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가제,

솔직히 말해서 잘 모르겠다.

 

아주 오래전에 돈이 별로 없을 때, 밥을 굶어가면서 밥값으로 책을 사서 읽던 때가 있었다.

그때는 돈이 생기면 우선 책을 사는 것이 일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솔직히 책만큼이나 좋은 것들이 아주 많은것을 알아버려서 말이다.

이젠 책값이 비싸면 책구입을 망설이게 되더라.

책값을 아껴서 맛있는 것을 사먹는 것도 좋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책값을 아껴서 낡아빠진 옷을 버리고 새 옷을 사는 즐거움도 좋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책값을 아껴서 실제 세상을 여행하는 것이 참 좋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출판업계를 살리기 위한 방편은 도서정가제 외에는 없을까?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가격정가제를 도입했던가?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해 소비자를 생각하지 않은 가격정가제를 언급하는가....

더구나 책은 생필품도 아니다.

 

솔직히 도서정가제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했기 때문에 이런 나의 의문에 대해 뭐라 토달지 않았으면 좋겠다.

내 생각의 정리에 도움이 되는 말이라면 환영이지만 뭐....

 

당분간 - 솔직히 몇년이 될수도 있다 - 신간도서를 구입하지 않더라도 나는

이미 집에 소장되어 있는, 읽지 못하지만 새로운 책이 나오면 신 나게 구입하곤 했던 새 책들이 너무도 많아서

- 게다가 그 책들은 '좋은' 책들이다!-

책값이 오른다면 집에 있는 책들을 읽는 것으로 연명할지도 모른다.

 

출판과 유통에 관한 전반적인 논의는 어디로 가고 오로지 우리의 출판사를 살리는 것은 도서정가제뿐이다,라 말하는 것 같아서 오히려 마음이 엇나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좀 더 솔직히 말하자면 내 욕심은 좋은 책을 적정한 가격에(연봉수입이 그리 많지 않은 나로서는 기왕이면 좀 저렴하게) 구입하고 싶은 것이다.

그게 아니면 가까운 곳에 도서관을 지어주시라! 외치고 싶을 뿐.

 

 

 

 

 

 

앗, 그런데 생각해보니... 내가 좋아하는 명탐정 코난, 원피스...도 구입을 망설여야하는건가? ㅠ.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INY 2013-01-24 16: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직장 앞에 시립도서관이 있어도 책을 사는걸요. 시립도서관이 제 취향을 다 커버해주지는 않으니까요.
비싸도 책을 사는 사람은 산다? 글쎄요...집에 있는 책들 중 절반 정도는 정가였다면 안사고 참았을 책입니다.

chika 2013-01-24 18:08   좋아요 0 | URL
도서관이 내가 읽고 싶은 책을 다 구비해주지는 않죠. 더구나 읽고 소장하고 싶은 책들이 많은 저도 도서관 이용은 잘 안할것같아요. 하지만 책값이 비싸다면 저도 지금 소장하고 있는 책의 절반 정도는 구입하지 않았을지도 몰라요.

진짜 읽고 싶은 책이라면 비싸도 산다,일 수 있지만 문제는 그런 책이 얼마나 많은가 라는 점이죠. 읽을 책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는데 그 비싼책을 지금 당장 구입할 필요는 없으니 차츰차츰 뒤로 미뤄두게 되고 그 사이 좋은 책들은 마구 쏟아지니 읽고 싶은 욕구가 무지 강하지 않으면 안읽게 될수도 있고....

근데 솔직히 책 읽는 사람들에게는 민감한 문제가 되고 있는거겠지만 대부분은 신경도 안쓰고 있는 문제일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한달에 한 권 읽을까 말까 하는 사람들에게 책은 없어도 불편하지 않은 정도가 아닐까 싶어서. ;;;
 

오랫만에 추적거리는 비가 내리니 과히 나쁘지만은 않네. 오늘 저녁은 집에 가는 길에 부추를 사 들고 가서 부추를 가득넣은 김치부침개를 해 먹을까? 요즘 야채값이 장난아니게 비싸서... 부추도 꽤 비싸게 팔던데.

 

이런 책을 보면 왠지 사고 싶어진다. 요리에는 소질이 없으니 책으로라도 배워야한다는 생각을 해서일까? 그러고보면 집에는 이렇게 기본적인 요리책뿐만 아니라 2천원으로 해 먹는 간단한 자취생 요리법이 적힌 책에서부터 시작해서 괜히 고급스럽게 느껴지는 리헤의 밥상까지 책이 널려있는데 제대로 해본적은 없다. 레시피도 한번 살펴보고 나면 그 다음에 할 때는 대충 순서와 재료의 양을 뒤섞어 해버려서 맛이 오락가락할때도 있고. 요리실습 한번 해보려고 비싼 재료를 사는것도 망설이니 날마다 내가 하는 것은 온갖 재료를 섞어가면서 해 먹는 부침개와 볶음밥과 찌개뿐.

