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정일의 악서총람
장정일 / 책세상 / 2015년 12월
평점 :
장정일이 그동안 주야장창 일기의 탈을 쓴 서평만 쓰더니 종내에는 그 서평을 세분화하여 ‘악서(樂書)’에 대한 리뷰만을 모아 <악서총람>을 내놓았다. 대단하다. 이런 종류로는 아마도 유일한 것이리라. 나름 괜찮은 기획이라는 생각이다. 기존의 독서일기에 비하여 보다 쉽게 읽히고 재미도 더 있다. 자서전, 평전, 연구서, 소설, 산문 등 여러 종류의 책들이 모두 어떻게든 음악과 연관 되어 있다. 소개된 악서는 모두 174권이고 리뷰는 총 116편이다. 설명절 연휴기간동안 600쪽에 달하는 이 두꺼운 책을 다 읽었다. 소생은 원체 음악과는 거리가 머나먼 축생이기는 하나 이 책은 재미있게 읽었다. 오래전부터 가슴속에 품어왔던 음악에 대한 동경이 이 책을 읽게 만든 추동력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글렌굴드, 존 콜트레인, 서태지, 커트 코베인, 에디트 피아프, 베토벤, 모차르트, 푸르트 벵글러, 쳇 베이커, 오노요코, 존 레넌, 에릭클랩턴, 마이클 잭슨, 마돈나 차이코프스키, 드보르자크, 바흐, 레너드 번스타인, 프랭크 시나트라, 임방울, 마리아 칼라스, 레드 제플린, 마일스 데이비스, 신디로퍼, 피아솔라 등등등 검(劍)처럼 빛나고 별처럼 반짝이는 동서고금의 악인(樂人)들이 등장한다. <소피의 선택>, <크로이체르 소나타>, <전원교향악>,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오페라의 유령>,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예기>, <순자>, <유리알 유희> 등등 음악과 관련이 있는 고전들도 소개된다. ‘국악’과 ‘토르트’에 대한 이야기도 자주 나온다. 인상적인 구절들로 본 리뷰를 대신한다. 독자제위께옵서는 혜량하시옵기를
커트 코베인은 치사량의 헤로인을 주사한 뒤 약기운이 퍼지기 전에, 문자 그대로 확인 사살하듯 엽총을 입에 물고 방아쇠를 당겼다.(중략) 지미 헨드릭스, 재니스 조플린, 짐 모리슨은 모두 약물 과다 복용으로 27세에 죽었고 열네 살부터 “음악에서 슈퍼스타가”되고 “자살을 해서 영예의 불꽃 속에 사라”지겠다고 다짐했던 커트 코베인은 서둘러 자신의 죽음을 거기에 맞추었다. “점차 희미하게 사라지기보다 한순간에 타버리는 게 났다.”는 유서를 쓰고서. 성상의 죽음은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에서 도합 68건의 모방자살을 불러왔고 자살자 대부분이 십대와 이십대였다. (p71)
지미 헨드릭스, 제니스 조플린, 짐 모리슨을 ‘성스러운 3J’라고 처음 명명한 사람은 장정일일 것이다. 장정일의 소설 <아담이 눈 뜰 때>에 나오는 이야기로 기억된다. 한심한 소생은 장사부를 따라 조용필, 조영남, 조갑경을 한국의 성스러운 3J라고 불렀는데 이 이야기를 들은 사람은 모두 웃었다.
2006년 10월 26일자 <한겨레>에 ‘죽어서도 돈 잘버는 남자. 커트 코베인’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미국 금융 전문지 <포보스>가 매년 조사 발표하는 ‘죽은 유명인의 사후 수입 순위’에서 커트 코베인은 2005년 한 해 동안 5,000만 달러(약 478억원)의 수입을 올려 1위를 차지했다. (p74)
2위는 엘비스 프레슬리, 3위는 찰스슐츠(만화 ‘스누피’의 작가), 4위는 존레넌, 5위는 아인슈타인, 6위 앤디 워홀이라고 한다. 커트 코베인보다 아인슈타인이 5위라니 그게 더 놀랍다.
147센티미터의 작은 키와 피에로를 연상시키는 크고 퀭한 두 눈, 평생 상복과 같은 검은 드레스로 일관한 무대 복장과 자신을 집어삼키려는 불행과 맞서는 듯한 낮고 열정적인 목소리. 이런 이미지 때문인지 사람들은 에디트 피아프의 생애가 고난과 가난으로 점철되었을 거라고 짐작한다. 게다가 잘못 기술된 상투적인 전기들은 아예 그녀를 거리에서 태어난 사생아로 만들고 있다. 하지만 그녀는 병원 침대에서 태어났고, 곡예사 아버지와 가수였던 어머니가 있었다.(p76)
키가 147cm면 뭐 난쟁이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좀 작긴하다. 곡예사 아버지와 가수인 어머니라. 완벽한 예인(藝人)의 가계다.
