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메스(Hermes)는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전령이다. 날개 달린 모자로 유명한 그는 유창한 능변으로 신의 소식을 인간에게 해석해 준다. 그래서 헤르메스에서 해석학(hermeneutics)이라는 말이 나왔다. 헤르메스의 로마식 이름은 메르쿠리우스(Mercurius)다. 영어로는 머큐리(Mercury)라고 한다. 수성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행성이다. 수성은 태양에서 멀리 떨어지는 일이 없고, 1초에 48㎞의 공전 속도로 행성 중에 가장 빨리 움직인다. 신의 소식을 빨리 전달하는 심부름꾼이라는 뜻에서 수성에 ‘머큐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머큐리는 수은을 뜻하기도 한다. 연금술사들은 수은이 ‘빠르게 흐르는 은’이라고 생각했다.

 

 

 

 

 

 

 

 

 

 

 

 

 

 

 

 

 

* 헤르메스 호 트리스메기스토스 《헤르메티카 Hermetica》 (좋은글방, 2018)

 

 

 

 

 

 

 

 

 

 

 

 

 

 

 

 

 

 

 

 

 

 

 

 

 

 

 

 

* 진 쿠퍼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1994)

* [절판] 앨리슨 쿠더트 《연금술 이야기》 (민음사, 1995)

* 안드레아 아로마티코 《연금술 : 현자의 돌》 (시공사, 1998)

* 쿠사노 타쿠미 《도해 연금술》 (AK커뮤니케이션즈, 2010)

* 하니 레이 《도해 근대마술》 (AK커뮤니케이션즈, 2012)

 

 

 

헤르메스는 연금술사의 신이기도 하다. ‘헤르메스의 지팡이’로 알려진 뱀의 지팡이(지팡이에 두 마리의 뱀이 엉킨 모습)는 치유와 독, 건강과 질병, 연금술의 용해와 응고 등과 같은 서로 대립하는 관계의 힘을 상징한다. 연금술사들은 ‘현자의 돌’을 얻기 위해 수은과 유황을 추출한다. 이 두 가지 물질은 ‘현자의 알’이라는 밀폐된 구형 플라스크에 담는다. 플라스크에 헤르메스의 도장을 찍는다. 연금술사들은 자신들의 생각을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하여 전설상 인물인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토스(Hermes Trismegistos, 약칭 ‘트리스메기스토스’)를 ‘연금술의 시조’로 추앙했다. 이런 신비주의적 학문을 ‘헤르메스 사상’이라고 부른다.

 

‘트리스메기스토스’는 ‘삼중으로 가장 위대한 자’라는 뜻이다.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하는 연금술은 헬레니즘 문명의 중심 알렉산드리아에서 크게 발달했다. 알렉산드리아로 온 그리스인들은 고대 이집트의 신 토트(Thot)와 헤르메스를 동일시했다. 토트 역시 헤르메스처럼 지혜로운 신이었으며 신들의 서기(書記)였다. 트리스메기스토스는 거의 인간의 모습에 가까운 신으로 알려지게 되고, 그가 3226년 동안 지상에 군림하면서 36525권의 책을 썼다는 전설이 생겨났다. 파괴되어 사라진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트리스메기스토스가 썼다고 하는 42권의 문서가 소장되어 있었다고 전해진다.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헤르메티카》는 기원전 3세기경에서 기원후 3세기경에 익명의 저자가 쓴 책이다. 이 문헌이 손실된 헤르메스 문서와 관련되어 있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유럽에서는 헤르메스 문서의 일부로 알려지게 되면서 연금술사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플로티노스, 조규홍 역 《엔네아데스 (천줄 읽기)》 (지만지, 2015)

* [절판] 플로티노스, 조규홍 역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 선집》 (누멘, 2009)

* 조규홍 《플로티노스 : 그리스 철학을 기독교에 전달한 사상가》 (살림, 2006)

 

 

 

 

