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숙학교에서 공부하던 십대 소년이 어느 날 교장 선생님으로부터 엄청난 소식을 듣는다. 그의 양아버지가 사망했으며 그의 입양 서류가 정리되어 있지 않아 소년은 이제부터 자신의 원래 이름을 써야 한다. 정이 없고 근엄한 목사였던 양아버지였지만 양어머니의 사망 이후 정신줄을 놓았더랬는데, 입양 절차가 정리 된 게 아니었다니. 게다가 소년은 자신이 자란 영국 웨일스 사람이 아니고 저 멀리 체코 출신의 유대인이다니. 


소년은 이렇게 '진짜' 자신의 이름으로 돌아간다. 우선 학교 서류와 시험지에 아우스터리츠라는 이름을 쓴다. 그리고 성장하면서 글을 쓰면 거짓만 늘어놓는 것 같고 시가와 교외지역을 산책하면 어지러움을 느낀다. 옛건물과 자연을 좋아하는 (이제는) 청년은 길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두통과 연구 작업의 어려움은 자신의 진짜 과거와 맞서지 않으려는 무의식의 발로였음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유대인 박해가 심해가던 시기, 부모가 영국행 기차에 네 살이던 자신을 태웠던 그 기억이 청년에게 되살아났다. 아름답던 엄마와 보모와 함께 했던 산책길과 다람쥐까지. 이름과 입양 서류, 얼마 안 되는 정보를 쥐고 청년 아우스터리츠는 체코로 떠나 그곳 사무소에 도움을 청한다. 특이한 이름 덕에 몇 안 되는 동명들 중 한 명이 사는 주소로 간다. 그곳에는 한 노파가 살고 있었는데...


<아우스터리츠>는 이런 순서로 진행되지 않는다. 화자 '나'가 만나는 중년의 남자 아우스터리츠는 대뜸 자신의 연구나 기숙 학교 친구네 여름 별장 이야기를, 지금 그들이 서 있는 역 건물의 역사를, 정원의 아름다움과 나방의 섬세함과 비둘기들, 그리고 무덤 비석들의 쓸쓸함과 햇볕의 조각들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무엇보다 인간들의 고집과 잔인함 그리고 어리석음을 이야기한다. 아우스터리츠는 자신의 진짜 부모를 찾아 나선 여정과 그들을 '찾고' '만난' 이야기를 한다. 시각자료로 책에는 여러 흑백 사진과 그림들이 나온다. 전쟁의 잔혹한 행태, 특히 유대인 학살에 대한 기록과 전시물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그러니 아우스터리츠는 '진짜'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 그걸 전달하는 화자와 작가 제발트는 믿을 만 해 보인다. (난 정말 쉬운 독자) 하지만 텅빈 마음의 아우스터리츠가 가진 '심연'에 대한 이야기는 해답을 찾지 못한다. 시간은 무심하게 흐르고 인간은 계속해서 거대한 건축물과 시설로 옛 기억과 역사를 덮고 입을 닫으며 기억을 왜곡한다. 


복잡하고 어려운 소설이었다. 주인공 인물이 몇살에 어디에 있는지 집중해서 따라가도 그의 파란만장한 인생만큼이나 힘든 독서였다. 하지만 놓을 수 없는 책이다. '기억'과 '진짜 자신'이라는 주제로 여러 다른 (어려운) 책들과도 연결된다. 생각나는 건 우선 그 책.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수하 2023-10-12 08: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 책…?

유부만두 2023-10-12 08:14   좋아요 1 | URL
차마 글로 못 쓰는 그 책이요. ㅍㄹ ㅅ ㅌ의 그 시리즈 그 책이요.

건수하 2023-10-12 08:18   좋아요 0 | URL
아! 뭔지 알겠습니다 ㅎ 왜 차마 글로 못쓰는 책인지는 모르겠지만… ^^

유부만두 2023-10-12 08:22   좋아요 2 | URL
제가 그 책을 읽겠다고 2018년 부터 공언 하고 실언 되고 .... 반복이라서요;;;

건수하 2023-10-12 08:48   좋아요 0 | URL
그러셨군요. 그 책은 읽어도 읽었다고 말하기 좀 애매한 그런 책인 것 같습니다 ^^;;;
 

욘 포세의 <3부작>에는 갈등을 겪는 엄마-딸이 세 쌍 나온다. 