리조토 흉내를 낸답시고 밥과 토마토소스를 넣고 뭉근하게 끓이다가 중간에 넣은 시금치가 잘 안익는 바람에 따로 냄비에 넣어서 물을 더 집어넣고 끓이느라 죽처럼 만들어 먹은 기억도... 쓰읍~

아무튼 내 유일한 밑반찬은 오징어포무침. 무우값이 좀 내리면 무우장아찌를 좀 하고 싶었는데...

아, 그러고보니 백김치를 시도해본다는 것도 못하고 있고....

근데 오늘 점심에 국수를 먹었는데, 그게 좀 부실했나? 완전히 음식생각에 빠져들고 있다. ㅠ.ㅠ

 

 

비오는 날, 따뜻한 부침개와 갓 나온 신간 만화책을 펴들고 여유롭게 드러누워있는 것.

이건 하나의 공식이야!

 

 

 

 

 

그런데 문득 궁금해지는 것 하나. 게스트하우스에선 아침에 뭘 먹을까? 빵과 커피?

 

 

 

 

 

 

 

 

 

 

 

 

 

우라사와 나오키의 단편,은 어떨까.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점이 있지만, 불행한 가정은 제각각 다른 모습으로 불행하다"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의 불후의 명작 [안나 카레니나]의 첫 문장이다.

라고 시작되는 책은 강상중의 '살아야 하는 이유'이다. 지금 이 책을 펼쳐들고 읽고 있는데 빨려들어가듯이 읽고 있지만 생각의 속도가 따라가지 못할 듯 하여 잠시 멈추고 있다. 책의 제목은 왠지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지만 저자의 이름은 이 책을 펼쳐들게 하는 힘이 있다. 그의 글을 읽어 본 사람들은 알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또치 2013-01-22 0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chika 님, 저 제주에 내려와 일년째 잘 살고 있습니다. 인사가 넘 늦었네요 ^^;;
정실 입구의 단독주택 2층에 살고 있어용.
게스트하우스에선... 주로 식빵 토스트 + 커피나 주스인데, 어떤 집은 카레도 주고, 주변에 식당이 없는 어떤 게스트하우스에선 거하게 한 상 차려주기도 하더라구요. 여행자로 돌아다닐 땐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잘도 다녔는데, 막상 정착하니 20분만 걸리는 곳도 '아, 멀다...' 하고 있어요 하하.

chika 2013-01-23 09:33   좋아요 0 | URL
아, 벌써 일년이 지났나요? 이제 이십분만 걸리는 곳도 멀다..라 느끼시면 완전 제주사람 되어버린거네요. ㅎ
저도 어머니가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해서 일년이 넘었으니... 시간이 훅~ 지나가버리는 것 같아요. 너무 여유없이 살았네요. 이곳은 생각했던만큼 좋은지 궁금하네요.
(저, 사실.. 제가 어릴땐 '정실'이라면 아주 머나먼 곳으로 생각했었어요. 더구나 교도소가 있어서요. 이젠 그곳도 많이 개발되었더라고요 ^^;;)
 

 

움베르토 에코!

지적 사유의 유희를 즐기기에 내 지적인 수준은 그닥 언급할꺼리가 없어서 움베트로 에코의 책을 무조건 좋다라고 말할수는 없다.

하지만 오랫만에 읽게 되는 에코의 책인지라 기대는 된다. 바쁜 일 좀 지나고 여유가 생길 때쯤 책이 도착하려나?

 

 

 

 

 

 

 

 

 

 

 

 

 

 

 

 

 

 

 

 

 

 

 

 

 

물만두 추리소설 리뷰대회가 있어서 더 그렇게 보이는건가? 장르소설은 여름이 되면서 마구 쏟아져나온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이 시기에도 많이 나오는구나.

겨울에는 누가 뭐라해도 이불 뒤집어 쓰고 읽는 연작소설이 최고였는데,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없는 건 이불을 뒤집어 쓰고 보낸다는 것 뿐이고 책을 읽는 것도 예전같지 않다.

어제는 저녁을 너무 많이 먹어서 아무 생각없이 집에 들어가 후다닥 씻고 바로 이불 속으로 들어가 비몽사몽 헤매다 자버렸고. - 사실 지금도 모니터 쳐다보고 있다가 졸고 있어서 도무지 일은 못하겠고 새로나온 책이라도 뒤적거리면서 정신 좀 차려야겠다, 싶은 맘에 두리번 거리고 있지만 그 와중에도 여전히 졸음은 쫓아내지 못하고 있다.

 

 

 

 

 

 

 

 

 

 

날마다 좋은 문장을 읽으면서 하루의 시작을 묵상으로 하던 때도 있었고, 하루에 한마디씩 좋은 글귀를 경구삼아 읽던 때도 있었지만 이제 그런 글들이 마음을 울리기보다는 아무 생각없이 지나쳐버리고 있는 날이 더 많아져 '긍정의 한 줄'이라는 책은 몇년째 먼지만 쌓아올리며 펼쳐놓지 않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이 글은 어떨까. 정호승 시인의 글은 오래전에 나온 시를 읽으며 좋아했더랬는데.

