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 이웃의 식탁 ㅣ 오늘의 젊은 작가 19
구병모 지음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블랙 코미디(black comedy)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웃음을 통해 환멸과 냉소를 표현하는 드라마’[*]라고 설명되어 있다. 블랙 코미디에서 교훈을 찾기 어렵다. 모든 것을 조롱하는 블랙 코미디 앞에서는 교훈마저 조롱의 먹잇감이 된다. 이처럼 부조리한 상황에서 피어나오는 ‘검은 웃음’, 이것이 블랙 코미디가 자아내는 웃음이다. 불쾌하고 부조리한 상황을 희화화한다는 점에서 블랙 코미디의 웃음은 희극과 비극의 경계를 허문다. 이를 통해 블랙 코미디는 희극과 비극, 폭소와 절망 사이를 자유로이 오간다. 블랙 코미디로부터 교훈은커녕 의미조차 찾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블랙 코미디에서 느껴지는 허무함 속에는 진실이 주는 위력이 담겨 있다. 우리 삶 자체가 그처럼 부조리하고 어처구니없는 일들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블랙 코미디는 인간이 사는 곳이면 어디서든 볼 수 있다.
구병모의 장편소설 《네 이웃의 식탁》은 주택 공동체 속에 살아가는 네 쌍 부부의 일거수일투족을 통해 부조리한 세상을 보여주는 ‘현대인들을 위한 블랙 코미디’다. 블랙 코미디에 희비를 함께 가졌듯이 이 소설에는 정상과 비정상이 공존한다. 《네 이웃의 식탁》에선 삶의 부조리에 속절없이 말려든 인간들이 보인다. 작가는 ‘꿈미래실험공동주택’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진 작은 소동극을 통해 흔히 우리가 정이 가득 묻어나는 단어라고 느끼는, ‘가족’, ‘이웃’, ‘공동체’의 어두운 이면을 펼쳐 보인다.
아이 셋을 낳았거나 10년 이내에 아이 셋을 낳을 계획이 있는 부부는 공동주택에 입주할 수 있다. 이곳에 네 쌍 부부가 입주하여 서로를 가족처럼 대하면서 지낸다. 출근할 때 자동차를 함께 타고, 쓰레기 분리배출도 함께하는 등 공동체 생활을 이어나간다. 속사정이 제각각인 네 쌍 부부는 아이들을 모아 놓고 함께 돌보는 공동육아를 시작한다. 공동육아는 기혼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가사부담 증가, 독박육아 고충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공동육아는 더욱 부부들의 삶을 꼬이게 한다. 소설 속에서 부부들은 공동육아를 하고 있는데도 여전히 아내가 혼자 감당하는 육아의 무게는 변함이 없다. 소설은 공동주거생활과 공동육아 속에서 인물들이 겪는 크고 작은 불편한 일상들을 덤덤하게 보여준다. 공동체 생활은 때로는 번거롭다. 개인의 자유를 제약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 그 제한은 공동체 유지를 위해 지급해야 할 불가피한 대가로 작용한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공동체 생활의 안전한 일상, 그 ‘친밀한 관계’ 아래 겨우 잠복해 있던 개인의 불만들이 하나씩 터져 나온다. 불편함을 참으면서 가족이나 이웃을 대하는 태도, 그들과 관계 맺는 방식 등 공동주택 입주민들의 일거수일투족은 독자에겐 웃을 수도 울 수도 없게 보인다. 공동체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인물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어정쩡한 태도로 주어진 삶에 툭툭 내던져지는 돌발 상황들을 견뎌낸다.
작가는 진심과 표현이 일치하지 못하는 데서 파생되는 불쾌하고 부조리한 현대적 공동체 풍경을 만들어 소설에 담아냈다. 그 풍경에 실질적인 의미를 더 부여하자면, 정부의 저출산 정책과 가족 중심 문화가 교묘하게 결합하여 빚어진 일련의 부조리이며 그 안에서 허우적대는 인간들의 쓰라린 몸부림이 반영되어 있다. 소설 속 등장인물 모두가 사회의 부조리 속에서 고통받는데, 누가 잘못했냐고 탓할 수 있단 말인가.
[*]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엮음, 《문학비평용어사전》(국학자료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