⑪ 초능력, 초자연적 현상, 정신 세계
초감각적 지각(ESP)이 실제로 존재하는 지는 매우 불분명하다. 인간이 아직 발견하지 못한 정신의 한 능력인지 아니면 거짓에 불과한지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가 않았다. 과학자들 중에는 이렇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초감각적 지각 능력이나 염력 현상, 여러 가지 불가사의한 현상들을 연구하는 학자들도 많이 있다. ( 우리 나라에는 대표적으로 한국 정신 과학 연구소가 있다.) [ * 개인적으로 초능력이라고 불리는 '특이 능력'(특능)의 실체에 대해서는 다소간 회의적인 입장이지만, 결코 100% 부정할 수도 없고 100% 긍정할 수도 없는 현실이라고 생각한다. 정확한 실체 규명이 이루어지기만을 바랄 뿐이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ESP에 대해서는 다소간의 가능성이나마 인정할 수는 있겠지만 염력 현상P.K.은 존재할 리가 없다고 보고 있다. 심리철학, 인지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의 {캐리 Carrie }(1976)는 염력을 다룬 영화이다. 스티븐 킹의 동명 소설을 영화로 만들었다. 광신도인 홀어머니 밑에서 종교적인 억압을 받으면서 자라온 한 소녀가 고등학교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으면서 지내오다가 잠재된 염력을 이용하여 학생들과 선생들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마지막에는 어머니마저 죽이고 끝을 맺는다.

{스캐너스Scanners}는 데이빗 크로넨버그 감독이 1980년에 발표한 영화이다. 이 영화에 나오는 스캐너스란 다른 인간의 정신을 초감각적으로 통제하는 능력을 보유한 초능력자들이다.

스캐너들은 페므롤이란 약을 임산부들이 복용하여 그로 인해 태어난 아기들이 돌연 변이가 되어 초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영화 속에서 스캐너들은 집단화하여 세게를 지배하려고 한다. 영화의 끝부분에서 초능력자들간에서 세계를 지배하려는 악의 우두머리와 그것을 저지하려는 선한 스캐너간의 대결이 펼쳐진다.

{엑소시스트 The Exorcist}라는 영화는 악마의 혼이 씌운 어떤 소녀가 초자연적인 능력을 발휘하고 악마처럼 변해가자 신부들이 악마를 물리치는 내용이다. 마지막에 신부에게로 악마가 옮겨오고 소녀는 정상으로 되돌아오는데, 신부는 악마에게 빙의된 채로 투신하여 자살한다. [ * 필자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악마, 유령의 존재는 없다고 믿는다. 물리적인 속성을 지니고 물리적인 힘을 발휘하는 유령의 존재는 없다고 믿는다. ( 어떠한 미지의 기氣 에너지 같은 것이 존재할 수는 있을지도 모르겠다. ) 심리 철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텔레파시는 정신 감응이라고 부르는 정신 현상인데, 다른 생물체에게 관념이나 인상을 오감에 의하지 않고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텔레파시는 사람들사이외에도 사람과 동물이나 외계인과의 통신에도 이용될 수가 있다고 연구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인 {미지와의 조우 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Kind}에서는 외계인들과의 정신적인 통신이 묘사되고 있다.

이 영화에서 외계인들은 지구인들을 어떤 장소로 이끌어내기 위하여 텔레파시를 사용한다.
(출처:장영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⑩ 시간 여행
로버트 저멕키스 감독의 1985년 작품 {백 투 더 퓨처 Back to the Future}는 매우 유명한 시간 여행 SF영화이다.

시간 여행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킬만한 이슈로서 과학자들간에도 의견이 양분되어있는데, 최근에 나온 연구 논문을 보면 웜 홀을 이용한 시간 여행과 초끈 이론을 다룬 논문들이 나와 있다.< * 필자는 개인적으로 과거로의 시간 여행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미래로의 시간 여행은 불가능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과거로의 시간 여행이 아니라 단지 과거를 보기만 하는 것이라면 전혀 불가능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과거의 빛을 쫓아가서 포착할 수 있다면, 마치 우리가 수십 억 년 전의 별빛을 현재에 보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구의 과거를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조차도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현재로선 초광속이나 빛의 채집은 불가능해 보인다.

결국 과거로의 시간 여행은 절대로 불가능하다고 현재 생각하고 있다.

미래로의 시간 여행은 가능성이 있을 지도 모르겠다. >

{백 투 더 퓨처}에는 과거에 개입하여 미래를 바꿀 수가 있다는 미래관이 그려져 있다.

