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찮게 알라딘에서 몽키 펀치 원작의 신 루팡3세가 간행되어 팔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일본 만화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루팡 3세를 모를리 없는데 사실 루팡 3세는 원작만화를 본 분들은 거의 없고 아마도 애니메이션으로 접한 분들이 대다수 일 겁니다.


실제 인터넷에서 어릴적에 루팡 3세를 본 기억이 있다는 분들이 가끔 있는데 이 분들은 대부분 80년대 한국에서 해적판으로 간행되었던 신 루팡3세를 보셨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이 신 루팡 3세가 국내에서도 학산문화사에서 22년에 정식 발간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루팡 3세가 약간의 선정성과 폭력성이 있어서 국내에서는 19금 딱지가 붙어서 어떤 표지를 하고 있는지 당최 확인할 길이 없네요.사실 19금 딱지가 붙을 정도로 노골적이지는 않습니다.


그래 인터넷을 확인해보니 정식 발매전에 독자반응을 보기 위해 와디즈에서 펀딩 판매를 했더군요.

책 표지는 과하지 않으면서 박스셋도 멋있어서 좀 비싼 감이 있지만 구매해도 후회하지 않을 듯 싶군요.


개인적으로 예전에 80년대에 나온 루팡 3세 해적판을 어렵게 구입한 적이 있습니다.맨 밑의 세번째 스틸 컷 고우에몽이 칼로 로켓을 반으로 자르는 그림을 보니 역시나 해적판이 이번에 정발 된 것을 알 수 있네요.나중에 책을 넣어둔 박스를 찾으면 소개하겠지만 당시 해적판은 6권으로 나온 것으로 기억합니다.원래는 12권인데 해적판이다 보니 아무래도 이것저것 짜깁기를 해서 6권으로 줄인것 같습니다.


루팡 3세 에니메이션을 재미있게 본 분들이라면 원작 만화도 즐겁게 볼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다만 요즘 에니메이션 작화는 매우 깔끔한 것에 비해 원작만화는 70년대 작풍이기에 선이 거칠다는 점은 미리 참고하시고 보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정말 관세 싸움으로 정신이 없으실 천조국의 도람프 성님이 뜬금없이 미국 국민들의 건강을 위한 발표를 했다.우리가 늘상 해열제로 먹는 타이레놀을 임산부가 먹을시 자폐아를 낳을 수 있으니 임산부는 절대 타이레놀을 먹지 말라는 것이다.


그런데 전문가등 의학계의 의견은 도람프 성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반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의학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은 의사나 과학계 사람들인데 이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신의 생각만을 주장하는 이들은 도람프 성님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제발 모두 과학과 기싸움 하지 말자~~~~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국민앱으로 불리우는 카카오 톡이 업데이트를 했는데 황당하다는 비난이 상당히 많은 것 같다.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 업데이트인지 사용자들의 불만이 현재 하늘을 찌르고 있는 상태다.그래선지 앱 업데이트 인데도 뉴스에 나올 정도다.

하지만 그래도 YTN 뉴스다 보니 대기업인 카카오의 눈치를 봐서인지 그나마 부드럽게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일반 유튜브에서는 이번 업데이트의 불만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견을 가감없이 내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카카오 톡 업데이트에 대한 불만이 하늘을 찌르면서 이용자들이 개발자들을 욕하자 욕받이가 된 개발자들도 참을 수가 없었는지 자신들의 억울함을 토로하는 글을 블라인드에 올리고 이 또한 뉴스 기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이번 카톡 업데이트는 홍모 CFO가 주위의 의견은 몽땅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진행했다는 것인데 현재 주가도 실시간으로 하락하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이정도 논란과 원성이면 암만 국민 톡 카카오라도 많은 이들이 떠나갈 것 같다고 여겨진다.많은 리더들이 이건희 전 회장같은 리더십을 원하지만(모두가 반대한 반도체에 올인,휴대폰 화형식,아내와 자식만 빼고 모든 바꿔라등),실제 그런 안목과 비젼을 가진 리더는 찾기 힘들다.

기업의 리더가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설쳐 된다면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회사가 아닐까 싶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에인 송하윤 학폭논란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것을 보면 한국사회에서 학폭 논란은 그칠 날이 없는 것 같습니다.

