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귀히시험 문제중 일부입니다.

한국 귀화시점은 상당히 어려워서 외국인들이 몇년간 공부하고 도전하다고 하는데 알라디너 여러분들이 보시기에는 어떠신가요? 너무 쉬운가요 아니면 너무 어려운가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전에 쓴 글을 다시 읽다보니 서울시내에도 상당히 많은 수의 헌책방이 있었던 것으로 나옵니다.하지만 2024년 현재 많은 헌책방들이 문을 닫았지요.물론 새로 생긴 헌책방들도 있습니다.


헌책방이 문들 닫는 경우는 대게 몇가지로 나뉘는 것 같습니다.

첫째 헌책방 쥔장이 돌아가신 경우

헌책방을 오래 하신 분들의 경우 50년대부터 헌책방을 하신 분들도 계시지만 보통은 60~70년대부터 운영하신 분들이 상당수 인데 이런 분들의 경우연로하셔서 돌아가시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노환도 있지만 갑작스레 돌아가시는 분들도 안타깝게 계십니다.대표적인 예가 공씨책방 1대 사장님이 공진석씨나 낙성대 헌책방 흙서점에 인접했던 삼우서적 사장님처럼 급환으로 돌아가시는 경우 헌책방이 문들 닫게 되지요.

둘째 헌책방 쥔장들의 은퇴

첫번째외 마찬가지로 헌책방 1세대의 경우 대부분 연령이 70대를 넘으신 분들이 많습니다.그러다보니 아무래도 헌책방 운영이 힘들어서 문을 닫는 경우가 대부분이죠.물론 자식이 뒤를 잇는 경우도 있는데 홍제동 대양서점의 아드님이 인근에 다른이름으로 헌책방을 운영하고 청계천에 있던 상현서점 역시 아드님이 다른곳으로 이전헤 헌책방을 운영하고 있지요.하지만 대부분은 뒤을 이을 사람이 없어 문들 닫게 됩니다.

셋째 재개발

드문 경우이지만 헌책방이 있던 곳이 재개발이 들어가면서 헌책방이 사라지는 경우입니다.예를 들면 황학동 헌책방의 경우 그 자리에 주상복함건물이 들어서면 그곳에 있던 몇개의 헌책방이 사라졌습니다.물론 다른곳으로 이전 하신분(행운서적의 경우 황학동에서 안암동으로 이전)도 계시겠지만 대부분 문을 닫은 것 같습니다.그리고 수원의 오복서점 역시 원래있던 곳이 화성행궁 재개발등으로 건물이 없어지면서 인근으로 이전하게 되었습니다.

넷째 판매부진

아마 이게 가장 큰 이유 같은데 아무래도 판매가 안되서 더이상 헌책방을 유지할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과거와 달리 중고등학생 참고서의 판매부진(해마다 바뀌는 교과내용탓)과 책을 읽지 않는 풍토,알라딘 중고서점과 같은 새로운 경쟁자의 탄생등으로 헌책방의 유지가 힘들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청게천 헌책방 거리에서 헌책방들이 사라지고 서울대 인근의 3개 헌책방(도동고서,할,책상은 책상이다),위치가 좋았던 상계동 헌책백화점등이 문을 닫은 것은 아무래도 적자가 늘어나서 문을 닫지 않나 싶네요.


헌책방 애호가였던 저역시도 이제 헌책방은 가끔 알라딘 중고서점이나 가다보니 서울 경기권의 헌책방은 일년에 한번도 갈까 말까합니다.사실 헌책방은 신규 손님보다 기존의 고객이 지속적으로 찾아와주어야 하는데 알라딘 중고서점으로 발길을 돌리니 아무래도 힘이 많이 드시겠지요.그래도 가끔보면 새로운 헌책방들이 오픈하곤 합니다.

아무쪼록 오래 오래 사업이 번창하시길 기원해 봅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안과검진을 위해 성모병원에 다녀왔습니다.병원에서 기계로 검진을 몇 차례하니 나중에 수납할적에 비용이 20만원이 넘게 나와 후덜덜 했습니다.

그런데 일전에 말했듯이 5월 20일부터 병원에서 의료비 부정수급을 막기위해 신분증 검사를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한가지 이해 안가는 것은 개인병원의 경우 진료전에 신분증을 제시하는데 종합병원의 경우 진료를 다 마치고 수납시 신분증을 제시한다는 사실입니다.뭐 종합병원의 경우 예약환자 위주이기에 수납시 신분증을 보는것 같습니다.


참고로 동네병원의 경우 신분증 제시후 한달 이내에 재 방문시에는 병원측에서 신분증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종합병원의 경우 물어보니 6개월내에 재 방문시에는 신분증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블레스 타임북이란 책이 있습니다.


그런데 알라딘 설명에 의하면 이 책이 창간호랍니다.

노블레스 타임북 Noblesse Time Book 2024 (표지 3종 중 랜덤) - 창간호


근데 웃긴것은 제가 노블레스 타입북 2023을 갖고 있습니다.그러니 2024가 창간호가 될수 없지요.근데 타입북2023에 대한 자료를 인터넷에서도 찾을수 없네요.참고로 타임북 2023도 랜덤 3종류인지 저는 커버가 다른 두권의 책을 갖고 있네요.

진짜로 노블레스 타임북 2024가 창간호인지 무척 궁금해 집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내에는 그닥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지만 대체역사 소설의 거장으로 불리우는 분이 바로 해리 터틀도브입니다.

국내에는 절판된 비잔티움의 첩자 한 작품만 소개되었는데  비잔틴사를 전공하고 대학에서 역사학을 가르치는 역사학자이자 '대체역사소설의 거장'이라 불리는 해리 터틀도브의 최고 출세작이자 대표작으로 아이작 아시모프가 추천사에 언급한 것처럼, 대체역사소설을 이야기할 때마다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빼어난 작품입니다.


그런데 유튜브를 보다보니 해리 터틀도브의 단편을 소개하는 영상이 있어 소개해 봅니다.


우주선을 만들어 빛보다 빠른 속도로 우주를 여행하는 외계인이 지구를 침범했으나 지구의 살상무기에 모조리 녹아버린다는 이야기입니다.지구인은 한정된 공간에서 서로 약탈하고 살해하기 위해 무기를 발전시켰다는 말이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니 더욱 실감이 나는군요.

즐감하시길 바랍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