여주인공 알리다는 아버지의 실종 (혹은 가출) 후 엄마와 언니, 단 셋이서 작은 농장을 일구며 산다. 엄마를 닮아 밝은 피부를 가진 언니에 비해 검은 편인 알리다는 툭하면 '아빠 닮아서 못났다, 게으르다, 멍청하다'는 핀잔을 듣는다. 엄마와 언니는 한 편이 되어 알리다를 구박한다. 그래서인지 집에 정을 붙이지 못하던 알리다는 밖으로 나돌고 열일곱의 첫사랑을 만났다. 알리다는 떠나고만 싶었다. 그리고 못마땅한 사위를 째려보던 알리다의 엄마는 ... 


도시 벼리빈에서 청년 아슬레에게 추파를 던지던 도시의 여인은 (나오는 묘사를 보면 역시 십대 후반에 지나지 않는다) 엄마인 '노파'와 목청 높여 싸운다. 엄마는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라며 딸의 행동거지를 지적하지만 경제적으로나 도덕적으로 이미 딸은 엄마의 울타리를 벗어난지 오래다. 이 집의 아버지는 이 싸움엔 별 관심도 두지 않고 자기 나름대로 술 한 잔과 돈 몇 푼을 삥 뜯을 생각에 분주하다. 이 집 딸도 아빠를 더 닮아서 염치없이 남의 것을 탐하고 악을 쓴다.


그리고 이들의 갈등과는 달라 보이지만 함께 하기 거북하고, 서로의 속내를 모르고 오랜 세월 함께 살았던 모녀, 엄마 알리다와 딸 알레스가 있다. 딸이 나이들어 엄마의 나이가 되고도, 어쩌면 사라질 당시의 엄마 나이를 지나고서도 딸은 엄마와 한공간에 있다는 생각 만으로 불편하다. 엄마의 '존재'가 부엌에 있다면 거실로 나가고, 거실에 서 있다면 침실로 발길을 돌린다. 도망가는거니? 알리다의 엄마와 달리 알리다는 자신의 딸들은 자상하게 키웠(겠)지만 그 딸은 나이들어서도 엄마의 부재가 차라리 익숙하다. 엄마의 가슴 속의 그 첫 사랑 이야기는 다 알고 있지만 자신은 엄마의 애닲은 사연의 계보보다는 단단한 지방 유지 아버지의 핏줄을 따른다. 덤덤하고 둔중하게. 하지만 그래도 알레스는 엄마 딸인가 봄. 비오는 날 그 바다로 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몇년 전에 <오사카 소년 탐정단>을 재미있게 읽었기에 2편이자 시리즈 마무리를 부담 없이 집었다. <시노부 선생님, 안녕>은 1편에서 3년이 흐른 이후의 초등 여교사(였지만 휴직+대학에서 학업 중인) 시노부와 이제는 중학생이 된 예전 제자 아이들, 선생님에게 구혼하는 남자들, 그리고 주변의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을 그린다.


시리즈 원제와는 달리 아이들이 직접 탐정 활동을 하지는 않는다. 대신 선생님의 관찰과 참견으로 사건의 실마리를 풀고 구혼자인 경찰의 조력자가 된다. 허지만 선생님의 그 참견, 혹은 참여가 과하게 느껴지는 장면이 많다. 무엇보다 초등4-5학년 때 담임 여자 선생님이 중학생 남자 제자들과 스스럼 없이 동네 누나 혹은 이모처럼 지낸다는 설정이 어색했다.

등장하는 여자 인물들은 하나같이 ‘스테레오타입‘이다. 나약한 싱글맘은 용의자X의 헌신을 떠올리게 하고 학교 선생님을 향한 갑질에 가까운 요구를 하는 극성 학부모회 엄마도 나온다. 염치 없이 이기적인 할머니와 운전학원에서 운전 배우기보다 잘생긴 남자 강사에게 관심을 쏟는 아줌마, 밥차리기와 셔츠 세탁이 자신이 없다는 것으로 결혼을 망설이는 여주인공 등 ... 여자 주인공을 내세운, 표지에 당찬 운동선수로 그려놓은 소설치고는 너무 후지다 싶었는데 어쩐지 ... 30년 전에 나온 소설이었다;;;;

