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식 가는 길
존 버거 지음, 김현우 옮김 / 열화당 / 2020년 9월
평점 :
멜론 조각 같은 목소리가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해본다. 무르고 달콤하지만 잊혀지지 않는 향기같은 것.
귀가 아니라 몸 안으로 퍼진다는 음악의 촉각을 떠올려본다. 시간을 유리병에 담을 수 있다면, 으로 시작하는 짐크로스의 음악을 들었을 때(그것은 엑스맨의 퀵실버 테마 쏭이다), 기타 선율이 몽글몽글하여 시간을 유리병 바깥에 맺혀 떨어지는 물방울처럼(애석하게도) 느낀 적이 있었다. 돌이켜보면 알맞은 순간에 내게 도달한 어떤 음악들은 언제나 공감각적이었다. 그렇지만 이 소설이 아니었더라면, 음악을 만질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이렇게까지 생생하게 하기는 어려웠을 것 같다.
아🤭, 이런게 소설이 주는 간접 경험이라는 건가. 간접 경험이라. 지금까지 난 그걸 그냥 국어 시간에 글로 배운(ㅋㅋ) 소설의 기능 같은 거라고 여겼던 것 같다. 감정 이입은 할 수 있어도 간접 경험🤔? 종종 소설을 읽으며 주인공을 따라 ‘간접 모험’을 떠나기는 해도, 이 정도(!)의 수준에서 간접적으로 ‘경험(체험)’하는 듯한 느낌을 받아본 소설은 정말인지 오늘이 처음이었다.
마지막 결혼식 장면이 눈앞에 펼쳐지는 데, 식장에서 나오는 음악이 온몸에 퍼지는 것 같더라니까. 정작 그 음악이 뭔지도 모르면서...말이다. 뭐냐, 이게 정말로 레알루다가 잘 쓴 소설이 줄 수 있는 뭐 그런 쾌감인가? (버뜨, 막상 소설의 서사는 잘 따라가지 못함)
해가 떠 있을 때 더 멀리 퍼진다는 커피 냄새를, 전차에서도 건물의 오층에서도 열려있는 창문만 있다면 함께 맡아볼 수 있는 갓 구운 빵의 냄새를. 읽었다. 그러니까. 나는 읽었는 데.
“(33)눈이 먼 상태는 영화와 비슷하다. 눈이 코 위에 양쪽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가 이끄는 곳에 있기 때문이다.”
읽었을 뿐인데, 정작 머릿속에서 생생하게 플레이되는 미각, 청각, 촉각, 후각 이 모든 것들을 아우르는 것은 시각. 신기하다. 문자로 이루어진 그것들을 모두 느꼈지만 왜 ‘본 것’만 같았던 것일까. 재밌는 것은 이것들을 ‘보여’주는 소설 속 ‘나’는 파랑색과 흰색이 섞인 근사한 넥타이를 한 맹인이었다는 거고. 더 재밌는 것은 이 소설을 쓴 ‘존 버거’를 나는 그의 책 <다른 방식으로 보기>라는 미술 비평으로 만났던 적이 있었다는 것이다. 논픽션도 인상적이었는 데, 와. 픽션으로 다른 방식을 ‘보여줘’버리다니. 존 버거 천재네.
“(11) 렘베티카에 맞춰 춤을 출 때면 음악이 만들어내는 원 안으로 걸어 들어가고, 음악의 리듬은 울타리가 있는 동그란 우리가 된다. 거기서 당신은 한때 그 노래를 살았던 남자 혹은 여자를 앞에 두고 춤을 춘다. 춤을 통해 당신은 음악이 뿜어내는 그들의 슬픔에 경의를 표한다. ”
보이지 않는 화자를 내세워 보이지 않는 것들이 보이도록 썼다. 음악이 들렸고, 아니 보였고, 냄새를 맡았고, 아니 보았고…, 그리고 나는 이 길지 않은 소설을 읽으면서 아주 아주 새삼스럽게 소설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봤더란다.
“(18) 소설 읽기의 진정한 희열은 *세계를 외부가 아니라, 안에서, 그 세계에 속한 등장인물의 눈으로 바라보는 데서 시작*됩니다. 소설을 읽을 때 우리는 다른 그 어떤 문학 형식도 제공하지 못하는 속도로, 전체 풍경과 찰나의 순간을, 일반적인 생각과 특별한 사건 사이를 오갑니다.” - 오르한 파묵 <소설과 소설가>”
2022년 소설왕(두둥-)을 목표로 하는 내게 <결혼식 가는 길>을 통해 만난 소설 읽기의 경험은 퍽 특별했다. 이만하면 순조로운 출발이다. 뭐, 그러려고 그런 건 아닌데 다음에 읽을 책은 필립로스의 <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이고, 그 다음으로 카슨 매컬러스 <결혼식 멤버>를 빼뒀다. 어쩌다보니 1월에는 결혼들과 함께할 예정인데 절대 결혼하고 싶어서 그런건 아님🙄
참. 나의 라스콜니코프는 방금 막 도끼로 할머니를 내려친 참이다. 녀석 이번에는 좀 죄도 뉘우치고 그래야할텐데… 내 라스콜니코프는 언제나 살인만 하고 봉인된단 말이지…ㅋㅋㅋㅋ 내일은 밖에 안나가고 방바닥에 딱 붙어서 <죄와 벌>부터 조져야지.