타임 머신 카를 타고 30년전의 과거로 간 주인공이 어머니와 아버지가 서로 어긋나게 될뻔한 상황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여 결국 과거를 바로잡고 현대로 귀환한다.

버지니아 울프의 원작 소설을 셀리 포터 감독이 영화화한 {올란도 Orlando}에는 영원히 늙지 않고, 시공을 초월하여 400년동안을 남자와 여자로 성을 바꿔가며 살아가는 한 사람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리고 프랑스의 코메디 영화인 {비지터 Les Visiteurs}에도 마법사의 마술로 중세에서 현대로 870년을 건너 뛰어오게 된 기사와 그의 시종의 이야기가 나온다.

이 두 영화는 SF영화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시간 여행을 최초로 다룬 영화는 웰즈의 원작 소설을 영화로 만든 {타임 머신 The TimeMachine}이다. 조지 팔 감독이 1960년에 영화로 만들었다. 웰즈의 원작 소설은 사회 계급의 문제나 인류의 진화에 대한 철학적 관조가 담겨 있는데 영화는 그러한 것들을 생략한 채 미래를 배경으로 한 러브 로망이라는 비판도 있다. 영화의 줄거리는 시간 여행의 연구에 몰두하던 발명가 조지가 4차원을 통해서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타임 머신을 만들어서 1899년을 훌쩍 뛰어 넘어 1917년, 1940년, 1966년의 시대를 목격하고 80만 2701년의 세계로 날아가 '엘로이'라는 종족들이 사는 곳에 도착하여 지하 세계에 사는 야만인 '모로크'족들과 모험을 벌인다는 내용이다.

스튜어트 라필 감독이 만든 {필라델피아 프로젝트 Philadelphia Experiment}(1984)는 레이터의 추적을 피할 수 있는 전함에 대한 실험 도중에 발생한 사고로 졸지에 1943년에서 1984년으로 가게 된 두 군인들의 이야기이다.

스티븐 헤릭 감독의 {엑설런트 어드벤처 Bill & Ted's Exellent Adventure}(1989)는 역사 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 타임 머신을 타고 세게의 역사적인 인물들을 현대로 데리고 온다는 아주 황당한 줄거리의 영화이다.
(출처:장영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⑨ 괴물, 괴수monsters
메리 셀리 원작의 영화인 {프랑켄슈타인 Frankenstein}은 1931년에 제임스 훼일 감독이 처음으로 영화화한 이후 수없이 리메이크되었다. 이 영화에서는 모든 SF공포영화나 괴물 영화사상 매우 유명한 괴물이 등장한다.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시체 조각들을 모아서 이은 후에 전기 충격을 가하여 생명을 불어 넣어 괴물을 만들어 낸다.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이 1963년에 만든 영화인 {새 The Birds}는 SF영화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괴물을 등장시킨 SF공포영화의 대부격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의 보복'을 다룬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평화로워 보이는 해변의 어느 도시에서 벌어지는 엽기적인 새들의 공격을 다루었다.

1933년에 메리언 C.쿠퍼 감독이 발표한 {킹콩 King Kong}은 명실 상부한 고전적인 괴수 영화의 대명사이다. 미지의 외딴 섬에서 신적인 존재로 원시 부족들에게 숭배를 받으며 살아 가던 거대한 고릴라인 콩이 자신에게 제물로 바쳐진 여배우를 구하러온 미국인들에게 생포되어서 뉴욕으로 끌려가는데, 그곳에서 우리를 부수고 탈출하여 그 여배우를 다시 사로잡지만 출동한 전투기들의 총격을 받고 결국 죽는다. 이 영화는 공포와 동정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독특한 괴물 캐릭터의 설정으로 화제를 모았다. 이후 1976년에 {킹콩}이 다시 리메이크되었지만 1933년에 나온 오리지날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이 많다.

괴수 영화로 유명한 또 하나의 영화는 일본의 이노시로 혼다 감독이 1954년에 내놓은 {고지라 Gojira}이다. 태평양 물 속에 잠들어 있던 선사 시대의 공룡인 고지라가 핵 방사능에 의해 잠에서 깨어나 일본의 도쿄를 파괴한다는 내용이다. 최근에 미국에서도 이 영화를 다시 본딴 {고질라 Godzila}가 나왔다.

돈 시겔 감독의 {신체 강탈자들의 침입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은 공포 SF영화의 고전이다. 여기서는 외계의 괴물이 등장한다.이 영화는 잭 피니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것이다. 사람들과 똑같은 모습으로 변하면서 자신들의 세력을 불려나가는 외계의 괴물 이야기를 다루었다.

