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엔데
2005.05.04 | 미하엘 엔데가 세상을 떠났을 때 세계의 언론은 그를 가리켜 ‘금전과 시간의 노예가 된 현대인을 고발한 철학자’로 평가하였습니다. 특히 올해는 미하엘 엔데가 세상을 떠난 지 10주기가 되는 해라 더욱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는데요. 그의 작품들은 단순한 즐거움의 차원을 넘어 자랑과 자유, 삶의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하는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만만치 않은 마니아층을 거느리고 있는 미하엘 엔데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미하엘 엔데의 처녀작은 <짐 크노프와 기관차 루카스>와 <짐 크노프와 13인의 해적>입니다. 연극 배우, 극작가, 연극 평론가, 연출가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글쓰기의 어려움에 부딪혀 작가의 길을 포기할 뻔했던 미하엘 엔데에게, 동화를 써 보라는 한 친구의 권유는 그를 세계적인 작가로 만들어 준 소중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1960년에 출간되자마자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킨 이 작품은 룸머란트라는 나라에 배달된 작은 소포에서 나온 흑인 아이 ‘짐’의 모험을 소재로 하고 있는데요. <짐 크노프와 13인의 해적>에서는 마침내 짐의 출생의 비밀이 밝혀집니다. 짐은 잠발라 왕국의 □□왕자였던 것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낱말은 무엇일까요?
    답 :
미하엘 엔데의 대표작 중 하나인 <모모>에는 다음과 같은 수수께끼가 등장합니다. 이 수수께끼의 정답이자, 미하엘 엔데가 <모모>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내용의 핵심 단어라 할 수 있는 두 글자의 낱말은 무엇일까요?

"제일 맏형은 거기에 없어. 이제 막 집으로 오고 있어. 둘째 형은 거기에 없어. 그는 벌써 나가버렸어. 다만 셋째만이 거기에 있어. 셋 중에 막내만이 사실 막내가 없으면 다른 둘도 있을 수가 없어. 그런데도 문제가 되고 있는 셋째의 존재 이유는, 오로지 첫째가 둘째로 변화하는데 있어. 사실 막내를 보려고 하면 우리는 언제나 다른 둘 중의 하나를 볼 뿐인 거야. 이 세 형제는 어쩌면 하나일까? 아니면 둘 뿐일까? 또는 결국... 아무도 없는 걸까? 이 형제들의 이름을 맞출 수 있다면, 셋의 막강한 지배자를 알아 맞추는 셈이다. 그들은 같이 한 커다란 왕국을 다스리고 있어. 동시에 그들 자신이 왕국인 거야. 그 왕국에서 그들은 꼭 같아. 세 형제가 살고 있는 집은?"

