곳에 가면 눈부시도록 하얀 만년설과 빙하, 지금도 활활 끓어오르는 화산들, 거기에 ‘밤하늘의 커튼’ 오로라까지 볼 수 있다. 전 세계 수많은 관광객이 아이슬란드를 방문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밤하늘의 오로라를 감상하기 위해서다. 아이슬란드는 북극권 바로 아래에 있는 곳이라서 국토의 절반이 빙하로 덮여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실내 생활에 익숙하다. 그들은 자연스럽게 책을 가까이했고, 아이슬란드는 세계적인 ‘애서가의 나라’가 되었다. 온 국민이 책을 좋아하다 보니 아이슬란드에서는 1년 내내 책 관련 행사가 이어진다. 크리스마스 인기 선물로는 언제나 책이 1위를 차지한다.
내 독서 습관은 아이슬란드 사람들과 비슷하다. 휴일에는 방에 책 읽으면서 시간을 보낸다.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는 일보다는 나 혼자서 노는 것(책 읽기)을 좋아한다. 휴일에 내가 주로 가는 곳은 도서관, 서점, 헌책방이다.
내일 ‘우주지감-나를 관통하는 책 읽기’ 모임 겸 송년회가 있어서 주말과 크리스마스에 가오싱젠(高行健)의 《창작에 대하여》(돌베개) 1부까지만 읽었다. 가오싱젠은 2000년에 노벨문학상을 받은 중국 출신의 프랑스 작가다. 그는 극작가, 무대 연출가, 소설가, 화가 등 여러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중국 문화혁명이 일어난 이후에 가오싱젠은 마오쩌둥 정부에 정면으로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 이 글 때문에 그는 중국당국의 밀착 감시를 받게 됐다. 당국의 감시가 심해지자 가오싱젠은 1987년에 중국을 떠나 이듬해에 정치적 난민 신분으로 프랑스 파리에 정착했고 곧이어 프랑스 국적을 얻었다. 《창작에 대하여》는 가오싱젠이 생각하는 ‘문학’, ‘소설’, ‘미학’, ‘예술’의 의미를 정리한 책이다. 그는 이 책에서 예술과 문학이 국가 권력의 도구가 되어선 안 되며, 예술가와 작가 개인의 독자적인 목소리가 뒷받침될 때 비로소 예술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 가오싱젠 《창작에 대하여》 (돌베개, 2013)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2001)
* 심상욱 《J. D. 샐린저 생애와 작품》 (동인, 2011)
* 김성곤 《J. D. 샐린저와 호밀밭의 파수꾼》 (살림, 2005)
가오싱젠의 책을 끝까지 다 읽지 않아도 돼서 오랜만에 J. D. 샐린저(Jerome David Salinger)의 《호밀밭의 파수꾼》(민음사)도 읽었다. 《호밀밭의 파수꾼》 번역본은 여러 종이 있는데, 민음사 판본은 오역이 많은 편이다. 수중에 있는 번역본이 민음사 판본뿐이라서 어쩔 수 없이 읽었다. 샐린저의 책을 펼친 이유는 샐린저의 문학 세계를 제대로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내년이면 그가 태어난 지 100주년이 된다. 1월 1일은 샐린저가 태어난 날이다.
그래서 나는 내년에 읽을 ‘나를 관통하는 책 읽기’ 선정 도서로 《호밀밭의 파수꾼》을 추천했다. 올해 모임에 꾸준히 참석(9월에 딱 한 번 불참했다)한 덕분에 문학 분야 책 1권과 비문학 문야 책 1권을 추천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게 됐다. 나는 《호밀밭의 파수꾼》을 내년 1월에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강조하면서 추천했다. 1월은 샐린저의 달이다. 1919년 1월 1일에 태어나 2010년 1월 27일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내가 추천한 두 권의 책(나머지 한 권은 《여성의 진화》)을 포함해서 ‘나를 관통하는 책 읽기’ 후보 도서는 총 15권이다. 한 사람당 4권의 책을 골라서 투표할 수 있고 투표 결과에 따라 총 8권의 책이 내년에 읽게 될 ‘나를 관통하는 책 읽기’ 선정 도서로 결정된다. 12월 20일부터 24일 크리스마스이브까지 사흘 동안 투표가 진행되었는데, 《호밀밭의 파수꾼》이 9표를 받았다. 당연히 나는 《호밀밭의 파수꾼》과 《여성의 진화》(에이도스)에 한 표씩 투표했다. 아직 결정이 난 건 아니지만, 내년 1월 ‘나를 관통하는 책 읽기’ 선정 도서는 《호밀밭의 파수꾼》이 확실하다.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아홉 가지 이야기》 (문학동네, 2004)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목수들아, 대들보를 높이 올려라》 (문학동네, 2004)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프래니와 주이》 (민음사, 2015)
지난주부터 어제 크리스마스까지 샐린저의 작품들과 샐린저의 문학론을 정리한 책들을 연달아 읽었다. 예전에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으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샐린저의 진가와 그동안 과장되어 왔던 평가에 가려진 ‘한계’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다음 달에는 샐린저에 대한 글을 여러 편 써보려고 한다. 일단 1월 1일에 《호밀밭의 파수꾼》 리뷰를 공개하는 것이 내 첫 번째 과업이다. 몇 년 전에 《호밀밭의 파수꾼》 리뷰와 샐린저의 소설들에 대한 감상문을 쓴 적이 있지만, 지금 이 두 편의 글을 다시 보니 손발이 오그라들 정도로 유치하기 짝이 없는 주관적인 해석으로 채워져 있다. 그리고 과거의 나는 《호밀밭의 파수꾼》 한 권만 가지고 샐린저를 단정적으로 평가했다. 샐린저를 제대로 평가하려면 《아홉 가지 이야기》(문학동네), 《프래니와 주이》(민음사), 《목수들아, 대들보를 높이 올려라》(문학동네)에 수록된 단편소설들을 읽어야 하는데, 그 중에 ‘글라스 일가(Glass Family)’ 사람들이 나오는 작품들에 주목해야 한다. 여기에 샐린저가 생전에 발표한 마지막 소설인 『하프워스 1924년 16일』까지 포함하면 읽을거리가 많다. 샐린저를 알기 위한 독서 코스는 《호밀밭의 파수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