크리스천 니미 감독이 1951년에 발표한 {괴물 The Thing}에는 매우 공포스러운 외계의 괴물이 등장한다. 1982년에 리메이크한 작품에 등장하는 외계 괴물은 영화사상 가장 끔찍한 괴물로 꼽힐 정도이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에일리언 Alien}은 외계 괴물의 계보를 잇는 가장 유명한 영화이다.

현재까지 4편이 제작되었고 외국에서는 소설이나 게임의 캐릭터로도 인기가 높다.

이 영화의 모티브가 된 작품이 있는데, 바로 1939년에 SF작가인 알프레드 E.반 보그트가 발표한 소설인 < 진홍색의 불협화음>이다. 여기에서 {에일리언}에 등장하는 외계 괴물 에일리언의 모티브가 되는 외계인이 나온다. 소설에서 나오는 외계인은 지적인 면에서나, 물리학적인 면에서나 전지 전능에 가까운 생물이다. 반면에 영화에 나오는 에일리언은 거의 짐승에 가까운 존재로 묘사된다.

조지 로메로 감독의 영화인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Night of the Living Dead}에는 좀비zombie가 등장한다. 여기 등장하는 좀비는 초자연적인 힘에 의해서 되살아난 시체이므로 이 영화를 SF영화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외국에서는 이러한 장르도 SF영화의 주변 장르로 취급한다.

조 단테 감독의 {그렘린 Glemlins}(1984)에는 다소 귀여운 괴물이 등장한다. 모과이라는 이름의 귀여운 애완 동물이 그 주인공인데, 이 동물은 물에 젖으면 그 숫자가 불어나고 밤 12시 이후에 음식을 먹게 되면 매우 난폭한 괴물인 기즈모로 변한다.

H.G. 웰즈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우주 전쟁 War of the Worlds}에는 문어 모양의 외계인이 등장한다.

폴 버호벤 감독의 영화인 {스타쉽 트루퍼스 Starship Troopers}에는 여러 가지 곤충들을 닮은 외계의 괴물들이 등장한다. 거미, 사마귀, 딱정 벌레등을 닮은 거대한 외계의 괴물들이 나온다.

1956년에 나온 영화인 {금지된 행성 Forbidden Planet}에는 '이드로부터의 괴물'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탄생시킨 괴물이 나온다. 여기 등장하는 '이드로부터의 괴물'이란 인간의 마음 속에 담긴 생각을 물질로 형상화시키는 장치가 인간의 적대감과 증오심으로부터 만들어낸 괴물이다. 이 괴물에 의해서 알테어- IV 행성의 고대 문명인들인 크렐인들이 멸망한 것이었다. 인간이야말로 가장 공포스런 존재이며 모든 괴물의 원조임을 상징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출처:장영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⑧ 우주 여행, 미지의 세계
미국에서, 1950~1960년대는 우주 공간을 무대로 한 SF영화의 황금기였다고 말할 수 있다.

대체로 이러한 부류의 SF영화들을 일컬어 '스페이스 오페라space opera'장르라고 부른다. 물론 우주를 배경으로 하여서 항성 간의 전쟁이나 모험을 다루고 있는 영화여야 한다.

스페이스 오페라류의 영화들이 쏟아져 나오는 가운데, 1966년 미국의 NBC 방송의 TV시리즈인 {스타트렉 Star Trek}이 방영되기 시작했다. 이후 이 시리즈는 무려 28년이상 동안

꾸준히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TV시리즈이외에도 극장용 영화 시리즈와 소설, 만화시리즈 등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처음의 오리지날 {스타트렉}은 3년간 방영되었다. 줄거리는 대략 다음과 같다. 머나먼 미래에, 커크 선장과 외계인 스포크 박사 등의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된 탐험대가 엔터프라이즈호라는 우주선을 타고 광활한 우주를 누비고 다니며 갖가지 모험과 환상을 겪는 내용이다. 매 회마다 새로운 별세계에서 신기하면서, 때로는 무섭고 위험한 외계의 생명체들과 만나고, 시공간을 ?어넘는 환상적인 우주 여행을 겪게 된다.

