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요일(25일)박차민정 선생님과 함께한 ‘《조선의 퀴어》 북 토크’가 진행되었습니다. 북 토크가 진행된 장소는 레드스타킹의 아지트인 카페 ‘스몰토크’였습니다. 좀 늦은 감이 있지만, 레드스타킹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이 주관하는 독서동아리 활동지원 사업에 선정된 기쁜 일이 있었어요. 그래서 독서동아리 지원금으로 북 토크를 열 수 있었습니다. 레드스타킹에는 준비성과 실행력이 뛰어난 분들이 많습니다. 그분들 덕분에 제가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되네요.

 

 

 

 

 

 

 

 

 

 

 

 

 

 

 

 

 

* 박차민정 《조선의 퀴어》 (현실문화, 2018)

 

 

 

이번 달 초에 북 토크 홍보가 시작됐어요. 저도 ‘알라딘 서재’에 홍보하려고 했었어요. 그런데 레드스타킹 공식 인스타그램에 북 토크 포스터가 공개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벌써 정해진 신청 인원이 다 채워져서 신청 접수가 조기 마감됐어요.

 

 

 

 

 

 

 

 

 

 

 

 

 

 

 

 

 

 

 

 

 

 

 

 

 

 

 

 

 

 

 

 

*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나남출판, 2003)

*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2016)

* [읽고 있는 책]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 지식의 의지》 (나남출판, 2010)

* [읽을 예정인 책] 미셸 푸코 《성의 역사 2 : 쾌락의 활용》 (나남출판, 2018)

* [읽을 예정인 책] 미셸 푸코 《성의 역사 3 : 자기에의 배려》 (나남출판, 2004)

 

 

 

 

《조선의 퀴어》는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벌어진 성적 담론을 분석한 책입니다. 책은 그 시대의 전통적 성적 규범을 거부하는 동시에 성적 욕망을 표현하면서 살아간 ‘퀴어(Queer)의 역사를 보여줍니다. 박차민정 선생님이 《조선의 퀴어》를 쓸 수 있었던 건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가 있기에 가능했습니다.

 

 

 

 

 

민정 선생님은 책을 소개하기 전에 푸코의 사상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했습니다. 푸코는 근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범죄자 · 정신질환자 등이 사회통제의 주된 대상으로 규정되었고, 정신병원과 의학 치료라는 담론이 형성됐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그가 말한 ‘담론’은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고 처벌하기 위해 지식과 권력이 담합하여 만들어 낸 개념입니다. 그래서 푸코는 정상과 비정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 경계를 추적하고 그것이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 [절판] 에스텔라 V. 웰든 《사도마조히즘》 (이제이북스, 2006)

 

 

 

푸코는 게이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사도마조히즘(Sadomasochism, SM)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푸코는 SM 플레이가 허용된 미국 캘리포니아의 게이 모임을 방문한 적도 있습니다[주1]. 푸코는 에이즈(AIDS)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는데요, 그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자신의 성 정체성을 공개하지 않았어요. 푸코는 동성애가 용인되지 않은 사회에서 ‘괴상한(Queer) 경험’으로 점철된 ‘비정상인’의 길을 걸으면서 섹슈얼리티 연구에 몰두했습니다. 만약에 푸코가 1920~30년대 일본이나 식민지 조선에 태어나 살았다면 그는 ‘변태’로 취급받았을 것입니다.

 

