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트맨을 맡은 친근한 얼굴 폴 러드의 코믹 시리즈물은 결국 '나'는 누구인가, 하는 이야기다. 나는 세포의 총합, 혹은 기억의 주체성, 그도 아니라면? 나는 둘이나 그 이상일 수 있을까, 클론이 생긴다면 나/그/너가 진짜가 아니라고 어떻게 말할 수 있지? 심지어 그 클론이 더 '나은' 나/그/너 자신이라면. (여기서 궁금하시다면, 아니 폴 러드의 팬이시라면 넷플릭스로 가십쇼. 그런데 금요일 밤에 가시는 게 나을지도 몰라요. 아직 목요일입니다. 버텨!) 


얼마전 읽은 <30일의 밤>도 비슷한 문제를 다룬다. 여러 멀티버스의 '나' 들이 서로 어느 특정한 인생/우주를 차지할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누가 진짜 '나'인가. 


나는 분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집안 청소를 해줄 나, 고등학생 아이의 짜증을 듣고 화내지 않을 나, 훌쩍 집을 나서 기차에 오를 나, 철학 책(가령 푸코 라든가?)을 읽고 서재 친구들의 어려운 글에 댓을 멋지게 달 나, 어려운 문학 책(가령 골드문트님과 잠자냥님이 올리는 책리뷰들 라든가?)에 아, 저도 읽었는데요, 라면서 댓을 달 나, 를 상상해 본다. 다 진짜 나라면 할 수 없을 일들.   


나라는 정체성에는 얼굴과 머리, 특히 뇌가 열쇠를 (아니라면 자물쇠를) 쥐고 있다. 2킬로그램이 채 안되는 젤로같다는 신체 기관. 온갖 신비로운 반응과 결정이 벌어지는 곳. 하지만 나의 뇌는 이제 예전 같지 않아 가물가물한 기억력으로 자신감을 잃은지 오래다. 과거의 내가 읽은 책을 오늘의 나는 모른다. 읽었는데 새롭다. 


서설이 길었다. 이래저래해서 베스트셀러 책이라 건너뛰었던 (알죠, 그런 마음. '익명의 독서중독자들'에도 나오는 그런 마음) 뇌과학 책을 이틀에 걸쳐 읽었다. 그리고, 어느 정도는 위로를 받았다. 그 위로와 감상은 다음 페이퍼로 써야겠다. 일단 현재의 나는 작은 놈 등교 후에 커피 좀 ...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3-09-14 11: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크흐 ㅋㅋㅋㅋㅋㅋㅋㅋ 누가 진짜 나인가. 제가 넘나 좋아하는 물음인 것입니다.
후속편 기다립니다. 쿠키는 같이 안 드시나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부만두 2023-09-15 18:41   좋아요 1 | URL
아침 밥을 많이 먹은 후라 쿠키 없이 커피만 마셨어요. ^^

공쟝쟝 2023-09-15 20:34   좋아요 0 | URL
가령 푸코라든가… ㅋㅋㅋㅋㅋ 유부만두님 푸코 좋아하는 거 나 안다 ㅋㅋㅋ

유부만두 2023-09-16 06:58   좋아요 1 | URL
얘기 했잖아요, 미셸은 나의 기억 속의 사람이라고. 물론 그는 글만 보라고, 자기 얼굴이나 인생을 알려고 하지 말라고 했어요. 자크가 죽던 날도 기억 납니다. 다들 갔어...

공쟝쟝 2023-09-16 10:22   좋아요 0 | URL
저는 그가 바스에서 한 일을… (헙..!!)
 

가브리엘 제빈의 번역서가 나왔다. 원서 사놓고 야무지게 묵혀놓았는데. 또! 추월당한 기분. 



<섬에 있는 서점>을 재미있게 읽었기에 기대하고 있다. 


소꿉친구인 두 사람이 함께 게임을 만들게 되면서 일어나는 일을 다룬 이 책은 대학생들이 기발한 아이디어와 플로피디스크 하나로 게임계를 뒤집을 수 있었던 1990년대 ‘문화의 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한 청춘 로맨스이자 성장물이다. 지적이면서도 다정한 제빈의 작품세계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마스터피스로, 롤플레잉 게임(RPG), 이인칭시점, 인터뷰, 게임 채팅 등 다양한 형식을 활용해 일과 사랑, 청춘이라는 삶의 주요한 키워드를 탐구한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 5막 5장의 독백에서 온 제목 ‘내일 또 내일 또 내일’은 게임이 지닌 무한한 재시작의 속성을 암시한다. 언제나 새로운 내일이 있고, 무엇도 영원하지 않다는 믿음은 <맥베스>에서 비관적으로 독해되는 것과는 달리 제빈의 소설에서 현재에 대한 긍정과 무한한 가능성으로 확장된다. 『내일 또 내일 또 내일』은 또다른 세계, 또다른 선택과 결과, 또다른 삶이라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그려보는 게이머의 유연한 사고와 태도를 우리에게 전하는, 모든 면에서 바다처럼 깊고 방대한 작품이다. <알라딘 책소개>


그런데 책 표지가 그 ... 그 ... 부산 바다, 맞지요?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remy 2023-09-10 12: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유부님, 부산 앞바다 농담에 킥 웃으며,
The Great Wave off Kanagawa
Print by Hokusai.