1987년부터는 'The Next Generation' 이라는 부제가 붙은 새로운 시리즈가 새롭게 다시 시작되어 방영되어왔다. 이후 'Deep Spce 9' (DS9), 'Voyager'등의 부제로 시리즈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프레드 윌콕스 감독의 1956년 작품인 {금지된 행성 The Forbidden Planet}은 세익스피어의 희곡 작품인 <템페스트>를 SF로 각색한 고전 걸작이다. 행성 제국의 순찰함이 실종된 것으로 여겨지는 식민지 함선의 생존자를 찾기 위해 항성 알테르의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어떤 한 행성으로 급파된다. 순찰함은 실종된 함선의 두 생존자를 발견한다. 행성의 정착자들은 알수 없는 악마적인 힘에 의해 모두 죽었으나 생존자인 과학자와 그의 딸은 로비라는 이름의 로봇과 함께 대저택에서 살고 있다. 그런데, 순찰함의 대원들이 의문스러운 죽음을 하나 둘 맞이하기 시작하고 그 원인을 밝혀 내는 과정에서 수천 년 전 이 행성에서 살았던 신비의 종족인 크렐인들에 대해서 알게 되고 크렐인들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는 이 뫼비우스 박사의 비밀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 영화를 {2001년 스페이스 오딧세이}나 {스타트렉}의 전신으로 보기도 한다.

조지 루카스 감독의 1977년작인 {스타 워즈 Star Wars}도 대표적인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에 속하는 영화이다. SF라기 보다는 전형적인 스페이스 환타지물이다.

{스타워즈} 3부작은 원래는 9부작으로 조지 루카스가 기획한 시리즈의 4,5,6편에 해당한다.

스타워즈 1편은 에피소드 4편인 셈이다. '머나먼 옛날 어느 은하계'를 배경으로 시작되는 이 영화는 악의 상징인 황제와 그 아래 다스 베이더 총통과 제국군에 대항해서 은하 연방의 동맹군들이 싸워나가는 내용이다. 상업적으로도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으며, 장대한 우주 활극을 영상을 통해 훌륭히 재현했다.

스탠치 큐브릭의 전설적인 명작인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 2001: Space Odyssey}도 매우 심오하면서도 철학적인 작품이다. 이 영화의 모티브는 아더 클라크의 소설에서 따온 것이다.

머나먼 고대에 외계의 지성인들이 지구의 인류의 진화를 이루도록 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전개되는 장대한 우주의 대서사극이다.

피터 하이암스 감독의 {아웃랜드 Outland}에는 목성의 제 3위성인 이오에서 필요한 광물을 채굴하는 인류의 미래가 그려진다. 물론 행성간의 우주 여행이 실현될 미래에나 가능한 시나리오인 셈이다.

구 소련의 영화 거장인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이 내놓은 영화인 {솔라리스 Solaris}는 폴란드 출신의 SF작가인 스타니슬라프 렘의 동명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러닝 타임이 167에 이르는 긴 영화이다. 원작 소설은 인간의 지식과 그 한계에 대해서 주로다루고 있으나 영화는 등장 인물의 의식 탐구에 더 촛점을 두었다. 매우 가라앉은 분위기의 진지한 톤이 끝까지 유지되는 영화이다. 주인공이 '솔라리스'라고 부르는 어느 미지의 행성에 파견된 뒤 잇달아 겪는 불가사의한 일들을 다루었다. {솔라리스}에는 SF영화 사상 가장 기상천외한 외계 생명체(혹은 존재)가 등장하는데, 바로 이 행성의 바다가 그것이다. 솔라리스의 바다는 유기체적이고 지각이 있는 것으로 묘사가 된다. 이 바다는 인간이 머리속으로 생각하는 모든 것들을 그대로 만들어 낸다. 솔라리스 행성의 연구 기지에 도착한 주인공은 그곳의 과학자들이 비정상적인 상태에 있음을 발견하는데,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 속의 강박 관념들이 모두 '실체화'되어서 나타나게 되기 때문이었다. 주인공도 이미 오래 전에 죽은 아내의 환생체가 다시 나타남에 따라 공포에 질리게 되고 그녀를 죽이지만, 그녀는 다시 나타난다. 이렇게 인간의 의식 속에 있는 것들이 실제로 나타나는 것은 솔라리스의 바다가 인간과 의사 소통을 하고자하는 시도인 듯하다. 영화 속에서 바다의 모습은 제대로 드러나지 않으며, 철학적인 물음만이 제기된다. 인간의 자아란? 인식의 한계는?