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죠. 일찍 외국 문화를 수용한 일본은 서양의 성과학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입니다. ‘변태 붐(Hentai Boom)이라고 불릴 만큼 성 과학 지식이 유행했습니다. 성과학의 창시자인 독일의 정신의학자 크라프트에빙(Krafft-Ebing)은 사도마조히즘, 동성애 등을 ‘비정상적인 성적 욕망’으로 분류했고, 이를 묶어 ‘변태성욕’으로 규정했습니다. 이때부터 근대 섹슈얼리티의 계보가 시작된 거죠. 일본의 ‘변태 붐’은 현해탄(대한해협)을 건너 조선에까지 퍼지게 됩니다. 일본에 유학한 조선 지식인들은 일본이 수입 · 번역한 성과학을 접하게 되고, 이들이 본격적으로 조선에 성과학을 소개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문과 잡지는 집중적으로 ‘변태 붐’을 다룬 기사를 보도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신문과 잡지는 여장한 남성, 동성애자, 심지어 남성 중심 성별 특권을 뛰어넘으려고 했던 신여성 등을 ‘사회 부적응자’ 또는 ‘변태성욕자’로 소개했습니다. 일제 식민지 통치가 극에 달했던 시기에는 ‘복장 단속’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양복을 입은 여성이나 여성의 옷을 입은 남성을 단속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죠. 그래서 국가는 통치 권력을 동원해 퀴어한 존재 자체를 ‘불법화’로 만들어버립니다.

 

 

 

 

 

 

 

 

 

 

 

 

 

 

 

 

 

 

* 강병철 외 《성소수자 - LGBT(Q) 》 (알마, 2018)

 

 

 

성소수자를 ‘성도착증 환자’로 규정하는 일제의 통치 방식은 지금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과거의 권력은 강압적인 힘을 과시하여 대중을 통제했다면, 지금 현대의 권력은 자신을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개인들, 즉 대중입니다. 대중은 자신과 다른 타자를 ‘비정상’으로 단정하여 그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억압합니다. 이러한 권력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투명합니다. 그래서 대부분 사람은 ‘성소수자를 비정상으로 보는 차별과 억압’이 왜 심각한 문제인지 인식하지 못합니다. 미국의 페미니스트 시인 에이드리언 리치(Adrienne Rich)는 이성애 중심주의가 이성애를 따르지 않는 관계에 차별을 주고 억압한다고 주장했습니다[주2]. 따라서 식민지 조선부터 지금까지 성소수자를 처벌하는 통제의 근간에는 젠더 이분법과 이성애 중심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성소수자 탄압의 역사가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박차민정 선생님이 바쁘신 관계로 행사 진행 시간은 부족했습니다. 선생님께 질문하고 싶은 말이 있었는데, 하지 못했어요. 다음부터는 눈치 보지 말고 제일 먼저 질문해야겠어요.

 

 

 

 

[주1] 에스텔라 V. 웰든, 최정우 옮김, 《사도마조히즘》, 이제이북스, 2006, 53쪽.

[주2] 백조연, 『‘동성애 찬성, 반대’에 대하여』, 《성소수자 - LGBT(Q)》, 알마, 2018, 61~62쪽.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7-30 19: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7-31 14: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크pek0501 2018-08-01 14: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간성도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여성도 아니고 남성도 아닌 경우에 해당합니다. 그런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독일이 간성인들에게 법적 권리를 부여했다고 하네요.

푸코뿐만 아니라 옛 외국 작가들 중에 게이가 많더라고요. 그들은 우리가 보지 못하는 인간의 특징을 알 것 같습니다. 우리보다 더 넓은 세계에서 인간을 본다고나 할까요.

문제는 조금이라도 특이하면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인 것 같아요. 그들이 그렇게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 건 아니라는 걸 알아야 할 것 같아요.

cyrus 2018-08-01 15:16   좋아요 1 | URL
가장 대표적인 동성애 작가가 오스카 와일드입니다. 일반적으로 그의 작품, 특히 <행복한 왕자> 같은 동화가 ‘어른과 아이를 위한 동화’로 평가받는데, 저는 그의 작품에 동성애 코드가 숨어 있다고 생각해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초판이 나왔을 때 동성애를 간접적으로 묘사한 장면이 있었어요. 그런데 이게 문제가 되어 삭제된 채 2판이 출간되었어요. 지금 나오고 있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번역본은 초판을 번역한 게 아니에요. 동성애 작가의 문학작품을 재평가해야 합니다. 이성애 관점이 아닌 퀴어 관점으로요. ‘퀴어 비평’라는 분야도 있답니다. 우리나라에는 생소한 비평 분야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