    답 :
<끝없는 이야기>는 왕따를 당하던 허약한 소년 바스티안이 고서점에서 훔친 책을 읽다가 책 속의 세계인 환상계로 빠져들면서 겪게 되는 놀라운 일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환상계의 온갖 존재들에 대한 치밀한 묘사도 놀랍지만, 환상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현실에 존재하는 <끝없는 이야기>라는 책에 동시에 기록되며 인간들이 상상하기를 멈춘다면 환상계 또한 사라져버리고 만다는 독특한 발상에 감탄하게 되는 작품입니다. 위기에 빠진 환상계를 구하게 된 결정적인 단어는 아트레유가 환상계를 다스리는 ‘어린 여제’에게 붙여준 새로운 이름 어린 □□□였습니다. 빈칸에 들어갈 낱말은 무엇일까요?
    답 :
최근에 출간된 미하엘 엔데의 그림책 <보름달의 전설>은 세상을 등지고 은둔하는 성인과 온갖 방탕함에 빠져 살다 산 속으로 쫓겨 들어온 도둑이 스승과 제자로 만나 겪게 되는 사건들을 그린 매우 철학적인 작품입니다. 오랜 은둔 끝에 마침에 깨달음을 얻었다고 믿는 성인은 보름달이 뜨는 밤마다 자신을 찾아오는 신비로운 존재가 ‘대천사 가브리엘’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성인의 금기를 어기고 동굴에 찾아온 도둑으로 인해 그 존재의 정체는 다름아닌 □□□였다는 것이 밝혀집니다. 인간의 어리석음을 깨닫게 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는데요.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일까요?
    답 :
미하엘 엔데는 어른들을 위한 이야기도 적지 않게 펴냈습니다. 최근에 재출간된 <자유의 감옥>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과 삶에 대해 성찰한 여덟 편의 중/단편이 담긴 작품집입니다. 수록된 작품 중 <긴 여행의 목표>에는 막대한 유산을 물려받아 유복하게 살아가지만 시종일관 냉소적인 태도로 삶 전체를 비웃는 ‘시릴’이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요. 시릴은 어느 독일 은행가의 저택에 초대받았다가 우연히 이지도리오 □□□의 그림 ‘긴 여행의 목표’를 본 후 운명적인 힘에 이끌려 평생 그림 속의 집을 찾아 헤매게 됩니다. 빈칸에 들어갈 화가의 나머지 이름은 무엇일까요?
    답 :
정답 : 1. 뮈렌
정답 : 2. 시간
정답 : 3. 달아이* 문예출판사刊 <끝없는 이야기 1,2>에는 달님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정답 : 4. 오소리
정답 : 5. 메시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앤서니 브라운
2005.04.02 | 4월과 5월의 마니아 퀴즈는 어린이책과 관련된 문제를 준비했습니다. 이번에는 국내에서도 널리 알려진 그림책 작가 앤서니 브라운에 관한 문제입니다. <돼지책> <동물원> 등으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사랑 받는 그림책 작가 중 한 명인 그는 가족을 중요한 화두로 삼는 작가입니다. 최근 따스한 가족 사랑이 전해지는 <우리 엄마>를 출간하며 또 한번 열풍을 일으키고 있지요. 그림책 마니아라면 결코 놓칠 수 없는 그의 삶과 그림 속으로 들어가 볼까요?
앤서니 브라운이 그리는 초현실세계는 특유의 그림기법인 극사실주의로 완성됩니다. 극사실주의는 본질적으로 미국적인 리얼리즘으로, 특히 팝 아트의 강력한 영향으로 일어난 운동입니다. 우리가 육안으로는 알아낼 수 없는 추악함, 이를테면 모발에 가려진 점이나 미세한 흉터까지도 부각되어, 보통이라면 그냥 지나쳐버릴 수도 있는 현상이 보는 이로 하여금 잔혹한 인상을 받게 하지요. 특히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은 극사실주의 작가인 □□□□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합니다. 이 작가는 누구일까요?
    답 :
<미술관에 간 윌리>에서 명화를 패러디한 그림의 진수를 보여준 앤서니 브라운. 이 책에서 주인공 윌리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그림들을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새로운 작품으로 새롭게 그려냅니다. 이 외에도 그의 작품 곳곳에는 명화를 패러디한 기발한 장면들이 숨어있는데요, 그 중 <축구선수 윌리>에서 긴장한 윌리의 모습은 표현주의의 대가 뭉크의 □□를 패러디한 그림이지요.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에서 스머지 아빠가 보는 신문에 그려진 그림이기도 한 이 그림의 제목은 무엇일까요?
    답 :
<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Voices in the park)는 찰스 엄마, 스머지 아빠, 찰스, 스머지에게 일어난 네 가지의 사건 속에, 같은 공간에 있지만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퍼즐처럼 짜 놓은 이야기입니다. 세 번째 목소리의 주인공인 찰스는 어머니에게 억압당하고 사는 소년이에요. 그가 보는 세상은 모두 어머니를 연상시키는 □□로 가득 차 있습니다. □□는 그가 어머니 곁을 떠나면 흐릿해지고, 어머니와 함께 있게 되면 또 다시 뚜렷해집니다. 어머니의 권위와 억압을 상징하는 □□는 과연 무엇일까요?
    답 :
