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러시아에는 얼마만큼의 자유가 필요한가?

14년 전에 정리해놓은 글로 <로쟈의 인문학 서재>(2009)에 수록돼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푸슈킨과 도스토예프스키(2)

이어지는 글이다. 세월의 흔적으로 여기저기 이미지가 깨져 있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맘 2020-01-28 1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대로 이해는 안됐지만 새해(?)에 쌤과 러시아 여행을 흥미롭게 했습니다~ 들라로슈의 그림 사진이 깨져있는것 같은데
검은드레스 입고 정면 향하고 있는 곱슬머리 여인 그림 맞나요?

로쟈 2020-01-28 22:49   좋아요 0 | URL
네.~

2020-01-28 2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자의 한국현대문학 수업‘이 나왔네요. 주문했습니다. 기대하고 있어요 로자님 ^^

로쟈 2020-01-28 22:49   좋아요 0 | URL
즐독하시길.~
 
 전출처 : 로쟈 > 푸슈킨과 도스토예프스키(1)

14년 전에 정리해놓은 글이다. 마침 오늘이 (구력으로) 도스토예프스키의 기일이면서 도스토예프스키 초기작 읽기 개강일이기도 하다. 의식하지는 않았는데 우연히도 그렇게 되었다. 두 편의 글을 소환해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주 주간경향(1362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지난주 강의에서 톨스토이의 <크로이체르 소나타>를 다시 읽은 김에 제인 오스틴의 소설과 비교해서 적었다...
















주간경향(20. 02. 03) 결혼이란 속임수에 불과, 결말은 결국 파국 


<오만과 편견>(1813)의 작가 제인 오스틴은 열렬한 소설 독자이기도 했다. 비록 오스틴이 사망하고 반세기 뒤에나 나오기 때문에 불가능했던 일이지만 근대 서구소설의 정점으로 평가되는 톨스토이의 소설을 읽었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지, 두 작가의 독자로서 궁금하다. <전쟁과 평화>나 <안나 카레니나> 같은 대작뿐 아니라 특히 결혼을 주제로 다룬 문제적 중편 <크로이체르 소나타>(1889)를 오스틴은 어떻게 읽었을까. 더 나아가 <크로이체르 소나타> 이후에 오스틴 소설은 연애와 결혼이란 주제를 어떻게 다루게 될까. 


한 독자의 호사가적 흥미만은 아니다. 서로 분리되어 있던 ‘연애’와 ‘결혼’을 소설적 서사로 결합한 공로가 오스틴에게 있다면 톨스토이는 이를 다시금 시빗거리로 만들고 있어서다. 오스틴부터 톨스토이까지가 연애(결혼)소설의 한 사이클이라고 할까. 이야기는 러시아 횡단열차에서 합석한 한 인물이 결혼을 화제로 한 다른 승객들의 대화에 끼어들면서 시작된다. 사랑이 결혼을 신성하게 만든다는 한 부인의 말에 냉소하면서 그는 이렇게 대꾸한다. “평생을 한 여자 또는 한 남자만 사랑한다는 것은 양초 하나가 평생 탄다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그는 결혼이란 그저 속임수에 불과할 뿐이어서 파국적 결말을 피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 실례가 ‘아내를 살해한 에피소드의 주인공’으로서 그 자신이다.


이어서 펼쳐지는 것은 주인공 포즈드니셰프가 털어놓는 자기 인생과 결혼생활의 전모다. 지주이자 귀족 계급에 속한 인물로서 그는 젊은 시절 방탕을 일삼았다. 하지만 그것이 부도덕하거나 개인적인 일탈이라고는 생각지 않았다. 적당한 방종과 방탕은 상류 사교계의 문화였기 때문이다. 그러다 자신과 같은 상류층의 한 여성과 만나서 결혼한다. 그는 결혼이 상류사회의 결혼시장에서 벌어지는 거래로서 매매춘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한다. 유곽의 여성과 사교계의 여성 사이에 아무런 차이도 없다고 믿어서다. “엄밀히 말해서 짧은 기간의 창녀는 경멸을 당하고, 긴 기간의 창녀는 존경을 받는 거지요.” 

작품을 쓸 무렵 톨스토이는 예순에 접어든 나이였고, 선한 삶이라는 인생의 목적에 욕망이 가장 큰 장애가 된다고 보았다. 포즈드니셰프의 말을 빌리자면, 귀족들은 농부들과 달리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음식을 과잉 섭취한다. 과도하게 섭취된 열량은 정욕을 부추기게 되고 도덕적 타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한 계급적 생활조건 때문에 상류계급의 결혼생활은 불가피하게 무절제한 방종과 서로 간의 반목으로 치닫는다. 

적대적인 감정이 쌓여가던 중 포즈드니셰프는 아내와 바이올린 연주자의 관계를 의심하고 급기야는 질투심에 아내를 칼로 찔러서 살해한다. 그 자신의 토로에 따르면 칼로 아내를 찌르기 훨씬 이전에 그는 아내를 죽였다. 욕망의 대상으로만 간주했기 때문이다. 남성과 여성을 포함해 인류는 진리와 선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협력자가 되어야 하지만 남성은 쾌락을 얻을 궁리를 하고 여성은 그런 남성의 욕망을 부추겨서 이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라면 포즈드니셰프의 살인은 우발적이지만 동시에 필연적이다. 두 주인공이 서로의 오만과 편견을 극복하고 행복한 결혼생활의 입구에 들어서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던 제인 오스틴의 소설 세계로부터 얼마나 멀리 떠나온 것인가!

20. 01. 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유리 로트만의 기호학

14년 전에 올려놓은 글이다. 대학원시절에 쓴 걸 옮겼으니 90년대 후반에 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