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 사진에 대하여
발터 벤야민 지음, 에스터 레슬리 엮음, 김정아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세상의 모든 것은 사진에 담긴다. 사진을 찍는 행위는 세계를 수집하는 것이기도 하다. 일상을 기록하거나 아름다운 풍경을 발견하여 사진으로 찍어놓고 소유하고 싶은 게 사진 찍기의 본능이다. 그 본능을 사진가보다 더 잘 알았던 사람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일 것이다.

 

《발터 벤야민, 사진에 대하여》(위즈덤하우스, 2018)는 사진에 관한 벤야민의 글을 엮은 것이다. 이 책에 ‘사진 읽기’의 가능성을 예견한 『사진의 작은 역사』 외 5편의 짤막한 글이 수록되어 있다. 벤야민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에스터 레슬리(Esther Leslie)가 6편의 글에 해제(解題)를 붙였다. 이 책은 분량은 많지 않지만, 내용은 다소 복잡하다. 벤야민은 수집한 자료를 한데 몽타주(montage) 하듯 배치하면서 파편적인 것이 지닌 고유한 가치를 새롭게 드러내는 작업에 천착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는 글을 썼다. 그가 남긴 글 대부분은 온갖 사료에서 발췌한 인용문으로 채워져 있고, 그것을 빼면, 인용문 사이사이에 끼어든 짤막한 논평이 전부다. 그런 형식상의 불완전성 때문인지 벤야민의 글은 해석하기 거의 불가능한 난해함으로 악명 높다. 다행히 이 책에는 에스터 레슬리의 해제와 상세한 주석이 있어서 벤야민의 사진론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벤야민은 수집가였다. 그는 사소하고 쓸모없는 사물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 수집가의 능력이라고 했다.

 

 발터 베냐민에게 진짜 수집가의 특성이란 물건들에 의한 도취, 즉 소유에 앞서 영감을 받는 능력이다. “수집가는 물건을 손에 쥐자마자 벌써 그것을 통해 영감을 받는 것 같다. 물건을 통해 마법사처럼 그것의 먼 미래를 바라보는 것 같다.”

 

(한병철, 《땅의 예찬》, 86쪽)

 

사진을 찍는 과정을 통해 사람들은 특정한 지식을 새로 얻은 듯한 간접 경험을 하고, 그래서 특정한 힘을 얻은 듯 느낀다고 한다. 우리는 사진기로 마주치는 순간을 찍을 때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새로운 이미지의 창조자가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진은 단순히 순간의 현실성을 잡아내는 것이 아니라 작가 내면의 심상 혹은 발언의 주요 표현수단이 된다. 사진을 찍는 것이 ‘수집’의 과정이라면, 사진에 대한 작가의 설명은 ‘수집한 것을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벤야민은 사진 설명글이 ‘혁명적 사용 가치’를 만들 거로 확신한다.

 

 사진 설명글은 한창 잘 팔리는 사진으로도 혁명적 사용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우리가 사진가에게 요구해야 하는 것은 자기가 찍은 사진에 그런 설명글을 붙이는 능력이다.

 

(발터 벤야민, 《발터 벤야민, 사진에 대하여》, 39쪽)

 

예전 사진은 보이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촬영하는 것이 전부였다면, 요즈음 사진은 설명을 붙임으로써 사진의 다중적인 표층으로 인해 생기는 불필요한 오해를 제거하고 명확한 심층을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이제 사진은 보이는 것이 아닌 ‘읽히는 텍스트’다. 벤야민은 ‘사진으로 혁명하는 방법’으로 ‘사진 읽기’를 제시한다. 그는 사진을 통해 현대 사회에 대해 발언하거나 사진 설명글을 통해 본다는 것에 본질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기법인 포토몽타주에 주목한다. 벤야민에 따르면, 포토몽타주는 현실을 폭파한다. 사진과 글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포토몽타주는 사진 속 표층에 가려진 심층을 폭로하거나 표층으로 드러난 현실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한 장의 사진이 수십 개의 말보다 메시지 전달력이 높을 수 있다. 하지만 벤야민은 사진이 진실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사진의 한계를 정확히 예언했다. 컴퓨터 합성, 연출, 도용 등의 직간접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진 사진은 진실을 감춘 채 허구를 전달한다. 또한 다른 현장에서 일어난 일을 마치 한 곳에서 일어난 사건처럼 대조적으로 사진 편집을 하거나 같은 현장에서 일어난 사건도 이해집단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상황을 표현한다.

 

사진을 오용하지 않으려면 사진을 보는 시선과 생각을 이동해야 한다. 사진의 의미가 피사체를 찍은 상황, 즉 표층을 넘어서 다른 의미(심층)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사진을 읽는다는 것은 우리 눈앞에 있는 이미지가 현혹하는 힘에 가려진 사회의 진실과 허위를 간파하는 것이다. 벤야민은 사진이 사회 속에 어떤 의미로 존재하는지 알고 싶어 했다. 사진은 진실 전달과 진실 왜곡이라는 양면성을 보여준다. 벤야민은 사진이 우리 사화와 삶에 미치는 양면적인 영향력을 인식했다. 사진에 관한 벤야민의 글은 일상의 삶을 교란하는 ‘위험한 사진’에 대해 숙고하게 만든다. 벤야민은 ‘미래에는 사진을 읽어낼 수 없는 사람이 문맹자’라고 했다. 이제는 사진을 오용하는 사람, 사진의 맹점을 읽어낼 수 없는 사람이 현실을 읽지 못하는 맹인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7-03 12: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8-07-03 17:07   좋아요 0 | URL
네. 벤야민은 예술, 특히 사진에 대해서 시대를 앞서 간 생각을 했고, 어느 누구도 하지 못한 파격적인 글쓰기를 시도했어요. 미완성이 된 <파사주 프로젝트>는 정말 엄청난 결실입니다.

레삭매냐 2018-07-03 17: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진의 제조자가 아닌 소비자로서 이런
철학적 분석에 도달할 수 있는 저자의
능력에 다시 한 번 감탄하게 되네요.

수집한 사진의 재구성 그리고 혁명적 사용
가치의 발견에까지... 대단합니다.

cyrus 2018-07-04 10:05   좋아요 0 | URL
벤야민은 사진의 예술적 가치, 그리고 사진이 우리 삶에 미칠 긍정적 · 부정적 영향력 등을 예견했어요. 사실 수전 손택, 롤랑 바르트는 벤야민에게 빚 졌다고 봐야 합니다.

suegraphic 2018-07-04 0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진과 글이 함께있는 작품인가요? 저도 사진을 해서 궁금해지네요.

cyrus 2018-07-04 10:07   좋아요 1 | URL
책에 사진 몇 점 있는데,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에요. 19세기에 활동한 사진가들의 흑백 사진 작품이 있습니다.

suegraphic 2018-07-05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