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가 분명 이반 일리치는 죽었다고 했는데, 현실에서 이반 일리치의 '누가 나를 쓸모 없게 만드는가'를 읽으니, 굉장히 초현실적으로 되었다.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서 삶을 열심히 달려오다 되돌아봤을 때, 맞이하게 될 죽음이 겨우 그 허망함을 달랜다는 것은 이반 일리치의 '누가 나를 쓸모 없게 만드는가'와 아주 동떨어진 내용이 아닌 것에 놀랐다.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는 한병철 교수님의 '피로 사회'를 단박에 기억나게 했다. 두께도 비슷했다. 둘 다 두께가 아주 얇은데, 읽기 쉽지 않고, 앞 페이지로 몇 번씩 왔다 갔다 하게 만들었다. 그러다 어느 순간 내용을 놓치기도 하고 - 앞 장을 아무리 왔다 갔다 해도 - 맥을 놓쳐서 눈으로 그나마 몇 페이지 광속으로 읽다 다시 정체를 맞이한다.

책 이야기로 좀 넘어와야겠다.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는 상품과 서비스가 대량생산되고 손쉽게 제공됨으로써 세상이 획일화되고 나아가 풍족한 재화 속에 대중은 오히려 자유를 잃어가는 것을 꼬집어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것을 '현대적 가난'이라고 말했다.

현대적 가난은 획일화된 공산품에서 선택의 자유가 이전보다 줄어들게 되었고, 의료, 주택과 같은 서비스가 법의 제도권 안에서 규정됨으로써 개인이 자유롭게 행하던 것들이 제한받게 되었다고 한다. 의료 면허가 없으면 함부로 진찰을 하면 안되고 당국의 허가 없이 주택을 짓거나 개조해도 안 되고 심지어 출산도 병원에서 해야 함으로써 기존에 가졌던 자유를 박탈당했다는 논지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은 전문가에 의해서 조절되며 그 전문가는 - 기득권을 말하는 것 같다 - 그들의 이익을 위해 인본주의를 저버리고 모든 것을 물화시킨다고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나는 여기에 많이 동의할 수는 없다.

첫 번째로, 상품과 서비스가 풍족해져서 더 많은 사람의 삶이 나아지지 않았던가? 최근 100년이 아닌 그 이전에 국민의 대다수는 농노, 노예, 백성이라는 이름으로 무거운 세금을 내고 병역과 노역에 시달리고 말 그대로 생계유지가 지상 최대의 과제였고, 누구에게나 평등한 의료 서비스는 부재했다. 다수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획일화가 필연적으로 따라왔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저자 또한 굉장한 상류사회의 엘리트이다. 즉, 기득권이 되지 못한 전문가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가지고 비판을 위한 비판 같아 보였다. 전문가 집단 내의 자정 활동이나 투명함조차도 전문가들만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활동으로 간주하고 대안을 제시하지 못함은 생산적이지 못한 비판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세 번째로, 인간이 필요로하는 것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뀌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아직도 최빈국이 있고, 식량과 물이 부족해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그 사람들은 우리가 도와줘야 하는 사람들이지 그 사람들의 문제가 인류가 가지고 있는 최우선의 고민 대상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식량, 주거, 교통의 문제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현재 인류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은 희석하는 것 같다.

나의 한국 현대사에서 말하는 것처럼 먹고사는 것이 힘들 때, 어떻게 민주주의를 생각했을까. 하지만, 먹고 사는 것이 삶에 문제가 되지 않을 때, 먹고 사는 것에 중점을 두고, 그것에서 의미를 찾는 것에 집착하면 안 될 것이다.

하지만, 얇고 작은 하지만 읽기 쉽지 않은 이 책은, 비판적 사고를 하며 읽기에 무척 좋은 것 같다.

뭉툭해진 스테들러 홀더펜으로 여백에 빽빽하게 적게 만드는 책은 마구 휘갈기며 비판하다가도 결국엔 사랑하게 된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5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터라이프 2021-02-13 23:5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여기저기에 회자된 것처럼 이반 일리치가 그렇게 선명하던가요? 매번 읽어볼까 고민만 하다 관두는 것이 일리치네요. 요즘 독서가 잘 안되서 큰일입니다. 매사에 집중이 잘 안되네요 일도 그렇고요.

