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4월 3일 비 13도~19도
비가 오니 막걸리가 없더라도 전이라도 부쳐 먹고 싶어진다. 텃밭에 달래가 잔뜩 올라왔다. 지난해 일부터 캐지 않고 놔 두었더니 세를 엄청 넓혔다.

달래를 몇 뿌리 캐어서 전에도 넣고 달래장을 만들기도 했다.



달래를 캐면서 텃밭을 둘러보니 어느새 원추리도 싹을 틔워 부쩍 자라 있었다.

원추리는 독성이 있어 아주 어릴 적에 잎을 따다 나물로 먹을 수 있는데, 너무 커 버린 듯하다. 뭐, 나물로 먹을 생각은 애당초 없긴 했지만....
가시오가피도 잎을 내놓고 부쩍부쩍 자라고 있다.

조금 더 크면 잎을 따다 쌈채소로 먹어도 향이 좋다.
사과 나무에도 새잎이 꿈틀꿈틀대고 있다.

기다리고 있던 벚나무도 꽃봉오리가 맺혀 꽃을 피우려는 모양새다.

배추꽃은 활짝 피었다.

정말 일취월장이다. 생로병사, 성쇠는 어김없는 자연의 흐름이다.
그런데 인간이 육체적인 성장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성장을 지향하는 것은 마땅한 일 이련가. 다만 육체는 성장의 한계가 있지만, 정신은 그 한계를 모른다는 것이 다를 뿐. 그러기에 오늘도 우리는 단 한 뼘이라도 성장했는지 항상 자문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