여자 선생님이 주인공이지만 설정만 여성일 뿐 남자 작가의 남자 주인공 소설이다. 가볍게 읽자 했는데 사건 해결이 가벼울 뿐 사건마다 사람들은 죽고 다치는데 문제를 해결하면서 어쩐지 ‘죽을 만 했다‘ 내지 ‘피해자도 잘못이다‘라는 분위기를 만들어서 마음이 영 찜찜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올해 노벨상은 루슈디가 아닐까 생각했다. 피습 당해 한 눈을 잃었고 신간을 계속 내고 있는데다 작년엔 여성 작가였으니까. 그런데 욘 포세라는 낯선 스웨덴 작가라고. 검색을 해보니 번역서가 이북으로도 나와 있어서 저녁 8시30분에 읽기 시작했다. <3부작>이라고 해서 세 권짜리인가 했는데 세 중(단)편 연작소설집이다. 1,2부는 밤에 읽고 새벽에 마무리 3부를 읽었다. 


번역탓인지 문체가 원래 이런지 툭툭 끊어지고 단어가 계속 반복된다. 하루키 식의 한 얘기 또 하는 거랑은 다르게 문장과 단어를 반복하는데 바로 이것이 욘 포세 작가의 특징이라고. 음악적이라고도 하던데 비트나 리듬이 느껴지진 않았다. 소설의 배경과 인물들의 정보는 섬세하게 묘사되기보다는 반복되는 단어들로 이야기를 차곡차곡 쌓아가는 느낌이다. 옛날 설화 읽는 기분이 들었다. (이스마엘 카다레 분위기도 있음)


첫 1부 <잠 못 드는 사람들> 

초가을, 비 내리는 낯선 도시에서 열일곱 두 어린 남녀 아슬레와 알리다는 묵을 곳을 찾는다. 세 놓을 방이 있나요? 라고 해도 선뜻 이들 이방인, 심지어 여자는 배도 불러있는데, 에게 문을 여는 사람은 없다. (성모 가족의 베들레헴 방문이 연상된다) 이들은 불안하고 춥고 피곤하다. 어서 발뻗고 쉬고 싶어. 그런데 불안한 마음을 각자 마침표 없는 문장으로 속으로만 삼킨다. 마침표 없는 문장, 소설 전체를 한 덩어리로 만드는 것이 작가 스타일이라고 한다. (하지만 편집 탓인지 소설 중간 중간 잊을만하면 마침표가 수십 개씩 튀어나온다. 쉼표의 오타인가?) 이들은 (일을 저지르고) 야반도주해서 고향 시골마을을 떠나온 상태다. 도시로 가면 뭔가 되겠지, 잘될거야, 라며 순진한 말만 서로에게 위로삼아 건넨다. 주인공들은 잠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졸다 깨다 꿈과 과거 그리고 현실을 뒤섞으며 겪는다. 자고 싶어도 "잠 못 드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현실은 고되다. 아버지들은 없고 어머니들도 없거나 있어도 없느니만 못하다. 가족은 없고 핏줄 혹은 운명만 남아서 자신들을 붙잡고 있다. 바이올린과 음악이 남자의 운명이라면 아빠 닮아서 밉상이라는 저주만 듣고 자란 여자는 망할 운명인 셈이다. 냉정한 도시의 밤, 천신만고 끝에 그들은 새 생명, 첫 아들을 낳는다. 


2부 <올라브의 꿈> 

아슬레와 알리다는 과거와 연을 끊기로 한다. 아슬레는 올라브가, 알리다는 오스타가 된다. 이제 아기까지 세 사람은 한가족으로 잘 살아가려고 결심한다. 그러기 위해서 제일 먼저! 그들은 합법적인 부부로 인정 받아야한다. 그래서 반지를 사려고 그들이 잠시 머물렀고 아기가 태어났던 도시 벼리빈에 올라브가 반지 사러 간다. 아, 여기부터 불안했다. 어리숙한 올라브는 행복한 가장, 어른이 되는 꿈을 품는다. 하지만 누군가 과거의 그를 알아보고 쫓아온다. 다른 사람들은 그를 회유하고 협박하고 흥정을 한다. 이들 중 누가 그의 코를 벨지 목까지 벨지 '도시에 살고 있는 나이 많은 독자'는 조마조마하다. 술집에 왜가? 첨 보는 사람을 왜 믿어? 여기서 또 왜 자? 올라브는 너무 나약해 보인다. 호인으로 그려지는 호탕한 오슬레이크도 불안하다. 불안한 예상은 빗겨가지 않는다. 올라브의 꿈은 꿈으로 끝나버린다. 올라브와 오스타는 이제 없다. 