앤서니 브라운의 <행복한 미술관>은 엄마의 생일날 미술관 구경을 간 어느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입니다. 처음에는 투덜거리던 가족들이 그림 보는 재미에 빠지며 서로 마음을 열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지요. 이 그림책은 앤서니 브라운이 런던의 □□□미술관에서 천 명의 아이들과 함께한 체험을 토대로 만들어졌습니다. 미술관에서 아이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그림놀이 ‘The shape Game’을 통해 경험한 즐겁고 행복한 추억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요. 2001년과 2002년 두 해에 걸쳐 진행된 이 워크샵이 열린 미술관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답 :
그를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책 작가 중 한 사람으로 만들어 준 책은 <고릴라> <돼지책> 등입니다. 그 중 <돼지책>은 엄마의 가출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고, 교육적으로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판단되어 출간이 연기되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끊임 없는 집안일에 지친 엄마가 집을 나가는 극단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일깨우고 가족의 행복을 일궈낸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아이들보다 엄마들이 더 좋아할 만한 이 책에서 집을 나가는 엄마는 남편과 아이들에게 “너희들은 □□야”라는 편지를 써 놓고 나가지요. □□는 과연 어떤 말일까요?
    답 :
정답 : 1. 마그리트
정답 : 2. 절규
정답 : 3. 모자
정답 : 4. 테이트
정답 : 5. 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조협려
2005.03.07 | <신조협려>는 ‘신필’로 불리는 김용의 대표작으로 <사조영웅전> <의천도룡기>와 함께 무협소설의 고전이자 바이블로 통하는 작품입니다. 특히 <신조협려>는 중국의 남송시대를 배경으로 긴박감 넘치는 무공과 함께 양과와 소용녀 두 주인공의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펼쳐져 많은 무협 마니아들이 김용 최고 작품으로 꼽는 소설입니다. 아래 퀴즈를 풀어보시면서 무림의 세계에 빠져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신조협려>를 시종일관 이끌어가는 말은 바로 ‘정(情)’입니다. 양과의 소용녀의 애틋한 정 뿐 아니라 사랑에 실패하고 악녀가 된 이막수, 주백통과 일등대사, 영고 간의 애증어린 관계, 곽양, 정영, 육무쌍의 양과에 대한 일방적인 사랑 등이 그렇습니다. 이와 관련, 책에는 이막수가 자주 읊는 가사(歌詞)가 나옵니다. ‘세상 사람에게 묻노니, 정이란 무엇이길래 이토록 생과 사를 같이하게 한단 말인가’로 시작하는 이 가사는 금나라 시인 원호문이 지은 것입니다. 이 가사의 제목은 무엇일까요?
    답 :
<신조협려>의 주인공 양과는 마지막 8권에서 동사(황약사), 남승(일등대사), 북협(곽정), 중완동(주백통)과 함께 서광으로 불리면서 천하오절에 들만큼 높은 무공을 쌓게 됩니다. 전진파와 고묘파의 검법은 물론 구음진경의 무공, 홍칠공의 타구봉법, 구양봉의 합마공, 황약사의 탄지신통 등 다양한 문파의 무공을 두루 섭렵합니다. 후일 소용녀와 16년 뒤에 만나기로 한 후 강호를 방황하면서 자신의 무공을 토대로 장법을 고안하게 되는 데요, 주백통이 감탄한 이 장법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답 :
소용녀의 사자(師姉)인 이막수는 사랑에 실패한 후 무고한 사람을 많이 죽여 악명을 떨치게 됩니다. 그리고 고묘파의 높은 무공이 담긴 이것을 얻기 위해 양과와 소용녀를 줄곧 괴롭히게 됩니다. 고묘파의 사조인 임조영이 창안한 것으로 고묘 석실 천장에 새겨진 이것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답 :
<사조영웅전>에 이어 <신조협려>에서도 비중있게 등장하는 문파가 전진교입니다. ‘천하제일무공’으로 불렸던 왕중양이 창시한 전진교는 도교적인 성격을 가진 무림의 정종(正宗)으로 나옵니다. 특히 왕중양이 직접 거둔 7명의 제자는 전진칠자로 불리면서 강호에 이름을 널리 떨칩니다. 이 전진칠자 중에서 가장 먼저 세상을 떠난 사람은 누구일까요?
    답 :
양과는 곽정과 황용의 두 딸과 많은 사건을 겪게 됩니다. 큰 딸인 곽부와는 다소 악연으로 곽부에게 오른팔이 잘리기도 하죠. 반면 둘째 딸인 곽양과는 애틋하고도 기구한 인연을 맺게 됩니다. 곽양이 태어나자마자 양과는 여러 번 그녀의 목숨을 구해주었고 양과가 자결하려 계곡에 뛰어들 때 곽양은 그를 구하려 같이 계곡에 떨어지기도 합니다. 양과를 사모하는 마음을 버리지 못한 곽양은 양과가 소용녀와 떠나자 평생을 수절하면서 무공을 닦아 □□파의 사조가 되는데요, 이 파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답 :
정답 : 1. 안구사
정답 : 2. 암연소혼장
정답 : 3. 옥녀심경
정답 : 4. 담처단
정답 : 5. 아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원제는 "The Twits"