1902년에 프랑스의 조르쥬 멜리에스가 만든 {달세계 여행 Le Voyage dans la Lune}이라는 영화는 세계 최초의 SF영화로 인정받는 영화이다. 프랑스의 뤼미에르 형제가 처음으로 영화를 만든 이후 제대로 된 최초의 SF영화로서 당시로서는 대작이라고 할 수 있는 21분짜리 영화이다. 내용은 인류의 달착륙을 다룬 것이다. 여기서는 사람들을 포탄에 실어서 달을 향해 쏘아올리는 우주 여행법이 등장한다. 그야말로 황당무계한 상상의 결과라고 할 수 있지만 당시로선 그나마 진지한 상상의 결과였다고 한다.
(출처:장영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⑦ 사이버펑크Cyberpunk
데이빗 크로넨버그 감독이 1982년에 내놓은 영화 {비디오드롬 Videodrome}은 사이버 펑크 장르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사이버펑크Cyberpunk란 무엇인가?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펑크Punk의 합성어로 만든 단어인 사이버펑크란 컴퓨터 문화 시대의 새로운 형태의 하위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사이버 시대의 펑크문화인 셈이다. 사이버펑크는 과학 기술이 우리의 삶을 깊숙히 지배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의 반항 문화를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미국의 수학자인 위너가 제창한 사이버네틱스는 자동 제어와 통신을 통해 외부의 지원 없이 스스로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어떤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하고, 펑크는 1970년대말의 반항적인 메세지와 강력한 비트를 가진 록음악( 섹스 피스톨즈가 그 대표적인 그룹 )을 뜻하는 말로 사이버펑크는 최첨단 하이테크를 상징하는 말과 사회 문화적 반항이나 이단을 나타내는 말의 융합인 셈이다.

이 사이버펑크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캐나다 출신의 SF작가인 윌리엄 깁슨이 1984년에 <뉴로맨서>라는 소설을 발표하면서부터였다. SF평론가인 가드너 조도이스는 윌리엄 깁슨과 브루스 스털링, 루 샤이너, 루디 러커, 존 셜리, 팻 캐디건등을 가리켜 '사이버펑크'소설 작가라고 칭했는데, 이 '사이버펑크'라는 단어는 브루스 베스케의 소설인 <사이버펑크>에서 그가 따온 것이었다. SF문학 사조로서의 사이버펑크장르를 여기서 자세하게 언급하는 것은 자제하고 다시 영화로 설명을 돌리기로 한다.

{비디오드롬}은 인간의 의식과 TV와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데이빗 크로넨버그 감독의 팬이라면 반드시 감상해야할 작품으로 많은 SF영화 애호가들이 평가하고 있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은 TV가 제공하는 가상 현실과 진정한 현실을 분간하지 못하는 상태로 빠져드는 장면들이 나오는데, 근미래의 사이버펑크족들의 현실이 될 지도 모를 일이다.

{블레이드 러너 Blade Runner}는 <뉴로맨서>에 나타난 미래 사회와 매우 비슷한 분위기를 풍긴다. 2019년, 화려한 네온 간판과 기모노를 입은 일본 여인의 미소가 빌딩 숲의 꼭대기를 장식하고 좁다랗게 놓인 골목길에서는 인조 인간들의 부속품을 뒷거래하는 암시장이 있다.
거대 도시의 뒷골목은 사이버펑크소설들에서 많이 그리고 있는 불안정하고 암울한 미래상의 전형적인 모습인 듯하다.

{코드명 J Johny Mnemonic}은 바로 윌리엄 깁슨의 동명 소설인 <조니 네모닉>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주인공인 조니는 정보를 두뇌 속의 메모리 칩에 저장하여 밀수하는 일을 하는 콘솔 카우보이로 정보를 독점하려는 기업이 기밀이 새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보낸 암살자들과 대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원작과는 다소 다른 편이다.

{론머맨 The Lawnmower man}도 사이버 스페이스에 대한 묘사가 뛰어난 영화이다. 가상 현실을 다룬 본격적인 영화인 셈이다. 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사이버 섹스장면이 나온다.

일본의 오토모 가츠히로 감독의 만화 영화인 {아키라 Akira}는 사이버펑크적인 미래가 감각적으로 잘 묘사되어 있다. 이 애니메이션은 일본 SF애니메이션의 걸작으로 손꼽힌다. 무대는 제3차 세계 대전으로 핵전쟁이 발발한 이후의 폐허가 된 일본의 수도 네오 도쿄이다.

네오 도쿄는 가정과 학교라는 존재가 이미 붕괴한 지 오래고 소년들은 흉폭해져서 거리를 싸움터로 만들며 파괴를 일삼는다. 여기 나오는 데츠오라는 소년은 군부가 추진하는 '아키라'라는 정신 감응 연구의 희생양이 되어 괴물로 변하고 폭주조고 소년 카네다와 엄청난 싸움을 벌이게 된다. 이 만화 영화의 매력은 살인, 폭력, 데모, 테러로 얼룩진 도쿄의 모습과 그 속에서의 젊은이들의 반항과 허무, 파괴와 재건으로 이어지는 사이버펑크적인 분위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출처:장영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