유부만두 2023-09-10 12:46   좋아요 2 | URL
한국 부산 엑스포 유치 홍보물에 쓰인 “누가 봐도 그 우키요에” 파도 그림 (도용?) 뉴스를 보셨는지요? (쓰면서 부끄럽고요)

Jeremy 2023-09-10 12:56   좋아요 1 | URL
네, 저도 봤어요. 너무 부끄럽고 수치스러워서
그런 것들이 판 치는 올 10월 말 한국여행은 포기!
남편 일본과 한국 출장에 덩달아 따라가려다
그냥 4년 후에!

Jeremy 2023-09-10 12: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사놓고 묵혀 두다가 지난 7월에 읽고 페이퍼도 썼었는데
한국어판 드디어 나왔군요!

유부만두 2023-09-10 12:36   좋아요 1 | URL
아, 그러셨군요. 전 너무 묵혔어요. 그런데 산 책이니 원서로 읽어야 하나 번역서로 읽을까 고민중입니다.

Jeremy 2023-09-10 12:53   좋아요 1 | URL
소설의 시대 배경이 제 삶의 궤적과 꽤 겹치고 또한 소싯적에
유행하는 게임을 두루 섭렵했는데도 이 책 읽으면서
Googling 정말 많이 했답니다. 워낙 Cultural references 로 넘쳐나서.
한국어 번역책이 어떻게 나왔을지 궁금하긴 합니다.

유부만두 2023-09-10 16:04   좋아요 1 | URL
번역서 읽기로 맘이 기우는데요? 전 게임도 많이 안했고 레퍼런스 이해할 자신도 없어요.
 

14세기 철학자 이븐 칼둔의 아싸비야를 만나면서 어린시절 놀이 노래 가사를 생각해본다.

권력자가 갖춰야 하는 능력이 이븐 칼둔의 트레이드마크와도같은 유명한 개념인 ‘아싸비야Asabiyyah‘입니다. 아싸비야라는 개념도 움란처럼 폭이 넓어요. 아싸비야는 ‘묶다‘ ‘감싸다‘라는 아랍어 동사에서 기원했는데, 매우 다양한 맥락으로 사용됩니다. ‘묶다‘라는 어원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사회적인 유대, 개인과 개인의 협력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한편으로는 ‘감싸다‘라는 어원이 말해주듯 자신을 점령하려는 자를 방어함을 뜻합니다. 점령하려는 자를 방어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나와 같은 편에 속한 사람의 적극적 협력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고 동시에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와 도전하는 정신이 필요하겠지요. - P1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도 느리게 나이 들 수 있습니다 - 나이가 들어도 몸의 시간은 젊게
정희원 지음 / 더퀘스트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은 비혼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오 2023-09-01 21: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남성 배우자 말고 알라딘 언니들과의 결혼이라면.. 행복할거같다!!

잠자냥 2023-09-02 02:10   좋아요 3 | URL
다부장 빼고 다 짝 있음

다락방 2023-09-02 14:13   좋아요 3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뭐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내 이 기분 어쩔거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부만두 2023-09-08 09:18   좋아요 1 | URL
다부장은 자체로 완전체 아닙니까? 짝이 따로 필요없음.

은오 2023-09-08 18:24   좋아요 0 | URL
제가 다락방님이 필요하긴 한데....

다락방 2023-09-08 20:36   좋아요 1 | URL
제가 보기엔 은오 님에게 저는 쓸모가 1도 없는데요 ㅋㅋ 지저분하고 ㅋㅋㅋㅋㅋ

은오 2023-09-08 21:54   좋아요 0 | URL
다락방님은 그점마저 귀여우셔서 괜찮습니다ㅋ 다락방님은 존재자체가 쓸모를넘어서는걸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읽는나무 2023-09-01 11: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끼 자루 썩어간다고 하셨지만 그래도 많이 읽으셨네요^^
김초엽 작가 소설 한 권만 읽어 본 책이네요.ㅋㅋㅋ

유부만두 2023-09-08 09:15   좋아요 1 | URL
그림 역사 시리즈는 부담 없이 읽기 좋았고요, 성냥 팔이 소녀랑 Odder는 어린이 책이에요. 더해서 네 권은 만화였으니 많이 느슨한 독서 기록입니다. (도끼 자루 확실히 썩었고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