발표되지 않은 산문들을 골라낸 것이라고 하니 뭔가 새로운 느낌이 들지..

 

지금 생각해보면 그리 힘들일도 없고 혼자 애쓰면서 기를 쓰고 덤벼들 일도 아니었는데 그당시의 나는 도무지 감당하지 못하는 일들이라고 생각하며 이리저리 치이고 있었을 때 내 마음을 울린 성경 구절이 있기는 하다. 새번역성경이 나오면서 문구가 좀 바뀌기는 했지만 이전 공동번역에서는 "내가 네 힘이 되어 주겠다"라는 하느님의 말씀이 적혀있었고, 어느날 신부님을 통해 들려온 그 말씀은 말 그대로 내 힘이 되어주는 것이었는데....

 

 

 

 

 

 

 

 

 관심이 가는 요리책도 있고, 빵을 좋아하니까 그냥 책을 보는 것만으로도 맛있을 것 같아 보이는 빵의 위로도 좋아보이고 채식밥상은 실질적으로 내 밥상에 도움이 될 듯한데... 똑같은 '셰프'라는 제목이 있어도 저 노랑 셰프는 요리책이 아니라 소설책이 되겠다.

두 가지의 연결고리.

 

선비의 멋 규방의 맛...이 연결고리가 될라나?

 

 

 

 

 

 

 

어째 요즘은 소설이 눈에 잘 안들어온다.

아니, 가만 생각해보니 거의 모든 책이 눈에 잘 안들어오는데 뭘.

 

 

 

 

 

 

 

 

 

 

유리가면이 나왔다!

분명 이거 신간알림을 해놓은 것 같은데 메일이 오지 않는군. 재설정!

책 주문을 하고 받은 박스를 채 정리하지도 않았는데 다시 책 주문을 해야하나, 싶다.

 

 

 

 

금요일 주문건이 걸리면 망설이게 된다. 월요일 하루배송으로 하면 그날 받을 수 있는데 금요일, 지금 주문하면 대부분 수요일쯤 받게 되니 말이다!

주말을 넘기고 주문해야지. 주말에는 장바구니를 조금 더 채워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이 불어오는 곳, 그곳으로 간다.

미친 바람이 불어오기 전,

나는 내 사랑하는 섬을 데리고

그곳을 찾아 떠나간다.

해군기지도, 케이블카도 없는

더 이상 내 사랑하는 섬에 생채기를 내는 위협이 없는

진정 평화의 섬이 될 수 있는

그 곳으로.

바람타는 섬이 되어

나는 간다.

 

 

 

 

 

 

 

 

 

 

 

 

========================== 바람부는 섬,이라는 작품을 보자마자 생각난 것은 그런것이었다. 미친 바람이 불어오기 전에 섬을 데리고 떠나가고 싶다!는 소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요 미메시스 그래픽노블
크레이그 톰슨 지음, 박여영 옮김 / 미메시스 / 2012년 11월
절판


어린 시절에 덮었던 커다란 담요는 세월이 흐르면서 자꾸만 작아져간다. 세월이 흐르면서 작아져만 가는 것은 비단 담요뿐만이 아닐것이다. 어머니와 나란히 설때마다 내 키가 더 커지는 것은 아닌데도 자꾸만 줄어드는 어머니의 모습이 낯설었던 것도 잠시, 이제는 그것마저 익숙해져가는 시간들이 쌓여가고 있다.

[담요]는 첫사랑의 아름다움과 가족의 사랑, 성장통이 세심하게 그려진 작품이다.

한컷 한컷 보여주는 에피소드는 책을 읽는 사람에 따라, 읽는 시기에 따라, 심지어 방금 읽고 지나갔는데 다시 책을 펴들었을때에도 느낌이 다르게 다가올 것이다.

하고 싶은 이야기는 많지만 그 많은 이야기들은 오로지 나의 것이 될 것이다. 저자가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와 같을수도 있지만 다른 이야기도 많을것이다. 그래서 이 책의 내용이나 에피소드, 나의 느낌들에 대해 줄줄이 늘어놓는 것은 하고 싶지 않다.

나는 다만 지금 나의 느낌이 가는대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들 중의 하나를 끄집어내어 보여주고 싶을뿐이다.




책을 읽은 사람들은 이 그림이 무슨 의미인지 한눈에 알아볼 것이다.

하지만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 역시 그 뒤에 이어지는 그림을 보고 그 의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아련한 추억들... 벽에 그려진 그림은 이처럼 페인트칠로 지워져버릴 수 있겠지만


차마 지워지지 않는 것은 있을 것이다.

하얀 눈 위의 발자욱은 새로운 눈이 쌓이면, 혹은 (저자가 좋아한다는 '혹은'이다)

눈이 녹아버리면 사라지겠지만

하얀 눈 위에 발자욱을 남겨본 사람은 안다. 그 눈위를 걸었다는 것은 그 마음속에서 지워지지 않는다는 것을.




내일 내가 덮을 담요는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