초딩 2021-02-14 01:46   좋아요 3 | URL
소유냐 존재냐
처럼 좀 안타까웠습니다.
초반부에 아주 빨려들어가
광신도처럼 줄을 긋다
문장의 바다에 빠졌어요 ㅜㅜ
아 베터라이프님...
저도 연휴가 길게만은 느껴지지 않네요
동감.

붕붕툐툐 2021-02-14 00:1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우왕~ 이 페이퍼에 소개된 책 중 제가 읽은게 두 권이나 있어요! 자 명탐정 초딩님, 맞혀보시죠?ㅋㅋㅋㅋ
(참고로 이반 일리치 책은 읽고 싶은 책장에 담았습니다~ㅎㅎ)

초딩 2021-02-14 01:44   좋아요 3 | URL
질러봅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
나의 한국현대사!

흠!

붕붕툐툐 2021-02-14 09:19   좋아요 4 | URL
우와~ 역시 명탐정은 질러도 반을 맞히시네요!!ㅎㅎ 이반 일리치 죽음 대신 피로사회 읽었어요~ 알아요, 제가 저런 철학서 읽을 거 같게 안 생긴거.. 근데 제가 나름 한병철님 책을 두 권이나 읽었답니다~ ㅎㅎ
맞혀보라고 할 때 사실 너무 버릇(?) 없나 좀 망설였는데, 너무 잘 받아주셔서 감동 받고 갑니다~😍😘😻

초딩 2021-02-14 09:28   좋아요 2 | URL
사실 맞혀보라고 하실 때
아싸 하면서 읽은책 다 뒤졌어요
일단 책장엔 200여권 이구나 하면서
근데 한참 스크롤하면서
있으면 안 내셨겠지 했죠
ㅜㅜ
유시민님 책이 몇권 있어 한국사 선택하고
제가 좋아하는 러시아 문호 책들이 있어 골랐는데
논리는 두권인데
피로사회가 딱 감이 왔는데
아음 ㅎㅎㅎ
우앙 잼 나요 ㅎㅎㅎㅎ!!!
담에 이런 이벤트 하면 잼있겠어요
담 중 내가 읽은 책을 골라보세요~

붕붕툐툐 2021-02-14 09:40   좋아요 4 | URL
와~ 진짜 명탐정이셨어!!!! 아이쿵, 제가 괜한 장난을 쳐서 초딩님의 귀한 시간을..ㅠㅠ
전 읽은 책장은 생각도 못했어요;;;;;
피로사회는 북플 활동 전에 읽은 거 같아요~ 활동할 때도 예전엔 모든 책을 담아놓지 않았더라구요. 게으름이 원인입니다. 너무 고생하신 초딩님께 발렌타인 초콜릿 두고 갑니다~ 감사해요, 정말!!🍫🎂🥞🍮🍫🍬🍭

cyrus 2021-02-14 23: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느낀 한병철은 사회 문제를 제대로 보고 있지만, 이를 설명하는 방식은 대중 친화적이지 않아요. 한병철은 서양 철학자들의 이론을 가져와서 사회 문제를 설명하고 분석하는 글쓰기를 선호하는 것 같은데 그의 문장을 읽으면 현학적으로 느껴져요. 사회 문제의 심각성을 독자들의 가슴에 와 닿게 할 정도로 글을 잘 쓴 저자들이 있는데 이런 철학 교수의 사회 현상 분석을 사람들이 왜 좋아하는지 모르겠어요. ^^;;

초딩 2021-02-14 23:35   좋아요 1 | URL
저는 한교수님의 피로사회 좋았습니다. 소유냐 존재를 너무 어렵게 읽고 읽어서 그런지 좀 더 쉽게 다가왔어요. 그리고 회사나 학교에서 밀어부치고 항상 경쟁해야하고 시간을 낭비하면 안되다로 가득한 지금에 ‘피로‘하니 ‘쉬고‘ 그것이 당연한 것이고 무엇보다도 ‘그래도 된다‘가 위로였어요. 하지만 시간의 향기는 읽다 혼절했습니다
^^ 언제나 촌철살인 같은 그리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의견 감사합니다!

cyrus 2021-02-15 19:37   좋아요 1 | URL
저도 <피로사회>는 좋았어요. 당시의 사회적 이슈와 관련돼서 안 읽을 수 없는 책이었어요. <시간의 향기>는.. 제목만 좋은 책이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