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14/98/cover150/8970121277_3.jpg)
"인생이라는 것은 그 와중에 있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한정되어 있소. 인생이라는 행위 속으로 빛이 들어오는 것은 한정된, 아주 짧은 기간이라오." p73, 태엽 감는 새 2
마미야 중위가 오카다에게 보낸 편지이다. 전쟁 중 외몽골 병사들에 의해 몽골의 평원 한가운데 우물 바닥에 버려졌을 때, 그가 느낀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재현이라도 하듯이 오카다도 우물 바닥으로 내려가 하루에 한 번 해와 우물과 자신이 일직선이 될 때 비치는 빛을 본다. 마이야 중위가 그 짧은 기간 - 기회 - 을 놓쳐버리고 보낸 40년 무상한 세월을 답습하지 않으려는 듯이, 그것을 인정하고 재확인하려는 듯이, 도대체 모를 자신의 인생에 대해 해답을 찾으려는 듯이 찾았다는 듯이.
우리는 신도 아니고, 궤도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해도 아니고, 네발이 달려 해를 쫓아다닐 수 있는 우물도 아니다. 하지만, 어쨌든 우물 바닥으로 기어 내려가 그 빛을 한 번 볼 수 있는 인생이 주어져 있다. 작은 우물의 원을 통해 해를 볼 수 있는 것은 단 한 번 뿐이라 해도.
빛이 들어오기 전이든, 빛이 지나가 버렸든, 심지어 빛이 그렇게 비칠 때든, 뭘 좀 먹어야겠다.
"내가 만든 따뜻한 롤빵을 좀 드시지요. 뭘 좀 드시고 기운을 차리는 게 좋겠소. 이럴 때 뭘 좀 먹는 일은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될 거요." p127,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 대성당
레이먼드 카버의 대성당 속 단편처럼 뭘 좀 먹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마미야 중위도 오카다도 말하지 않았다. 내일 또 빛이 그렇게 들 것이라고. 어제 들었던 그 빛이. 그리고 난 어두운 것도 좋아한다. 빛을 추억하며 말이다.
"인생이라는 것은 그 와중에 있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한정되어 있소. 인생이라는 행위 속으로 빛이 들어오는 것은 한정된, 아주 짧은 기간이라오." p73, 태엽 감는 새 2
"내가 만든 따뜻한 롤빵을 좀 드시지요. 뭘 좀 드시고 기운을 차리는 게 좋겠소. 이럴 때 뭘 좀 먹는 일은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될 거요." p127,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 대성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