3부 <해질 무렵> 

화자는 나이든 알레스. 처음 나오는 이 여인은 알리다의 딸이다. 수십 년 전 그 무서운 도시 벼리빈에서 알리다는 혼자가 되었고 고향 사람 오슬레이크 (25살 쯤 연상)가 그녀를 거둔다. (다시 마리아와 연상의 노총각 요셉을 생각한다) 이것 말고는 살아갈 길이 없어 보인다. 알리다는 '사라진' 아슬레를 보고 그의 목소리를 듣는다. 그는 알리다에 빙의(는 아닌데, 그녀 안으로 들어와)로 그녀에게 오슬레이크를 따라가라고 그게 좋은 길이라고 일러준다. 알리다는 아슬레의 말을 따른다(고 하면서 결정의 책임은 비켜간다). 오슬레이크는 아슬레의 사정을 (알리다는 몰랐을) 사건들을 일러준다. 그런데 오슬레이크의 그 팔찌는 어디간걸까, 왜 이 사람은 도시에서 아슬레를 만났을 때 다르게 행동했는지 나는 영 찜찜해. 오슬레이크는 자기 집안의 내력을 읊는데 그 퍼즐에 딱 들어 맞는 알리다의 자리가 보인다. 게다가 오슬레이크의 지시대로 배의 키를 잡아 배의 정박을 해내는 알리다. 자신의 운명의 자리는 여기인가보다. 밥해주고 빨래해주고 애 낳아주고, 그리고 바다로 돌아가는 것. 자기 핏줄대로 가는 것. 하지만 끝까지 집에서 얼쩡대는 엄마 유령이 불안하고 꺼려지는 나이는 딸 알레스. 해질 무렵, 비도 부슬거린다. 그 옛날 집집마다 문두드렸던 어린 부부 아슬레와 올라브가 떠오른다. 이 모든 이야기를 노래하는 시인/작가는 어제 노벨상을 탔다. 올라브의 꿈은 그러니까 이루어진겨?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수하 2023-10-06 10:3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와 아침에 읽으신 걸 봤는데, 어젯밤부터 읽으신 거였어요?!

노벨상 후보 보면서 처음 이름을 본 작가인데 유부만두님 덕분에 조금 알아갑니다 ^^

유부만두 2023-10-06 12:02   좋아요 2 | URL
저도 처음 알게 된 작가에요. 설화 같기도 하고 여러가지 연상시키는 이야기에요.
이렇게 넓은 문학의 세계를 배워갑니다. ^^

2023-10-06 11: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0-06 1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은하수 2023-10-06 11:1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정말 난생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작가였는데...
북유럽 작가라니... 작년도 올해도 유럽이 가져가네요.
그런데 작년도 올해도 사실 제가 좋아하는 취향의 작가들은 아니네요
저 이런 끊어지는 문체가 도통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저도 이 작가의 책 지금 읽고 있거든요.
<아침 그리고 저녁>이요. 근데 노벨 위원회 사람들은 이런 작가들을 좋아하는 걸까요???
읽고는 있지만 좋아하게 될가 싶어지네요.
노벨 위원회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싶은 ...
지극히 제 개인적인 취향입니다. ^^

유부만두 2023-10-06 12:05   좋아요 2 | URL
제게도 큰 울림을 주는 소설은 아니었어요. 툭 툭 끊어지는 문장들이 어색하더라고요. 그래도 어제 발표 보고 바로 찾아서 읽어서 나름대로 뿌듯해요. ^^

은오 2023-10-06 19: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욘 포세가 만두님께도 낯선 작가였군요..!! 발표되고 또 이렇게 금방 읽으신 것도 대단 ㅋㅋㅋㅋㅋ
문학알못인 저는.. 아직 읽을 작가가 많으니 패스하겠습니다. ㅋㅋㅋㅋ

유부만두 2023-10-07 07:44   좋아요 0 | URL
책이 얇아요. 어렵지 않아서 한 자리에서 다 읽을 수 있어요. 여러 다른 작가의 작품들이 연상되는 이야기에요.