《헤르메티카》는 트리스메기스토스가 자신의 친아들 타트(Tat)와 제자 아스클레피오스(Asclepius)에게 가르침을 전수하는 형식으로 씌어져 있다. 아스클레피오스는 반인반마 종족(Centaur, 켄타우로스)인 케이론(Chiron)에게 의술을 배워 의술의 신으로 추앙받는다. 트리스메기스토스가 쓴 것으로 알려진 《헤르메티카》는 총 열네 권이다. 제15권은 남아있지 않고, 제16권부터 18권까지는 아스클레피오스가 썼다. 보통 연금술은 마법, 비밀 의식, 신비주의와 같은 의미로 여겨진다. 그러나 《헤르메티카》는 각 종교(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의 신비주의와 고대 점성술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 철학도 반영되어 있다. 《헤르메티카》의 알쏭달쏭한 글 속에 플로티노스(Plotinos)신플라톤주의, 피타고라스주의와 연관된 문장을 발견할 수 있다.

 

 

 아스클레피오스여, 신 이외에 그 무엇도 선하지 않으니 신 자체가 항상 선이라. 그런즉 선은 모든 운동과 생성의 실체로다. 선이 가진 에너지는 정지된 상태요 부족함도 넘침도 없으며 지극히 완전하나니, 모든 필요를 채우는 원천이요 만물의 원인이로다. 만물의 공급자가 곧 선이니, 그는 완전하며 항시적인 선이로다.

 

(《헤르메티카》 제6권, 61쪽)

 

 

헤르메스 사상에 심취한 연금술사들은 신이 만든 우주와 이 세상의 모든 물질 전부 단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즉, 모든 물질의 기본은 ‘제1질료’라 할 수 있다. 이 ‘제1질료’가 물질의 형태를 바꿀 수 있으며 훗날 연금술의 기본 원리가 된다. ‘제1질료’ 개념은 플로티노스의 ‘하나(hen)’ 개념과 유사하다. 플로티노스는 세계가 완전하고 절대적인 ‘하나’로 시작되어 샘물이 솟아 흐르듯이 다양한 존재, 즉 만물이 생성한다고 봤다. 이처럼 세계의 생성 과정을 물의 흐름으로 비유해서 설명한 플로티노스의 주장을 ‘유출설’이라고 한다. 플로티노스를 위시한 신플라톤주의자들은 플라톤 철학의 본질을 ‘신학’으로 보았다. 그들에게 신학은 이 세계 존재 원리를 탐구하는 형이상학이었다. 신플라톤주의에 영향을 받은 성직자들은 태양에서 흘러나오는 빛에서 신성(神性)을 찾으려고 했다. 빛은 곧 ‘선(善)’을 의미했다.

 

이성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초자연적이고 신비스러운 현상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은 고대부터 존재했다. 이성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그들의 생각과 시도는 현실과 동떨어졌지만, 때론 신비스러운 현상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학문 사상의 발전을 앞당기기도 했다. 《헤르메티카》는 연금술과 고대 철학의 관계를 이루는 접점을 파악할 수 있는 특별한 문헌이다. 사실 연금술사들은 자신을 현자, 즉 ‘철학자’라고 불렀다. 우리는 그들이 남긴 수수께끼 같은 연금술 문서를 해독하여 궁극의 불로장생약인 ‘현자의 돌’을 만들 수 없다. 하지만 문서를 잘 읽어보면 ‘현자의 돌’과 같은 문장을 찾을 수 있다. 그 문장에 고대 철학이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8-07-20 16: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세 학문의 대표선수는 바로 신학이었죠.

그외의 학문들은 곁다리 수준이랄까요.

근대 인문과학의 기수들도 여전히 중세인의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걸 까요.

금을 만들겠노라는 연금술에 그렇게 많은
에너지를 쓴 걸 보면 말이죠.

cyrus 2018-07-20 18:08   좋아요 0 | URL
천재인 뉴턴도 평생 연금술에 매달렸어요. 연금술사들의 노력이 헛되지 않은 게 그들의 작업이 화학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