기록에 의하면 베토벤의 머리카락은 “많은 가위들의 공격”을 받았으며, 그 가운데는 슈베르트의 가위도 끼여 있었다. (중략) (1827년에) 베토벤이 영면하자 장례식에 따라갔던 힐러는 애도의 시간을 틈타 베토벤의 머리카락 한 다발을 가위로 잘랐다. 그 후 힐러는 자신의 소유가 된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사과만한 유리틀 속에 넣어 가지고 다니면서 창작의 영감으로 삼았다. (중략) 1994년 12월 1일 ‘베토벤의 머리카락’은 런던의 소더비 경매에서 3600파운드에 낙찰되었다. 582올의 머리카락을 공동으로 구매한 사람은 베토벤에 심취한 미국인 부동산 업자와 비뇨기과 의사. 두 사람은 아무런 대가 없이 새너제이 주립대학에 있는 베토벤 연구센터에 이제는 같은 가격으로 한 올도 살 수 없을 만큼 귀중해진 머리카락을 기증했다. (p80-84)
에릭 클랩턴의 아버지로 알려진 에드워드 프라이어는 독일군과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리플리에 주둔 중인 캐나다 군인이었다. 에릭 클랩튼의 어머니 퍼트리샤 클랩턴이 댄스파티장에서 피아노를 연주하고 있던 그과 불장난을 벌인 끝에 임신했을 때, 그녀의 나이는 고작 열다섯 살, 그런데다 뒤늦게 밝혀진 남자의 정체는 유부남이었다.(p201)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Layla>는 에릭 클랩턴이 패티 보이드(조지 해리슨의 아내)에게 바친 공공연한 구애송이다. 그는 그 노래를 만든 1970년부터 패티가 조지와 이혼하고 자신의 품에 안긴 1979년까지 무대에서 주야장천 <Layla>를 불렀다. 참 교묘한 가정 파괴 공작이랄 수도 있겠으나, 울타리가 든든하면 도둑이 넘나들지 못하는 법. 가정 파괴의 진정한 주범은 하구한 날 바람을 피워댄 조지 해리슨이었다. (p203-204)
에릭은 패티에게 헌정하기 위해 많은 곡을 썼다고 하는 두 사람은 <Layla>의 노래가사처럼 달달하게 살지는 못했다고 한다. 궁금하신 분은 마음산책에서 나온 <에릭 클랩턴>을 읽어보라는 장사부님의 말씀.
신앙으로부터 완전히 등을 돌린 아들을 회심시키기 위해 가엾은 어머니가 ‘정일아, 마이클 잭슨도 여화와의 증인이야’하고 말씀하셨던 게 나의 스무 살 중반 무렵이었다.(p207)
맞다. 맞아. 장정일이 한때 ‘여호와의 증인’이었다. 마이콜도 여호와의 증인이었나???
히카리는 스물아홉 살이 되던 1992년에 25곡의 자작곡이 실린 음반을 냈고, 1994년에는 22곡이 실린 두 번째 음반을 냈다. 1997년 4월에 나온 어느 집계는 두 음반의 전 세계 판매량이 30만장이라고 하고, 거기 따른 수입은 노벨문학상을 받은 아버지의 인세보다 다섯 배가 많은 800만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p254-255)
오에의 아들 히카리가 유명한 줄은 알았지만 이만큼 많은 돈을 벌고 있는 줄은 몰랐다.
나는 을유문화사에서 나오는 ‘현대 예술의 거장’ 시리즈에 한국 예술가가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해 사장을 설득했다. 내가 첫 번째로 추천한 사람이 임방울인데, 출판사 측에서 필자를 찾아달라고 해서 나는 판소리 관련 서적의 필자를 모두 검토해봤다. 서점에서 판소리 관련서의 필자는 거의 다 국문과 교수다. 추측건대, 이들은 국문과에서 ‘판소리계 소설’을 공부하면서 ‘판소리’를 접한 사람들이다. 나는 이들은 음악을 모른다고 생각한데다가 전지영의 <갇힌 존재의 예술, 열린 예술>을 흥미롭게 읽었기에 전지영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p345의 사족)
소생도 한때는 을유에서 나온 ‘현대 예술의 거장’몇 권을 가지고 있었는데 지금은 다 팔아치우고 없다. 최초의 한국 예술가로 ‘임방울’이 상재되었을 때 다소 의아했었는데 이런 연유가 있었군...
나는 취미의 본질을 `공공연한 이중생활`이라고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이중 생활이라면 흔히 기혼자의 불륜을 꼽는데, 실은 취미야말로 어느것보다 악질적인 이중생활이다. 불륜과 취미의 다른 점은, 전자가 남에게 들키지 않게 은밀히 하는 반면에 후자는 아예 드러내 놓고 한다는 것, 취미란 뻔뻔스럽다. (p347)
취미가 이중생활은 맞다. 하지만 악질적은 아니다. 소생의 경우로 말하자면 말이다. 뻔뻔스러운 거도 맞는 거 같다.
쿤데라는 우리에게 소설가로만 알려져 있지만 체코의 대표적 작곡가인 스메타나에게 가려져 있던 또 다른 체코 작곡가 레오시 야나체크를 알리기 위해 노력한 음악이론가이기도 하다. (p529)
야나체크 보급에 가장 큰 공신은 하루키가 아니었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