새파랑 2023-10-06 20: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벌써 읽으셨다니 대단하십니다~! 처음 들어본 작가여서 궁금하긴 한데 썩 좋지는 않은가 보네요ㅡㅡ

유부만두 2023-10-07 07:46   좋아요 0 | URL
제 취향엔 딱히 맞지 않았을 뿐이에요. 너무 슴슴하달까... 이야기의 원형을 추구한 작가님의 원대한 취지가 있었겠지만 전 재미!!!를 외치는 독자라서요.

책읽는나무 2023-10-07 07: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만 낯선 작가 아녔군요?
다들 낯설어 하시다니...
다행입니다.ㅋㅋㅋ

유부만두 2023-10-07 07:46   좋아요 1 | URL
그쵸. 다행이죠. ㅋㅋㅋ 이렇게 알아가는거죠.
 

<비블리아 고서당> 시리즈를 쓴 미카미 엔의 소설이고 비슷한 틀을 가지고 있다. 옛 문화(고서당, 아날로그 사진)에 대한 그리움과 생활밀착형 추리극. 


외할머니가 돌아가신 후 할머니 댁으로 내려온 이십대 여성 마유. 할머니는 100년 넘는 역사의 사진관을 경영하셨기에 그 사진관의 물건을 정리해야한다. 마유도 대학생 시절까지는 사진을 전공으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느 날, 마유가 찍은 사진이 빌미가 되어 가까운 친구를 잃었고 사진도 그만 둔다. 자연스레 그후 마유는 외할머니댁에는 발길을 끊었다. 


오랫만에 돌아온 사진관에는 관리인이 머문 흔적이 있고 그가 데려왔다는 까칠한 길고양이가 드나든다. 더해서 오래된 기구들과 서류, 고객들이 찾아가지 않은 필름이나 데이터의 현상물들이 남아있었다. 그리고 거기에 담긴 기억과 미련들. 마유는 사진들의 주인을 찾아 주어야겠다고 생각한다. 동네에서 어린 시절의 자신을 알던 가게 아저씨, 근처 별장이 있다는 수려한 외모의 청년 마도리, 예전 대학 시절의 사진부 선배를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그들이 자신보다 훨씬 더 할머니 그리고 사진관과 오래된 인연임을 알게된다. 


마유의 예전 친구 그리고 사진과의 화해가 중심 이야기라면 동네 주민 둘(+둘)을 둘러싼 사진관 할머니 (그리고 증거가 될 사진들)의 관계도 중요하게 엮여있다. 정을 주고 받는 사람 사는 이야기, 디지털 시대에 다시 없을 아름다운 추억같지만 주위 사람들의 과오를 용서한 줄 알았던 할머니가 실은 주위 사람들의 비밀의 증거를 움켜쥐고 있었기에 무섭게 느껴진다. 비블리아 고서당 여주인공의 어머니 같은 캐릭터다. 하지만 이 소설에는 모든걸 다 아는 할머니 옆에 많은 걸 잊은 치매 할머니도 나온다. 기억이 여기에서도 키워드가 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하수 2023-10-04 09: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두 시리즈 비블리아, 니시우라 다 좋아해서 한 권, 한 권 모으는 재미로 읽었었죠. 추리도 가미되니 추억 돋는 가을에 읽기에도 넘 좋을듯 합니다^^

유부만두 2023-10-04 22:43   좋아요 0 | URL
그쵸. 저도 비블리아 시리즈 좋아해서 가끔 꺼내 읽어요. ^^

책읽는나무 2023-10-04 15: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읽었었는데....마도리, 마유 이름은 얼핏 기억나는데.....할머니, 특히 치매 할머니는 전혀 기억나질 않아... 그럼 그렇지! 저의 치매같은 기억력 키워드를 가지고 갑니다.
근데 이런 책도 읽으시는 만두 님이 어쩐지 좋네요^^;;

유부만두 2023-10-04 22:44   좋아요 2 | URL
이런 책!!!! 제가 미카미 엔의 비블리아 고서당 시리즈를 얼마나 좋아하는데요?!?!
일드도 몇번이나 봤고요, 영화도 보고 심지어 만화판6권 짜리도 갖고 있습니다. 미카미 엔의 대담집도 재미있어요.
니시우라 사진관 보다는 비블리아가 더 재미있고요.

은하수 2023-10-05 00:06   좋아요 2 | URL
그쵸
역시 비블리아죠!^^
가리지않고 읽는거 넘 좋아요~~
저도 비블리아는 차마 처분 못하겠더라구요

책읽는나무 2023-10-05 06:49   좋아요 2 | URL
비블리아 도반 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