twit1 [twít] vt. (~ted; ~ting) 꾸짖다, 책망하다; 조롱하다, 비웃다

번역 제목도 재미있네요. ^^

로알드 달의 "찰리와 초코렛공장'이 재미있어도 다른 책도 찾아봤습니다.

첫페이지만 읽어봤는데, 좀 드러워요....ㅠㅠ

신랑이랑 제가 싫어하는 사람 중에 하나가 코털 삐져나오는 건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emony Snicket, Brett Helquist (Illustrator)

The world's unluckiest trio of children have their most perilous adventure yet in The Miserable Mill, the fourth book in Lemony Snicket's delightful tales of woe, A Series of Unfortunate Events. Orphans Violet, Klaus, and Sunny Baudelaire have yet to find a guardian they can live with and, after the disasters that occurred during their last living arrangement, they are now headed for a lumber mill in the town of Paltryville (most of the names used in these tales are as revealing as they are entertaining), located just beyond the gloomy, black Finite Forest.

Another misadventure is virtually guaranteed when the children arrive at the mill and discover an eye-shaped building (the eye being Count Olaf's signature symbol) located right next door. Supposedly the building is an eye clinic, but the children have their doubts. Life with their newest caretaker doesn't look very promising either, as the children are forced to work in the mill and bunk in a dormitory with the other employees, all of whom are paid in coupons. Then Klaus breaks his glasses and has to visit the eye clinic. He doesn't return for hours -- and then when he does, he acts very strangely.

Violet begins to suspect that Klaus has been hypnotized and her investigation of the eye clinic reveals Count Olaf in his latest disguise. It's one the children can see through easily, though they can't seem to convince any of the adults around them that the eye clinic receptionist named Shirley is actually Count Olaf. Only by using their singular strengths -- Violet's knack for inventing, Klaus's book smarts, and Sunny's T-Rex-like bite -- can they escape their latest horrible fate.

While many of the events that occur on these pages are indeed bleak, miserable, and unfortunate, the indomitable spirits of the Baudelaire children and Lemony Snicket's gleeful telling of their tale makes reading them irresistible. As a side benefit, there's also a marvelous education in linguistics hidden amidst the mishaps.

 

Dear Reader,

I hope, for your sake, that you have not chosen to read this book because you are in the mood for a pleasant experience. If this is the case, I advise you to put this book down instantaneously, because of all the books describing the unhappy lives of the Baudelaire orphans, The Miserable Mill might be the unhappiest yet. Violet, Klaus, and Sunny Baudelaire are sent to Paltryville to work in a lumber mill, and they find disaster and misfortune lurking behind every log.

The pages of this book, I'm sorry to inform you, contain such unpleasantries as a giant pincher machine, a bad casserole, a man with a cloud of smoke where his head should be, a hypnotist, a terrible accident resulting in injury, and coupons.

I have promised to write down the entire history of these three poor children, but you haven't, so if you prefer stories that are more heartwarming, please feel free to make another selection.

With all due respect,

Lemony Snicket

*

4번째 이야기..

읽을수록 숨이 막히더군요...

불쌍한 아이들....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