요즘 청소년 범죄가 과거에 비해 많이 흉폭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아무래도 학생에 대한 인권의식이 높아지면서 학교에서 학생에 대한 체벌등아 사라지면서 학생들의 잘못에 대한 제재방법이 사라져서 그런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게다가 요즘 청소년들은 나이가 어릴 경우 죄를 지어도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더 더욱 범죄를 저지르는 것에 대한 죄책감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정말 청소년 범죄에 대해서 처벌 방법이 없는 것일까요? 청소년 범죄에 대해 처벌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처럼 미성년자 범죄에 대해서 해당 범법청소년들을 처벌할 명백한 규정이 있습니다.다만 범죄를 저지른 청소년들의 미래를 염려(?)하는 인권의식 때문에 이들을 엄하게 처벌하지 않을 뿐이죠.하지만 개인적으로 이제 국가와 사회에서 청소년 범죄에 대해 더 이상 온정주의를 하지 않는다는 판결이 나온다면 아마 청소녀 범죄도 줄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청소년 범죄의 가해자 부모들이 자신의 자식들이 나이가 어리다고 오히려 뻔뻔하게 구는 경우가 많은데 그 부모들 한테도 민사적 책임과 법적 책임을 강하게 묻는다면 저럼 무책임한 부모들도 아마 많이 사라지지 않을까 싶군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전 버스안에 문신을 한 남녀를 보고서 글을 올린적이 있지요.

서구권에서는 문신 즉 타투는 일종의 문화나 예술로 받아들여지기도 하고 사람에 따라서는 미적 취향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을 보존하기 위해,수술상처를 가리기 위해,가족을 기억하기 위해서 문신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동양 그중에서도 동북아시아의 경우에서는 과거 묵형이란 징벌중의 하나였고 조직범죄자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사회적 이탈로 여겨지기 떄문에 아직까지 백안시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처럼 동서양이 바라보는 문신(타투)에 대한 시각은 상이하지만 동서양을 막론하고 상류층의 경우는 문신에 대해 배타적이며 특히 한국등 동양의 경우 이른바 사회 고위층들은 문신을 안좋게 보기에 혹시라도 회사등에 입사를 하려는 2030세대들은 주의를 할 필요가 있지요.


미국의 경우도 우리에 비해 문신에 관대한 편인데 특히 가족에 대한 사랑을 다룬 문신이나 옷을 입었을 적에 잘 안드러나는 문신에 대해서는 뭐하고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하지만 이런 미국에서도 별로 좋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일반인의 문신이 있지요.

허리 아래 또는 엉덩이에 문신해서  여성성을 강조하는 트램프 타투라는 것입니다.

<아마 일상에서 흔히 2030여성들한테서 볼수 있는 허리문신임>


연예인으로서는 대표적으로 가수 이효리가 허리문신을 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지요.

많은 여성들의 롤모델인 이효리의 허리 문신 타투를 개성으로 생각해서 이후 2030세대 여성들이 허리에 문신을 하는데 실제 개성을 살리면서도 잘 안보이기에 많이 하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문신에 관대한 편인 미국에서도 여성이 허리에 하는 문신 즉 트램프 타투는 안좋게 생각하고 있다고 합니다.실제 미국인들은 트램프 타투를 한 여성을 보면 동시에 많은 남성을 사귀는 문란한 여성으로 생각한다고 하네요.

미국남편 한국부인간의 타투(트램프문신)에 관한 이야기인데 허리에 타투를 새긴 여자는 문란하다고 남편이 말하자 부인이 요즘도 그런 인식이냐고 묻자 요즘도 그렇다고 하면서 영화의 한 장면(웨딩 크래셔)을 이야기 합니다.

영화에 대사가 등장할 정도로 미국에서는 보편적으로 트램프 타투를 한 여자를 문란한,쉬운 여자로 인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요즘이야 문신이 일종의 자기 표현이고 개성이기에 누가 뭐라고 하기 좀 그렇지만 문신에 관해 관대한 외국도 문식을 그렇게 좋게 보지만은 안기에 한국에서는 더더욱 문신하기전에 고민을 해 볼 필용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특히나 여성들의 경우 허리에 하는 문신 즉 트램프 타투는 문란한 여성,쉬운여성이라고 외국 남성들이 편견을 가지고 접근 할 수 있기에 더더욱 주의를 하기 바랍니다.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25-09-27 0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엔 문신한 사람들이 전보다 많은 것 같긴 한데, 지우는 것이 하는 것보다도 힘들다고 들었어요. 외국에서 문신을 많이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문화권에서도 좋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군요. 교체가 어려운 만큼 하기 전에 생각 많이 하는 게 좋겠어요.

카스피 2025-09-27 14:11   좋아요 1 | URL
젊어서는 개성과 자기 표현으로 문신을 하는데 문제는 남성의 경우는 아무래도 취업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고 여성의 경우에는 결혼과 애기가 유치원이나 초등하교 입학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되도록 안하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